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데스크칼럼] 친문(親文) 동맹군 VS 비문(非文) 연합군

등록 2017.01.31 08:00:00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염영남 정치부국장

【서울=뉴시스】염영남 정치부국장 = 창(槍)과 방패(防牌)의 본격적인 싸움이다. 100여일 앞으로 다가온 것으로 예상되는 대선 이야기다. 지지율 1위를 유지하며 대세론을 굳히려 동분서주하는 문재인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방패라면, 이를 뚫기 위해 안간힘을 쓰는 반기문 전 유엔 사무총장 등 비(非)문재인 후보들이 창이다.

 이번 설 연휴 화제도 단연 이들을 중심으로 한 대선의 향배였다. 하지만 아직 각 당의 후보가 정해지지 않은 탓에 예년의 추석처럼 두명의 여야 후보만 놓고 호불호가 갈리는 양상은 아니었다. '누가 여야의 최종 후보가 되느냐'에서부터 후보간 연대를 통해 양자구도로 치러질지, 아니면 다자구도일지 등 갖가지 시나리오에 대한 이야기가 오갔다.

 그러나 그중에서도 "문재인이 당선되느냐", "반기문은 완주하느냐. 완주하면 이길 수 있느냐", "안철수 등 다른 주자들은 어떻게 되느냐"가 밥상머리 대화를 압축적으로 정리하는 물음이었다. 

 먼저 문재인 전 대표가 대선의 상수란 점에는 이견이 없었다. 아무래도 현재 기세가 간단치 않기에 그의 당선 가능성을 바라보는 이들이 가장 많았던 것 같고, 동시에 그를 통한 정권교체를 바라는 분위기도 적지 않았다.

 반면 문 전 대표가 역전당할 가능성이 있다는 예상도 없지는 않았다. '문 전 대표가 반드시 돼야 한다'는 여론에 맞서 '문 전 대표만은 안된다'는 의견도 엄존하기 때문이다. 문 전 대표 측이 걱정하는 것도 이 부분이다. 분명 멀찌감치 여타 후보를 따돌리며 지지율 1위를 달리고 있고, 민주당 지지율도 고공행진을 거듭하고 있는데도 대선 승리를 확신하기에는 어딘가 찜찜한 구석이 남아있다는 점에서다.

 이같은 우려는 확장성에 있다. 문 전 대표의 지지율이 상승하고는 있지만 속도가 빠르지 않고, 호남의 반문 정서도 완전히 해소됐다고 볼 수도 없다. 여기에 비문 후보군이 연합해 한덩어리가 된다면 전체 대선 결과를 예단하기도 어렵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이 문제의 해법을 의외로 간단한 데에서 찾는다. 친문 동맹을 키워가는 게 정답이라는 것이다. 지금 당내 경선을 치르는 이재명 성남시장과 안희정 충남지사, 김부겸 의원 등과 함께 이미 경선 불출마를 선언한 박원순 서울시장은 각자 마니아층을 형성할 정도로 야권의 소중한 자산이다. 때문에 문 전 대표가 이들과 철저한 화학적 결합을 이뤄 지지층을 고스란히 흡수한다면 지금의 여론조사 지지율만 합해도 50%를 넘길 수 있다.

 생각해보라. 서울에서는 박 시장이 선거를 하고 경기 지역은 이 시장이 돌아다니고, 충청은 안 지사가, 대구 경북은 김 의원이 맡는다면 어떤 선대위보다 강력한 방어벽이 생기지 않겠는가. 또 대선 과정에서 상대 진영의 날 선 공격에도 이들이 앞장서 대응한다면 문 전 대표 입장에서는 큰 상처없이 골인점에 다다를 가능성이 그만큼 커지는 것이다.

 나아가 안철수 전 대표를 위시한 국민의당과 연합하거나 손학규 전 민주당 대표와 정운찬 전 총리, 정의화 전 국회의장 등 제3지대 인사들까지 두루 손잡는다면 거칠 것이 없겠지만 여기까지 기대하기란 쉽지 않다.

