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서울지하철 안전보강에 7조8000억 투입…'정시운행→안전운행' 패러다임 전환

등록 2017.03.08 11:00:00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서울=뉴시스】김선웅 기자 = 서울지하철·5678도시철도 노조가 임금·단체교섭 결렬에 따라 19일 하루 주간(09시~18시)파업에 재돌입한다.  이날 오전 서울 중구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2·4·5호선)에서 시민들이 역사를 오가고 있다. 2016.10.19.  mangusta@newsis.com

'서울지하철 안전보강대책'…21년이상된 610량 2022년까지 교체
 올해 2호선 214량 발주…승강장 안전문 열리면 전동차 진출입 못하는 장치 적용
 '40년 경과' 1~4호선 전차선로·열차신호설비 개량 위해 2030년까지 총 2.2조 투입
 2020년까지 53.2㎞ 구간 내진 보강…7호선 일부구간 2인 승무제 1년간 시범 실시

【서울=뉴시스】박대로 기자 = 서울시가 개통 이래 40여년을 유지해온 '지하철 정시운행' 방침에 마침표를 찍고 '안전운행'으로 패러다임을 전환하겠다고 8일 밝혔다.

 서울시는 지하철 시설물·인력 등 전반에 걸쳐 안전기능을 보강하고 사물인터넷(IoT) 등을 활용한 스마트안전관리체계를 구축하는 내용의 '서울지하철 안전보강대책'을 이날 발표했다.

 이번 대책에 따르면 서울시는 2022년까지 8370억원을 투입해 21년 이상 장기사용 전동차 중 2~3호선 610량(2호선 460량+3호선 150량)을 신규 차량으로 교체한다. 

 1차로 2014년 12월 2호선 200량을 발주한데 이어 올해 3월에 2호선 214량을 발주할 예정이며 2018년부터 2022년까지 2호선 46량과 3호선 150량을 추가 교체한다.

 새 전동차에는 승강장 안전문이 열린 상태에서는 전동차가 승강장에 진·출입하지 못하도록 하는 자동열차운전장치가 적용된다.

서울지하철 안전보강에 7조8000억 투입…'정시운행→안전운행' 패러다임 전환

 개통후 40여년이 경과된 1~4호선의 전차선로·열차신호설비 등 7개 분야 21종의 노후시설도 2030년까지 총 2조2000억원을 투입해 개량한다. 120개 노후역사 수리도 지속 추진한다. 올해부터 2025년까지 분기기(283틀)·전선로(1960㎞) 등 19종의 노후시설 개량작업이 실시된다.

 장애고장건수가 늘고 있는 에스컬레이터와 엘리베이터 등 승강편의시설도 전수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주요 부품의 교체주기를 정하기로 했다. 정밀안전주기 역시 20년에서 15년으로 단축했다. 승강편의시설 전문관리인력을 현 99명에서 110명으로 늘리고 관련 교육과정도 신규 개설한다.

 한반도 전역에서 지진이 발생하는 사례가 늘면서 지하철역 내진보강도 이뤄진다. 서울시는 내진보강이 필요한 총 53.2㎞ 구간 공사를 2020년까지 완료할 계획이다. 현재까지 3.7㎞ 공사를 완료했고 올해는 14.5㎞ 구간을 추가 공사할 예정이다.

 지하철 안전컨트롤타워 역할을 하는 '스마트통합관제시스템'이 2023년까지 구축된다. 현재 관제센터 통합구축 타당성 용역과 서울시 투자심사를 마친 상태다. 다음달 스마트통합관제시스템 기본설계가 시작되고 총 사업비는 2400억원으로 추산된다.

 지하철 안전관리 인력도 확충한다. 안전관리인력을 역마다 2명씩 총 556명으로 늘리고 지하철보안관도 내년까지 매년 50명씩 충원해 368명까지 확충한다. 통합공사 출범에 따른 중복업무 인력 393명도 현장부서로 전환배치한다. 이달 중으로 도시철도공사 승강장안전문 기술인력 175명을 추가 채용한다. 서비스중심의 역무실과 고객상담실을 '안전센터'로 개편해 안전관리부서로 운영한다.

