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종합]2031년 전력설비 예비율 22%···7차 수급계획과 같아

등록 2017.09.13 18:28:28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신재생 간헐성 비중 고려해 적정 수준 예비율 22%로 산정
【세종=뉴시스】박상영 기자 = 발전기 고장에 대비한 적정 수준의 전력 예비율을 22% 확보해야 한다는 전망이 나왔다.

13일 전력정책심의위원회가 발표한 8차 전력수급기본계획(2017~2031년)설비계획에 따르면 2030년 적정 예비율 수준은 22%로 전망했다.

적정 예비율은 발전기 고장이나 수급 불확실성에 대비해 정부가 정한 예비율 목표치를 말한다. 예를 들어 전력수요가 100이고 적정 예비율이 18% 라면 총 전력설비는 118로 유지한다는 의미다.

심의위 관계자는 “22%는 최소 설비예비율 13%와 수급불확실성에 대응하는 예비율 9%로 구성된다”며 “최소 설비예비율 13%는 신재생 발전의 간헐성(출력이 급격히 떨어지거나 올라가는 부분) 대비까지 고려한 수치”라고 했다.

심의위는 지난달 중순 설비계획 초안을 공개하면서 적정 예비율 수준을 20~22%로 예상했다. 당시에는 신고리 5·6호기 건설 여부와 신재생 백업 설비 필요성 등 시나리오에 따라 적정 예비율이 변동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이날 심의위는 2030년까지 발전량의 20%까지 신재생 비중을 늘리면 간헐성 보완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구체적으로 빠른 시간 내에 출력을 조절할 수 있는 양수발전소, 가스터빈 단독 운전이 가능한 LNG 복합발전소 등 백업 설비 확보가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8차 수급계획에서는 예비율이 낮아질 것이라는 예상이 제기되기도 했다. 탈원전 정책으로 전체 발전원 구성에서 원전이 차지하는 비중이 줄어들기 때문이다.

발전소마다 예방정비와 고장정지 상황 등을 감안해 1년에 정지되는 일수가 각기 다른데, 원전의 경우 1년의 20%인 76일, LNG발전은 12%인 44일 동안 정지된다.

예비율이 지난 7차와 같은 이유는 원전 비중은 줄었지만 신재생 비중은 늘었기 때문으로 볼 수 있다. 대개 출력이 일정치 않은 신재생 에너지의 발전설비 비중이 높은 국가일수록 예비율이 높다.

심의위원인 김욱 교수는 "지난번 초안 당시에 제시한 20%는 신재생 간헐성 비중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것이었다”며 “이번에는 간헐성 대응에 필요한 수치를 2%로 고정 지은 것"이라고 했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