 그렇다해도 민주당 주자들을 껴안은 상태에서 중도와 중도보수 인사들과 하나둘 동맹을 맺어간다면 지금의 대세론이 열매를 맺게 될 확률은 더욱 높아지기 마련이다. 문 전 대표의 대선 승리를 위해서는 '친문 동맹'의 강화가 답이다.

 이쯤에서 기억도 가물가물한 민주자유당(민자당)을 떠올려보자. 민자당은 1990년 당시 대통령인 노태우 총재의 민주정의당과 김영삼 총재의 통일민주당, 김종필 총재의 신민주공화당이 합당해 만들어진 거대 여당이다. 12·12 쿠데타 주역과 반독재투쟁에 섰던 민주투사, 5·16 이후 2인자로 국정을 주물렀던 이들의 어색한 결합이었지만, 2년 뒤 민자당 김영삼 후보는 대선에서 승리했다. 

 뜬금없이 민자당 이야기를 꺼낸 것은 반기문 전 총장과 안철수 전 대표 등 제3지대 빅텐트론을 주창하는 비문 진영의 역전 가능성이 이같은 연합군 형성에 있다는 걸 말하기 위해서다. 단 그 때의 민자당이 지역간 연합이었다면 지금의 비문 연합은 '이념적 민자당' 식 결합이 돼야 가능성이 있다. 진보성향인 문 전 대표 진영을 에워쌀 수 있는 중도와 보수의 대연합이 이뤄져야 승산이 있다는 이야기다.

 반 전 총장과 안철수 전 대표에 이어 손학규 김종인 김한길 전 민주당 대표와 유승민 의원 등의 바른정당까지, 문재인 전 대표와 대척점에 서 있는 정치세력이 한데 모인다면 그 자체로 정치권은 전례 없는 변혁을 이뤘다는 평가를 받을 게 분명하다.

 물론 바른정당의 합류에 대해서는 호남을 텃밭으로 한 국민의당에서 의견이 갈린다. 이 부분의 조정은 필요하다. 또 지금의 반 전 총장으로는 국민의당이 손잡을 수 없다고 한다. 여권과 절연한 뒤 보다 더 개혁적인 모습을 취하란 주문이다.

 그래서 국민의당은 안 전 대표 등 자신들을 중심으로 한 연합군을 꿈꾸고 있고, 반 전 총장은 자신이 중심이 돼 좌우에 국민의당에서 바른정당까지 도열시키자는 계획을 갖고 있다. 서로 다른 자리에서 대선 당선이란 같은 꿈을 꾸는 이상동몽(異床同夢)이다.

 하지만 비문 연합이 쉬운 일은 아니다. 하나의 빅텐트 아래 모이기도 힘들지만, 모였다 해도 구성원들은 모두 대권을 꿈꾸는 잠룡이다. 태생적 뿌리와 정치적 줄기마저 다른 이들이 과연 한곳에서 경선을 치를 수 있을지, 경선 이후 한명의 승자를 위해 나머지가 100% 힘을 보탤지, 해당 후보 지지층이 경선 이후에도 한명의 승자를 향해 모두 표를 던질지도 의문이다.

 따라서 승자가 대통령이 될 경우 패자들은 내각이나 당의 주요 보직을 맡는 등의 완벽한 권력 분점 약속이 있어야 그나마 가능성이 높아진다. 또 대통령 임기 단축 등을 통한 대국민 개헌 약속 등도 반드시 뒤따라야 한다. 그 정도는 전제가 돼야 '비문 연합군'을 통한 드림팀의 그림을 일정부분 그려볼 수는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역설적으로 이같은 시나리오는 문재인 전 대표의 대세론이 강화하면 할수록 실현 가능성이 커진다. 손잡지 않으면 도저히 이길 수 없다는 판단이 들어야 뭉치게 된다는 논리에서다.

 최종 구도가 어떻게 되든 지금까지의 19대 대선은 친문 동맹군 대(對) 비문 연합군의 싸움으로 치닫는 양상이다. 동맹군의 완벽한 결합도 어렵지만, 연합군 완전체를 이루는 것은 더더욱 어려운 퍼즐이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동맹이나 연합을 제대로 이루지 못하는 쪽의 청와대 입성 가능성은 그만큼 줄어들 게 돼 있다. 양 진영의 이같은 물밑 전쟁은 이미 시작됐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