•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광장

[4·3 70주년] ⑥ <제주, 해방에서 4·3사건까지> 연표

등록 2018.03.29 06:37:00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블로그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제주=뉴시스】

◇1945년

▲8월15일 제주에 일본군 6만6780명 잔존
▲9월22일 제주도인민위원회(위원장 오대진) 결성, 제주주둔 일58군 사령부 항목 문서에 조인

◇1946년

▲8월1일 제주도제 실시
▲9월11일 제주 감찰청 발족
▲10월18일 제주 추곡수집량 5000석 결정, 추곡수집반대운동 시작

◇1947년

▲2월10일 제주읍내 고교생 1000여명, 양과자 반대 등 반미시위
▲3월1일 제28주년 3·1절 기념대회를 제주북교에서 개최, 3만명 참가 시위 후 경찰 발포로 6명 사망, 8명 중경상
▲3월10일 3·1발포 책임자 처벌 요구하며 총파업 돌입. 13일까지 166개 기관단체에서 4만1211명 가담
▲3월12일 경무부 최경진 차장, “제주도는 주민 90%가 좌익” 발언
▲3월14일 조병옥 경무부장 내도
▲3월17일 응원경찰대, 구속자 석방 요구하는 시위군중에 발포로 8명 중경상
▲6월6일 경찰 3명이 청년들에게 폭행당하는 종달리 6.6사건 발생
▲8월19일 제주전역에 곡물수집 반대 삐라 살포됨
▲9월7일 제주도식량사무소장 박태훈 서북청년회에 의해 테러당함
▲11월2일 서북청년회 제주도본부(위원장 장동춘) 결성
▲12월3일 3대 제주도군정장관으로 맨스필드 중령 부임

◇1948년

▲1월22일 군정경찰, 조천에서 개최된 남로당 집회 급습하여 106명 검거, 폭동계획 있음을 보고.
▲2월1일 김익렬 소령 9연대장에 취임
▲2월26일 한림 고산지서에서 시위군중에 발포해 민간인 1명 중상
▲3월4일 조천 중학원생 김용철, 조천지서에서 취조 받다 고문으로 사망
▲3월14일 모슬포 지서에서 청년 양은하 고문으로 사망
▲4월3일 무장자위대의 봉기 시작
▲4월19일 딘 군정장관 극비 제주 시찰. 이후 토벌위주 정책 전개
▲5월1일 서청, 대청 단원들에 의한 ‘오라리 방화사건’ 발생
▲5월3일 경찰, 귀순자 향해 발포
▲5월5일 딘 군정장관, 제주도 미군정청에서 제주도 사태의 강경진압정책 모색하는 회의개최
▲5월6일 김익렬 9연대장 해임. 후임에 박진경 중령 부임
▲5월10일 제헌국회의원 선거. 3개 선거구 중 2개 선거구는 투표율 미달로 선거불발
▲5월18일 9연대 소속 군인 41명 무기가지고 탈영후 무장대에 가담
▲10월11일 제주도 경비사령부 설치
▲10월17일 해안에서 5km 이상 통금을 명령하는 포고령
▲11월17일 계엄령 선포
▲12월29일 9연대와 교체해 2연대(연대장 함병선)가 제주 주둔
▲12월31일 제주도지구 계엄령 해제

◇1949년

▲1월17일 토벌대에 의한 ‘북촌사건 발생’, 약 400명 주민학살
▲3월2일 제주도지구 전투사령부 설치(사령관 유재흥)
▲5월15일 제주도 전투사령부 해산
▲6월7일 유격대 사령과 이덕구, 경찰에 의해 사살
▲10월2일 제주비행장 인근에서 ‘1949년 군법회의 결과’ 사형 선고된 249명에 대한 총살 집행 후 암매장

◇1950년

▲7월25일 육군 제5훈련소 설치
▲7월27일 제주주정공장 수감자 사라봉 앞바다에 수장

◇1954년

▲9월21일 한라산 금족구역 해제

<이 연표는 제주 4·3 기념사업위원회가 발간한 ‘4·3이 뭐우까?’에서 발췌한 것임>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