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광장

[위기의 지방은행⑧]어쩌다 이지경 됐나…지방은행, 비리·건전성 악화 '첩첩산중'

"부실한 통제 시스템, 제왕적 지배구조 문제가 한번에 터져 나온 것"
올 1분기 고정이하여신 비율 1,04%로 시중은행보다 크게 높아
외형 성장에만 치중, 내부 건전성은 악화일로

등록 2018.07.08 06:01:00수정 2018.07.10 13:53:26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블로그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위기의 지방은행⑧]어쩌다 이지경 됐나…지방은행, 비리·건전성 악화 '첩첩산중'


【서울=뉴시스】조현아 기자 = 국내 지방은행들이 각종 비리로 신뢰도가 급격히 추락하고 있다.

지역 경제를 살리는 '혈류' 역할을 해야 하는 지방은행이 제 일을 다하지 못하고 흔들리고 있다는 시각이 나오고 있다. 지배구조 손질부터 시작해 헐거워진 내부 통제 시스템을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8일 금융권에 따르면 국내 지방은행은 DGB대구·BNK부산·경남·광주·전북·제주은행 등 모두 6곳이다. 지방은행은 지난 1967년 지역 경제와 금융을 육성하기 위한 취지 하에 세워져 50여년간 지역사회의 '터줏대감' 역할을 해왔다. 1997년 외환위기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때 수많은 은행들이 쓰러져 가는 가운데 힘겹게 생존했고, 다시 몸집을 불려가며 명맥을 이어갔다. 

그러나 최근 지방은행 위상이 다시 위협받고 있다. 저금리 기조 속 영업 환경은 더욱 척박해졌고, 불황 여파로 기반인 지역 경제마저 흔들려 생존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각종 비리들이 터져나오면서 지방은행을 바라보는 부정적 기류까지 확산됐다. 채용비리 의혹부터 횡령·비자금 혐의에 연루된 수장 비리가 줄줄이 나오자 이정도면 지방은행의 '토착비리'가 뿌리깊게 박힌 것 아니냐는 의구심까지 나오고 있다.

BNK경남은행은 대출금리 조작 파문으로 허술한 내부 통제 시스템이 도마 위에 올랐다. 최근 5년간 대출금리를 잘못 매겨 이자를 더 받아간 건수만 1만2000건, 액수는 25억원에 달하고 있다. 사실상 이번 파문의 '주범'으로 꼽힐 정도다.

부산은행은 성세환 전 BNK금융 회장 겸 부산은행장, 이장호 전 회장, 박재경 전 사장 등 관련 임직원 20여명이 재판에 넘겨지는 사태가 벌어졌다. 모두 지난 2015년 해운대 엘시티 비리와 주가 시세조종 비리, 채용비리 등에 연루된 혐의다. 

DGB대구은행은 비자금 조성과 부정채용 혐의 등으로 박인규 전 DGB금융 회장 겸 대구은행장이 구속되면서 혼돈에 빠졌다. 은행 전·현직 임원 10여명이 펀드투자 손실금 보전 의혹에 줄줄이 엮이는 악재도 겹쳤다. 행장 내정자인 김경룡 전 DGB금융 부사장은 채용비리 잡음으로 자진 사퇴했다. 갖은 비리와 CEO리스크로 사업에 제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잇단 지방은행 사태는 결국 부실한 통제 시스템과 제왕적 지배구조 문제가 한번에 터져 나온 것으로 보는 시각이 많다.

【대구=뉴시스】민경석 기자 = 대구은행 전경. 2018.02.05.(사진=뉴시스DB)photo@newsis.com

【대구=뉴시스】민경석 기자 = 대구은행 전경. 2018.02.05.(사진=뉴시스DB)[email protected]

그동안 지방은행들이 저마다 실적 경쟁을 벌이며 외형 성장에만 치중했다는 비판이 적지 않다. 금융경제연구소 자료에 따르면 2016년 기준 지방은행의 총자산 규모는 168조5000억원으로 2011년(110조2000억원)보다 58조3000억원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지방은행의 올 1분기말 고정이하 여신비율은 1.04%로 시중은행(0.77%)보다 높게 나타났다. 내부 건전성은 상대적으로 바빠진 것이다. 통제 시스템을 비롯해 내부 문제에 상대적으로 덜 집중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는 대목이다.

최종 의사 결정권자인 회장에 대한 견제 장치가 미흡했던 점도 이번 사태의 원인으로 꼽힌다. 최근까지 지방금융사들은 회장이 행장까지 겸임하는 지배구조여서 늘 투명성에 대한 비판을 받아왔다. 회장이 이사회 의장까지 장악하는 경우도 있어 사실상 회장 1명이 '절대 권력'을 휘둘러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견제 장치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다보니 수장 리스크가 연이어 불거지게 된 것"이라며 "상대적으로 대형 금융그룹사에 비해 당국의 견제와 감시가 덜 했던 탓도 있어 보인다"고 말했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