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종합]5·18 헬기 기관총 난사 "가능성 완전히 배제 못해"

등록 2017.01.12 18:10:32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광주=뉴시스】류형근 기자 =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이 5·18민주화운동 당시 계엄군의 헬기 사격을 37년만에 공식화 한 가운데 5·18기념재단이 12일 오후 광주 서구 기념재단 시민사랑방에서 1980년 5월21일 오전 11시 금남로 상공을 날고 있는 헬기 사진을 공개했다. 2017.01.12. (사진=5·18기념재단 제공)  photo@newsis.com

【광주=뉴시스】류형근 기자 =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이 5·18민주화운동 당시 계엄군의 헬기 사격을 37년만에 공식화 한 가운데 5·18기념재단이 12일 오후 광주 서구 기념재단 시민사랑방에서 1980년 5월21일 오전 11시 금남로 상공을 날고 있는 헬기 사진을 공개했다. 2017.01.12. (사진=5·18기념재단 제공)  [email protected]

"전일빌딩 10층에 탄환 남아있을 수 있어" 발굴 조사 필요

【광주=뉴시스】배동민 기자 = 'M60 기관총 가능성은 완전히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5·18민주화운동 당시 계엄군의 헬기 사격을 37년만에 공식화한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이 '기총소사' 가능성을 언급했다.

 기총소사는 헬기에 장착된 기관총을 시민들에게 무차별 난사했다는 의미로, 계엄군이 얼마나 잔인하게 광주 시민들을 학살했는지를 보여주는 증거다.

 국과수는 또 탄흔이 발견된 전일빌딩 10층 천장에 당시 계엄군이 쏜 탄환이 남아 있을 수 있다고 판단, 추가 발굴 조사의 필요성을 강조하기도 했다.  

 12일 국과수는 광주시에 전달한 법의학 감정 보고서를 통해 전일빌딩 10층에서 발견된 탄흔의 총기 종류를 검토한 결과 '현재까지의 조사 내용만으로 확실한 판단 근거가 없어 사용된 총기의 종류를 명확하게 말할 수 없다'고 밝혔다.

 하지만 원추형의 탄흔의 경우 '5.56㎜나 7.62㎜ 소총탄에 의한 탄흔으로 판단된다'고 분석했다. 

 국과수는 '5·18 당시 현장 주변을 기동한 헬기는 UH-1 500MD 기종으로, 두 헬기의 무장은 7.62㎜ 실탄을 사용하는 M60 계열의 기관총이나 M134 미니건(minigun) 계열의 기관총을 사용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탄흔의 크기로만 보아서는 M16 소총의 가능성을 우선 추정할 수 있다. 이 경우 탄흔의 숫자가 최소 150개 이상인 점과 M16 소총의 탄창이 20발 또는 30발인 점으로 볼 때 1인이 탄창을 교환하며 사격했거나 2인 이상 다수가 동시에 사격한 정황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또 '탄흔의 생성 방향은 한 지점에서 좌우 방사형으로 펼쳐진 형태이며 이는 기관총 사격에서 나타날 수 있으나 다인의 동시 사격에서는 나타나기 힘든 형태의 탄흔'이라고 설명했다.

 국과수는 '탄흔의 밀집 정도로 보아서는 M134 미니건의 가능성은 완전히 배제할 수 있으나 천장 텍스에서 식별되는 탄흔의 생성 방향으로 보아서는 UH-1 헬기의 양쪽 문에 거치된 M60 기관총의 가능성은 완전히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평가했다.

 계엄군이 헬기에서 기관총을 난사했을 가능성을 열어둔 것이다.

【광주=뉴시스】류형근 기자 =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이 1980년 5·18민주화운동 당시 계엄군의 헬기 사격을 37년만에 공식화 한 가운데 5·18기념재단이 12일 오후 광주 서구 기념재단 시민사랑방에서 당시 촬영된 사진을 공개했다. 2017.01.12. (사진=5·18기념재단 제공)  photo@newsis.com

【광주=뉴시스】류형근 기자 =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이 1980년 5·18민주화운동 당시 계엄군의 헬기 사격을 37년만에 공식화 한 가운데 5·18기념재단이 12일 오후 광주 서구 기념재단 시민사랑방에서 당시 촬영된 사진을 공개했다. 2017.01.12. (사진=5·18기념재단 제공)  [email protected]

 국과수는 총기 종류를 판단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도 제시했다. 일부 탄환이 전일빌딩 10층 천장 슬라브(slab)와 텍스 사이 공간에 남아 있을 가능성을 언급했다.

 국과수는 '만약 이 곳에서 탄환이 발견된다면 사용 총기류에 대한 규명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고 설명했다.

 5·18 당시 계엄군의 헬기 기총소사는 수많은 목격자 증언에도 이를 입증할 수 있는 사진 등 증거가 없어 사실로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군 당국도 37년 동안 "헬기 기총소사는 없었다"는 입장을 유지해왔다.

 그러나 고(故) 조비오 신부와 1980년 당시 광주에서 선교사로 활동했던 아놀드 피터슨 목사, 적십자대원으로 활동했던 이광영씨 등은 계엄군의 기총소사를 증언해왔다.

 1980년 9월 전교사가 육군본부에 제출한 '광주 소요사태 분석 교훈집'에도 '헬기 능력 및 제한사항을 고려한 항공기 운용' 방식으로 '유류 및 탄약의 높은 소모율로 고가(高價) 운항'이라고 적혀 있다. 헬기의 연료와 탄약이 많이 사용된 '값비싼' 헬기 운항 작전이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5·18 당시 작전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부분에서는 '불확실한 표적에 공중 사격 요청'이 있었다고 기록하고 있다.

 표적 지시의 불확실, 요망 표적 위치에 아군 병력 배치, 공중 사격 감행 시 피해 확대 우려 등은 공중 사격의 문제로 언급돼 있다.

 정수만(71) 5·18연구소 비상임연구원(전 5·18유족회장)은  "1980년 5월 계엄군의 헬기에 장착된 발칸포에 1500발이 공급됐다. 안 썼다면 반납해야 하는데 반납하지 않았다. 기관총은 1만759발을 사용한 것으로 돼 있다. 어디에 사용했겠는가"라고 말했다.

 이어 "나 역시 5월21일 공중에서 '드르륵' 기관총을 쏘는 소리를 듣고 놀라 숨었다. 기총소사를 목격한 증언도 넘쳐날 정도로 많다. 이 보고서가 80년 5월의 진실을 밝히는 단초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