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10년 후 한국, 생산·소비 융합…제도정비·스마트공장 강화 등 필요"

등록 2017.04.17 18:27:47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

【서울=뉴시스】오동현 기자 = 10년 후 생산과 소비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관련 제도를 정비하고, 데이터와 제조 혁신의 기반인 스마트공장 인프라를 강화하는 전략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미래창조과학부 미래준비위원회는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한국과학기술원(카이스트)과 함께 이같은 내용을 담은 '10년 후 대한민국,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생산과 소비'를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17일 밝혔다.

 보고서는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 인공지능(AI) 등 지능정보기술이 초고속, 초연결 플랫폼을 스마트하게 생성함에 따라 생산과 소비의 전 과정도 실시간으로 긴밀하게 연결되는 시대를 전망했다.

 즉, 생산과 소비가 결합하면 생산자는 소비자의 요구를 실시간으로 기획, R&D, 제조 등에 반영해 재고 없이 스마트하게 생산하고, 소비자는 원하는 제품과 서비스를 적기에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한 생산과 소비의 변화상은 ▲개인 맞춤형 생산 확대 및 소비자 선택권 강화 ▲기술과 소비 트렌드의 급변화로 제품과 서비스의 수명주기 단축 ▲지속가능성 향상을 위한 환경 친화적 생산과 소비 확산 ▲제품과 서비스의 융합으로 부가가치 창출 ▲자동화 및 정보공유를 통해 스마트한 생산·소비 확산 ▲최적화된 생산을 위한 글로벌 협업 네트워크 확대 등으로 전망된다.

 다만 우리나라는 급변하는 글로벌 경제 시스템에도 불구하고, 산업구조 변화가 둔화되고 있으며 기존 주력산업에 크게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스위스 금융기업 UBS는 우리나라의 4차 산업혁명 준비정도를 세계 25위로 평가하고 있다. 세부적으로는 교육수준 23위, 혁신성 19위, 인프라 20위, 노동유연성 83위, 법적보호 62위다.

 전문가 설문조사 결과, 우리나라는 미래 생산·소비 변화에 산업 전반에서 많은 영향을 받을 것임에도 산업 및 규제·제도 측면의 준비는 부족하다고 나타났다.

 보고서는 이에 대한 대응 전략과제로 기업은 기획·R&D·제조·마케팅을 데이터를 중심으로 신속하고 유기적으로 연계·혁신하고, 플랫폼 생태계를 선도하기 위해 주도적으로 플랫폼을 구축하고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제시했다.

 또 정부, 산학연 등 혁신주체들은 혁신 역량을 높이기 위해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을 확보하고 개방형 혁신을 확대하는 한편, 창의적 미래인재 양성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아울러 정부는 사회적 합의를 통해 개인정보 보호, 공정경쟁, 지식재산권 등의 제도를 정비하고, 데이터와 제조 혁신의 기반인 스마트공장 인프라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다.

 이밖에 신뢰와 협력의 문화 조성, 지속가능한 순환경제 시스템 전환 등을 제안했다.

 미래부 관계자는 "이번 보고서에서 제시된 전략방향은 차기 과학기술기본계획 등에 반영해 정책으로 연계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