 그간 논란이 됐던 2인 승무제가 다시 도입된다. 서울시는 기관사·지원인력 104명을 추가 확보해 1인 승무로 운영중인 7호선 일부구간에 2인 승무제를 시범 실시한다. 2인승무제는 이달부터 1년간 시범적으로 도입된다. 현장 대응력과 기관사 업무경감효과 등을 검증한 후 확대 실시 여부를 결정한다.

 비상시 대피절차와 요령을 담은 '시민안전 행동매뉴얼'이 제정된다. 신속한 정상운행복귀를 목표로 작성됐던 기존 매뉴얼을 안전을 최우선으로 확보하는 내용으로 개정하고 역무원·기관사·관제사 등 역할별로 행동요령을 구체화한다.

 특히 승강장내 열차사고 발생시에는 출입문을 전면 개방해 승객을 차내에 대기시키지 않고 대피를 유도하며 전동차 연기 발생 시에도 전동차 화재와 같이 승객대피·화재신고 등의 조치를 취하도록 하는 역무원 행동매뉴얼이 추가된다.

서울지하철 안전보강에 7조8000억 투입…'정시운행→안전운행' 패러다임 전환

 지하철 공사현장 안전관리 강화를 위해 현장의 안전관리실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체계도 도입한다. 1공사현장 1감독자 배치 확인 후 공사를 시작하고 일일작업계획서 등에 안전망·안전대·생명선 등 안전수칙 이행상태 확인항목을 반영한다. 작업자의 안전수칙 이행여부를 공사감독자가 확인해 실시간으로 사진·동영상 자료를 게시하고 '공사장 종합안전정보시스템'에 필수적으로 기록하게 했다.

 기존의 '지하철안전지킴이' 앱을 업그레이드해 관제·역무실에 연결되는 비상버튼을 추가한다. 비상시에는 자동으로 팝업창을 띄워 상황정보와 행동요령을 안내한다. 또 엘리베이터 등 승강편의시설의 실시간 작동 현황 정보와 이를 반영한 최단 이동경로까지 한눈에 확인할 수 있게 한다.  

 서울시는 전동차 정비·유지보수 시간을 확보하기 위해 지하철 심야 연장운행시간 조정도 검토하기로 했다.

 시설유지·보수시간 확보를 위해 지하철 심야운행시간을 합리적으로 조정할 필요성이 있다고 서울시는 설명했다. 실제로 오후 12시 이후 이용률은 0.38%(일 승차 인원 약 550만명 중 2만명)라 연간 약 61억 규모의 손실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따라 서울시는 시민공청회 등 의견수렴 절차를 거쳐 운행종료 시간을 앞당기는 한편 심야버스 등 대체수단을 마련할 계획이다.

 사물인터넷(IoT) 등을 활용해 서비스 품질과 운영효율을 증대하기 위한 '스마트안전지하철' 마스터플랜이 이달 마련된다.

 서울시는 지하철 시설물 정보를 감지하고 제어하는 수준을 넘어 감지된 정보를 빅데이터에 접목시켜 상황에 맞는 대응방법을 제공한다. 특히 안전강화를 위해 지능형 CCTV, 객차혼잡도 안내, 부정승차 자동단속시스템 등을 도입해 '스마트안전관리시스템'을 구축하겠다고 서울시는 밝혔다.

 윤준병 서울시 도시교통본부장은 "지하철 운영 전반에 걸쳐 '안전최우선'으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이용승객들의 안전에 대한 이해와 공감대가 바탕이 돼야 한다"며 "안전지하철을 뒷받침할 수 있는 안전투자재원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경주하겠다"라고 밝혔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