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광장

[3·1운동 백년과 여성]①그녀로부터 시작된 3천명의 옥중 "만세"

권애라, 독립운동 뛰어들기 전 유치원 교사
고종 승하에 "조국 잃은 백성이 불쌍합니다"
개성서 3·1운동 주도한 후 서대문형무소로
이화학당 후배 유관순 만나 서로 안고 통곡
벽 두들겨 암호→3000명이 "대한독립만세"
권애라 방에 '옥중 투쟁본부' 이름 붙여져

등록 2019.02.26 06:00:00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블로그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서울=뉴시스】권애라 여사 (사진=1968년 5월9일자 동아일보 발췌)

【서울=뉴시스】권애라 여사 (사진=1968년 5월9일자 동아일보 발췌)

【서울=뉴시스】김온유 기자 = 권애라는 본격적인 독립운동가로 활동하기 전 유치원 교사였다.

1897년 개성에서 태어난 그녀는 이화학당에 입학했고, 1917년 졸업해 개성으로 다시 돌아온 뒤 충교 예배당에 새로 지은 유치원에서 교사로 일했다.

1910년부터 시작된 일제의 강점은 횡포해졌다. 1919년 1월에는 고종이 갑작스레 세상을 떠났는데, 고종이 일제에 의해 독살됐다는 소문이 퍼져나가며 일본에 대한 분노가 가중됐다.

권애라 역시 이때를 계기로 애국 사상이 크게 고취된 것으로 전해진다.

당시 독립선언서 33명의 서명자인 오하영이 권애라에게 "권 선생, 국상이 슬프지 않소?"라고 묻자 그녀는 "임금의 승하가 아니라 조국을 잃은 백성이 불쌍합니다"라고 답했다.

결국 그녀는 독립운동가의 길로 뛰어들었다. 1919년 3·1운동에 맞춰 어윤희 등과 함께 개성 지역에서 독립을 위해 '만세'를 외쳤다.

권애라는 '개성 지역의 만세 운동을 권 선생에게 일임한다'는 익명의 편지와 함께 날아온 독립선언문을 배포한 것으로 알려져있다.

그녀는 독립선언문을 호수돈여자보통학교에서 어윤희에게 넘겼고, 어윤희는 이 선언문을 다시 주요 인사에 배포했다.

대망의 3월1일. 학생들은 개성의 거리로 쏟아져나와 대한독립 만세를 부르짖었고, 이에 억눌려있던 일반 민중도 시위에 동참했다.

일본 경찰은 갑작스레 불거진 '대한독립 염원' 열기에 주요 인물을 즉각 체포했다.

권애라 역시 이때 일제 경찰에 체포돼 경성 서대문 형무소로 압송됐다. 권애라는 별도로 만들어진 감옥에 갇혀야 했다. 절반은 지하로 들어가게 지어져 '토굴'과 다름없는 곳이었다. 2~3명이 들어갈 공간에 9명이 수감됐다.
【서울=뉴시스】이화학당 전경 (사진=국가보훈처 제공)

【서울=뉴시스】이화학당 전경 (사진=국가보훈처 제공)

권애라는 이곳에서 뜻밖의 인물을 만난다. 이화학당에서 함께 공부한 후배 유관순이다.

옥사에서 재회한 이들은 서로 "어쩐 일로 온 것이냐"는 안부 아닌 안부를 물으며 부둥켜 안고 통곡했다고 한다.

토굴 같았던 그들의 감옥 시설은 특히나 열악했던 것으로 전해진다. 난방이나 냉방 시설은커녕 별도 화장실도 없어 나무로 통을 만들어 대소변을 해결해야 했다.

이 감방에는 권애라와 유관순 외에도 기생인 김향화, 시각장애인인 심명철, 신생아를 낳았던 임영애, 교회 전도사인 어윤희와 신관빈 등이 함께였다.

권애라와 감옥 동료들은 김향화에게 노래를 배우는 등의 방법으로 옥살이의 고달픔을 달랬다. 그리고 서로의 애국심을 마주하며 독립에 대한 의지를 더욱 공고히 키워나갔다.

옥살이를 이어가던 중 3·1운동 1주년이 다가왔다.

이들은 1920년 3월1일에 맞춰 또 다시 독립운동을 계획했다. 드디어 당일 오후 1시. 서대문 감옥 전체에서 "대한독립만세"가 울려퍼졌다.

당시 3000명이 넘는 수감자는 문을 발로 차고 철판을 두드리며 "대한독립만세"를 부르짖었다.

각자 방에 갇힌 수감자들이 이렇게 한 뜻으로 '옥사 내 독립운동'을 할 수 있던 동력은 권애라가 수감된 방에서 시작됐다.

어윤희와 권애라 등은 벽을 두들겨 암호를 주고 받으며 옆방으로 정보를 넘겼고, 마침내 모든 감옥 내 수감자들에게 "대한독립만세"를 외치게 한 것이다.

후에 이들 방에는 '옥중 투쟁본부'라는 이름까지 붙여진 것으로 알려졌다.

▲참고자료 : 김삼웅 <서대문형무소 근현대사>, 최은희 <조국을 찾기까지>, 권광욱 <권애라와 김시현>, 박용옥 <한국독립운동의 역사·여성운동>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