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변정주 "뮤지컬 '판', 전통 국악? 신기한 돌연변이!"

등록 2017.11.24 07:00:00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서울=뉴시스】 뮤지컬 '판' 연습장면. 2017.11.23. (사진 = 정동극장 제공)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 뮤지컬 '판' 연습장면. 2017.11.23. (사진 = 정동극장 제공)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이재훈 기자 = "나으리. 제 이야기가 과연 역심을 품었는지, 음란하고 불온한 이야기인지, 나으리께 한 번 펼칠 수 있게 해주십시오. 만약 이 이야기가 그렇다면 하옥이 아니라, 저잣거리에 제 목을 매달아도 좋습니다."

'수능 한파'가 어김없이 찾아온 23일 오후 정동 경향신문 사옥 7층에 자리 잡은 정동극장 뮤지컬 '판'(작 정은영, 작곡 박윤솔, 연출 변정주) 연습실은 달수(배우 김지철)의 사또 앞 호언장담에 한층 분위기가 달궈지기 시작했다.

19세기 말 조선 시대에 양반가 자제에서 염정소설과 정치풍자에도 능한 최고의 이야기꾼인 전기수(傳奇叟)가 된 달수가 하옥을 앞두고 판을 벌이는 장면.

"개와 같이 주둥이가 얄팍한 그는 오히려 땅에서 모이를 쪼아먹는 새들을 올곧게 괴롭히니… 그 세월이 족히 십 년은 되었다더라"고 사또를 겨냥한 풍자에 이어 달수 그리고 그를 전기수로 이끈 호태 그리고 사람들이 함께 부르는 '새가 날아든다' 장면.

이 부분에서 에너지와 쾌감은 시민들이 봉기하는 대표적인 명장면인 뮤지컬 '레 미제라블'의 넘버 '원 데이 모어'를 떠올리게 했다.
 
지난 3~4월 대학로 CJ아지트에서 초연 당시 총 24회차 공연을 거의 매진시킨 '판'은 우리 연희의 전통 형식과 지금의 뮤지컬 어법을 세련되게 결합해 호평을 들은 작품이다.
 
달수가 인간미에 입담을 겸비한 호태를 통해 이야기꾼의 매력에 빠지고 '낭독의 기술'을 전수하는 과정이 뼈대다.

스타 전기수인 호태의 이야기는 단지 여흥에 그치지 않는다. 현실을 반영하고, 풍자하며, 그래서 민중의 속앓이를 덜어준다.

'비선 실세'를 둔 사또가 '검은 명단'을 만들고, 사또가 퇴임 뒤에 거주할 절을 짓기 위해 장사꾼들로부터 후원금을 '강제'로 걷는 장면은 전(前) 정부의 악행을 풍자하며 호쾌한 웃음과 시원한 박수를 얻어냈다.

이날 연습실에서 만난 변정주 연출은 초연의 인기 비결에 관해 "당시 우리 사회에서 극의 내용이 통쾌하게 느껴지지 않았었나 생각한다"면서 "저희 역시 통쾌했다"고 말했다.

【서울=뉴시스】 뮤지컬 '판' 연습장면. 2017.11.23. (사진 = 정동극장 제공)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 뮤지컬 '판' 연습장면. 2017.11.23. (사진 = 정동극장 제공) [email protected]

그는 촛불로 뒤덮였던 광화문광장에서 '시민들과 함께하는 뮤지컬 배우들'과 함께 '레 미제라블'의 '민중의 노래가 들리는가' '내일로' 등 무대를 연출하기도 했다.

상반기를 달군 '판'이 12월 7~31일 정동극장 무대에 다시 오른다. CJ문화재단의 첫 제작지원 창작 뮤지컬로 이번에는 정동극장과 CJ문화재단이 공동기획했다.

초연한 CJ아지트 대학로 무대는 가로 11m × 세로 9.8m × 높이 4.9m의 블랙박스 극장, 정동극장 무대는 가로 14m × 세로 14m × 높이 5m의 프로시니엄 무대다. 가로 3m ​× 세로 3m ​​× 높이 0.1m가량 차이가 있으나 C​J아지트 무대 세트 그대로를 정동극장 무대 위에 세운다.

실질적인 공간 활용은 큰 차이가 없지만 CJ아지트는 가변형으로 130석 정도의 규모에서 진행했고, 정동극장은 280석 규모로 전체적으로 보면 스케일에서 차이가 난다.

