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15대그룹 CEO 신년 설문조사] 경기지표 좋은데…대기업 왜 채용 꺼리나?

등록 2017.12.04 06:09:00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경산=뉴시스】우종록 기자 = 29일 오전 경북 경산시 상방동 경산실내체육관에서 열린 '2017 청년희망 잡 페스티벌 경산시 채용박람회'를 찾은 구직자들이 현장채용게시판을 살펴보고 있다. 이날 행사에는 '청년의 도전에서 시작된다'는 주제로 지역 56개 기업이 참가해 사무직, 생산직 등 120여 명을 채용한다. 2017.11.29. wjr@newsis.com

【경산=뉴시스】우종록 기자 = 29일 오전 경북 경산시 상방동 경산실내체육관에서 열린 '2017 청년희망 잡 페스티벌 경산시 채용박람회'를 찾은 구직자들이 현장채용게시판을 살펴보고 있다. 이날 행사에는 '청년의 도전에서 시작된다'는 주제로 지역 56개 기업이 참가해 사무직, 생산직 등 120여 명을 채용한다. 2017.11.29. [email protected]

체감경기, 19개월째 기준선 아래…IMF이후 최초
최저임금 인상·정규직화 등도 부담으로 작용
"내년경기, 금리· 유가· 환율 인상 겹치면 낙관 못해"

 【서울=뉴시스】 박주연 기자 = 경기지표는 눈에 띄게 좋아지고 있지만, 내년도 고용시장에 봄바람이 불기는 기대난망으로 보인다. 주요 대기업들의 내년 고용계획이 불투명한데다, 올해보다 늘릴 곳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대기업들은 왜 이렇게 몸을 사리는 걸까.

 현재 국내 경기는 뚜렷한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반도체를 중심으로 석유화학 철강 기계 등 주요 종목의 수출이 견조한 성장세를 나타내고 있고, 내수 부문 중 소비도 회복 국면에 들어섰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때문에 올해 경제성장률 3% 돌파가 확실시되는 분위기이고, 내년에도 3% 안팎의 성장세를 구가할 것이라는 국내외 기관들의 예측이다.

 하지만 주요 대기업들이 느끼는 경기는 딴판이다. 대표적인 기업 체감 경기지표인 기업경기실사지수(BSI)는 1997년 외환위기 이후 가장 긴 기간 동안 바닥을 기고 있다. '비정규직화의 정규직화', '최저임금 인상' 등 정부의 친노동 정책에 대해 대기업들은 비용 상승을 야기하는 큰 부담으로 여기고 있다.

 이와 함께 지금 경기가 어느 정도 살아나고 있다 해도, 내년도 거시 경제적 흐름을 낙관할 수 없다는 위기감도 작용하고 있다.

 기준 금리가 올라가고, 원화 강세와 유가 상승까지 겹치는 3고(高) 현상이 현실화할 경우 내수와 경상수지 모두에 부정적 영향을 미쳐 경기회복이 중단될 가능성도 있다는 분석이다. 올해가 거의 다 끝나가는데도 내년 사업 계획을 세우지 못한 15대 기업들이 절반이 넘는 것도 이 때문이다.

 한마디로 대기업들은 회복세 있는 국내 경기가 내년에도 올해와 비슷할 것으로 보면서도, 한편에선 어쩌면 내년 하반기에는 꺾일지 모른다는 걱정을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선뜻 채용규모를 늘리거나 확정하지 못하고 관망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실제 뉴시스가 지난달 말 실시한 15대 그룹 CEO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15개 그룹 중 6곳이 아직까지도 내년 채용 계획을 확정하지 못했다.

 응답을 한 9개 그룹 중 8개 그룹은 '채용계획이 올해와 유사하다'(53.3%)고 밝혔고, 올해보다 채용을 확대할 예정이라고 밝힌 그룹은 1곳(6.7%)밖에 없었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이 매출액 기준 600대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12월 기업경기실사지수(BSI) 전망치는 96.5를 기록했다.

 BSI지수의 기준선은 100으로, 이를 웃돌면 경기를 긍정적으로 보는 기업이 많다는 뜻이고, 밑돌면 부정적 기업이 많다는 의미다.

 100 이하 BSI를 기록한 것은 19개월 째다. 올해 BSI는 한 번도 기준선 위로 올라가지 못했다. 12개월 전망치가 모두 기준선을 넘지 못한 해는 외환위기(IMF위기)가 있던 1997, 1998년 이후 올해가 처음이다.

 뉴시스 설문조사에서 CEO들은 내년 경영환경에 미치는 핵심 요인으로 '최저임금 등 노동이슈'(60.0%)를 가장 많이 꼽았다. 15대 그룹 중 9개 그룹이 노동과 관련된 이슈를 심각하게 바라보고 있다는 의미다. 뒤를 이어 '보호무역주의 확산과 글로벌 경쟁 심화'(26.7%), 환율(6.7%), 유가(6.7) 등의 순이었다. 

 내년 최저임금은 올해보다 16.4% 인상된 7530원으로 결정됐다. 정부는 2020년까지 시간당 최저임금을 1만원으로 끌어올리겠다는 계획이다.

 기본급은 낮고 상여금 비중이 높은 임금구조를 가진 일부 대기업의 경우 최저임금 인상에 따라 인건비가 큰 폭으로 상승할 전망이다.

 최저임금 인상 만큼 기업들을 옥죄는 또다른 요인은 '비정규직의 정규직화'다. 문재인 정부는 취임 후 공공부문을 중심으로 비정규직의 정규직화를 추진해왔으며, 대기업들 정부 눈치를 보며 정규직화에 동참하는 추세다.

 CEO들은 정부의 노동정책 중 완급조절이나 개선이 가장 필요한 정책(복수응답)으로 '비정규직의 정규직화'(26.7%)를 꼽았다. 두번째는 고용 유연성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23.3%)였다. 

 한 기업 관계자는 "정규직화로 고용의 유연성이 떨어진 상태에서 최저임금이 오르면 인건비 부담이 커질 수 있다"며 "내수 위축과 미국과 중국 등의 보호주의 등으로 업황이 나빠질 경우를 생각하면 쉽사리 사람을 채용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