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영세성 못면하는 서울 제조업 집적지···맞춤형전략 통해 4차산업혁명 대비해야

등록 2017.06.13 07:02:17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영세성 못면하는 서울 제조업 집적지···맞춤형전략 통해 4차산업혁명 대비해야

【서울=뉴시스】박대로 기자 = 서울시 제조업체중 70% 이상이 중구 등 10개 자치구에 집중돼있고 대부분이 규모면에서 영세성을 극복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서울 제조업 부흥을 위해 맞춤형 전략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된다.

 김묵한 서울연구원 시민경제연구실 연구위원과 정현철·황민영 연구원이 최근 발표한 '서울시 주요 제조업의 공정특성별 공간 분포' 보고서에 따르면 2013년 기준 서울시 제조업체수 상위 10개 자치구가 서울시 제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71.3%였다.

 전체 제조업체 5만8551개중 9959개가 중구에 집중돼 있었다. 이어 금천구 4774개, 성동구 4455개, 영등포구 4250개, 종로구 3948개, 구로구 3633개, 중랑구 3290개, 동대문구 3108개, 성북구 2435개, 광진구 1895개 순이었다.

 
영세성 못면하는 서울 제조업 집적지···맞춤형전략 통해 4차산업혁명 대비해야

인쇄·기록매체 복제업은 중구, 금속가공품제조업은 구로구와 영등포구에서, 식료품제조업은 노원구·은평구·강서구·양천구·동작구·송파구, 기타제품 제조업은 강동구에 몰려 있었다.

 산업형태별로 보면 대부분의 자치구에서 생활관련형 제조업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25개 자치구중 22개에서 생활관련형 제조업체 비중이 높았다.

 생활관련형 비중이 가장 큰 자치구는 77.5%인 관악구였다. 이어 중랑구 74.9%, 도봉구 74.0%, 강북구 74.0%, 성북구 73.7% 순이었다.

 반면 준공업지역이자 산업단지와 전통공장지대가 있는 구로구·금천구·영등포구 등 서남권 3개 자치구에서는 가공조립형이 우세했다.

 특정 제조업종 사업체가 한 자치구에 1000개 이상 입지해 있는 대규모 집적지를 살펴보면 중구의 인쇄·인쇄관련 산업, 구로구의 일반목적용 기계 제조업, 영등포구의 기타 금속가공제품 제조업 등이 있었다.

 특정 제조업종이 100개 이상 집적된 경우를 조사한 결과 ▲종로구의 귀금속·장신용품 제조업 ▲중구의 골판지·종이상자·종이용기 제조업과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성동구의 신발·신발부분품 제조업 ▲동대문구의 기타 식품제조업과 편조의복 제조업 ▲도봉구의 의복액세서리제조업, 금천구의 전자부품제조업과 컴퓨터·주변장치제조업, 통신·방송장비제조업, 특수목적용기계제조업 ▲영등포구의 구조용 금속제품·탱크·증기발생기제조업 등이 있었다.

 
영세성 못면하는 서울 제조업 집적지···맞춤형전략 통해 4차산업혁명 대비해야

이처럼 업체들이 밀집해있는 가운데 영세성도 극복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서울연구원은 "서울시 제조업체들이 사용하는 작업장은 평균적으로 전국에서 가장 작은 축에 든다. 대도시의 거대생산자와 소비자 시장에 근접해 생존하고 있지만 높은 지가에 대응해 소규모 조직과 작업장으로 특화한 형태"라며 "서울시 제조업은 전국 제조업과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보유하고 있어 중공업, 대기업, 대규모 생산이 주대상인 국가의 제조업 정책과는 맞지 않는 면이 있다"고 분석했다.

 이 때문에 집적지 중심의 제조업 관련 정책을 바꿔야 한다는 의견이 제시되고 있다.

 서울연구원은 "서울의 모든 제조업 집적지가 서울의 대표적인 집적지가 될 필요도 없고 서울의 주요 제조업 집적지가 꼭 전국적인 경쟁력을 가질 이유도 없다."며 "업종이나 성장단계를 고려하지 않고 천편일률적인 목표와 정책을 적용하는 대신 각 제조업 업종과 집적지의 상황에 적절한 정책을 설계하고 시행할 수 있는 체계를 만들어가는 것이 더 효과적인 방향"이라고 지적했다.

 또 "효과적인 제조업 공간정책 시행을 위해서는 각 제조업 집적지의 기능상 특성을 고려한 공간정책이 바람직하다"며 "이를 위해 서울시 제조업 집적지별로 제조업체의 기획, 연구개발 등 전생산 공정, 그리고 판촉과 유통 등 후생산 공정이 어떻게 생산 공정과 결합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 이에 따른 맞춤형 정책 설계를 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서울연구원은 그러면서 "서울에는 생산공정을 수행하지 않는 무공장 제조업체가 상당수 존재하지만 이에 대응하는 정책은 아직 뚜렷하지 않다"며 "도시형 제조업 지원이라는 시각에서 유망한 무공장형 제조업체를 발굴하고 이들을 서울시내 제조업체와 매칭하는 정책을 시행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또 "정부가 (연결해줄 기업의) 발굴과 매칭을 모두 전담하기보다는 이를 가능하게 하는 일종의 정보공개 지도를 만들고 공유하는 방법이 있다"고 조언했다.

 이밖에 서울연구원은 "판매가 용이한 생활관련형 산업을 중심으로 주거지, 주거지 인근 근린시설, 혹은 전문시장 등을 대상으로 공동매장을 조성할 수 있다"며 "지역 틈새시장을 활성화한다는 측면에서 생활관련형 제조업 혹은 전통시장을 대상으로 플랫폼사업을 진행하는 방안을 고려해볼 수 있다"고 제안했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