변 연출은 "(모형 새가 날아다니고 무수한 하얀 종이 가루가 흩뿌려지는) '새가 날아든다' 같은 장면들의 그림이 훨씬 보기 좋을 것"이라고 예고했다.
 
전 정부에 대한 패러디가 전전(前前) 정부에 대한 패러디로 바뀌었지만, 이번에 초점을 맞춰야 할 부분은 극 내용보다 형식이다. '판'은 뮤지컬 주관객과 국악주관객, 양쪽에서 보기에는 아슬아슬한 줄타기를 하는 성향의 작품이다.   

양주별산대놀이, '절짓고 허는 거리' 등 꼭두각시놀음, 솟대쟁이패, 변강쇠전, 연희자인 '산받이' 그리고 이번에 경기민요 요소까지 전통적인 것으로 가득한데 표방하는 건 뮤지컬이다.

다만 변 연출은 기존 서양식 뮤지컬과는 선을 그었다. 그는 "제가 생각하는 '판'과 서양 극의 가장 큰 차이점은 배우와 캐릭터의 경계도 없고, 배우와 악사의 경계도 없다는 점"이라고 짚었다.

"'판'에서 배우들의 연기에 대한 접근 자체가 다르다. 판소리처럼 해설자가 됐다, 배우가 됐다 한다. '판'에서 중요한 것은 여섯 명이 겪은 이야기를 한 놀이패가 돼 모든 소품을 이용해 관객에게 재미있게 들려주는 것이다. 여섯 명 중 한 명이라도 참여하지 않는 장면이 하나도 없다. 자기 연기를 객관적으로 보고, 인물을 밖에서 인형 조종하듯 하기를 바랐다."

【서울=뉴시스】 뮤지컬 '판' 연습장면. 2017.11.23. (사진 = 정동극장 제공)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 뮤지컬 '판' 연습장면. 2017.11.23. (사진 = 정동극장 제공) [email protected]

결국 서양의 드라마 극처럼 인물의 역사와 내면을 쌓아가는 연기가 아니라 극 중 인물들이 겪은 이야기를 직접 전해주는, 각종 경계가 허물어진 연기라는 얘기다.

이야기 역시 하나의 큰 서사를 따라가기보다 여러 에피소드로 구성한다.

변 연출은 "아마 관객 눈에 보이는 색깔이나 스타일 또는 한국적인 무엇이 나오기를 기대하시면 아쉬워할 부분이 있다"면서 "'판'은 우리 전통 연희 놀이의 개념으로 뮤지컬을 하는 거다. 겉으로 봐서 한국적인 것이 아니라 한국적인 방식으로 이야기한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서양식 기승전결이 있지만, 느슨한 형태다. 그럼에도 각 에피소드가 완결성을 가지는 것은 어느 시대에나 있는 보편적인 정서가 녹아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런 방식의 스토리텔링이 가능했다"고 부연했다.

변 연출은 이종교배로 보일 수 있는 이런 실험에 대해 두려움이 없다고 했다. 그는 "신기한 돌연변이가 나오면 좋은 것"이라면서 "겉으로 드러나는 것은 한국적이지 않을 수 있으나 양주별산대놀이나 남사당놀이를 21세기에 했으면 이렇게 했을 것"이라고 웃었다.

이번 '판'은 정동극장이 전통 연희극을 꾸준히 선보여온 단체인 만큼 국악적인 색깔이 더 짙어진다. 뮤지컬 '여름밤의 꿈'과 연극 '아버지와 나와 홍매와'의 이나리메 감독이 편곡자로 합류했다. 국악기 대금과 아쟁이 추가됐고, 서양 장단을 국악적으로 만든 동살풀이 장단을 활용한다. 김길려 음악감독은 "바이올린이 아쟁으로 바뀌는 등 국악 색깔이 더 짙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달수 역 김지철, 호태 역 김지훈을 비롯해 윤진영, 임소라 등 초연 멤버들이 이번 공연에서 원캐스트로 함께한다. 새로 합류한 춘섬 역 최은실, 이덕 역 유주혜도 원캐스트로 나선다.

안무는 이현정, 무대는 남경식, 조명은 이동진, 의상은 박소영, 분장은 양혜조, 인형제작․인형 움직임 지도는 문재희가 힘을 보탠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