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미세먼지, 측정구 높이따라 농도 변화…시민체감도 반영 못해

등록 2018.01.14 12:00:00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서울=뉴시스】추상철 기자 = 한파가 물러가고 미세먼지 농도가 높아진 14일 오전 서울 용산구 남산에서 바라본 도심이 미세먼지로 뒤덮여 있다. 2018.01.14. scchoo@newsis.com

【서울=뉴시스】추상철 기자 = 한파가 물러가고 미세먼지 농도가 높아진 14일 오전 서울 용산구 남산에서 바라본 도심이 미세먼지로 뒤덮여 있다. 2018.01.14. [email protected]

【세종=뉴시스】이인준 기자 = 도시대기측정소에서 측정한 미세먼지 농도가 실제 시민들이 체감하는 오염도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측정소의 평균 측정구가 고도 14m, 아파트 6층 높이로 지상에서 지나치게 높게 설정됐기 때문이라는 지적이다.

 환경부가 지난해 11~12월 서울 5곳, 경기·부산·울산·대구·경남 1곳씩 총 10곳에서 측정구 높이가 약 2m인 이동측정차량을 통해 얻은 미세먼지 농도 데이터를 같은 지역 도시대기측정소에서 측정한 것과 비교·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이번 비교측정은 송옥주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지난해 환경노동위원회 환경부 국정감사에서 제기한 문제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됐다.

 그 결과 송 의원의 지적처럼 측정구의 높이에 따라 미세먼지 농도는 최대 28.1%까지 차이를 보였다.

 측정구 높이가 24.6m로 가장 높은 서울 서대문구 측정소의 경우 측정소에서는 미세먼지 농도가 PM10 기준 32㎍/㎥로 측정된 반면, 지상에 가까운 이동측정차량에서는 41㎍/㎥로 오히려 높게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고도가 올라갈수록 대기확산이 활발해 미세먼지 농도가 떨어진다는 점을 감안하면, 때때로 정부 예보치를 웃도는 수준의 미세먼지를 시민들이 마셔왔다는 게 의원실의 지적이다. 송 의원은 "지금까지의 미세먼지 측정치가 시민의 체감오염도와 차이가 크다는 점을 확인한 것"이라고 밝혔다.

미세먼지, 측정구 높이따라 농도 변화…시민체감도 반영 못해

또 대구 수성구 역시 측정소(고도 18m) 농도는 40㎍/㎥이었으나, 지상은 48㎍/㎥로 20.0% 높았다. 부산 기장군도 측정소(20m) 농도는 25㎍/㎥, 지상은 29㎍/㎥로 각각 분석돼 16.0%의 차이가 발생했다. 서울 강동구(9.3%), 서울 용산구(9.1%), 경기 군포시(5.7%) 등도 측정소의 미세먼지가 지상 측정 데이터보다 과소 측정된 것으로 확인됐다.

 하지만 서울 광진구(-0.4%), 서울 은평구(-6.8%), 경남 창원시(-7.9%), 울산 울주군(-10.3%) 등의 경우 오히려 지상 측정 데이터가 측정소 데이터보다 낮았다. 또 입자가 더 작은 PM2.5 기준 미세먼지의 경우 높이차에 의한 오염도 차이가 뚜렷하지 않아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환경부는 실태조사를 근거로 지난 10일 '대기오염측정망 설치·운영지침'을 개정했다. 도시대기측정소의 측정구는 원칙적으로 1.5m~10m를 유지하되, 불가피한 경우라도 20m보다 높아서는 안되고 10~20m 사이라도 예외 요건을 만족하게 했다.작년말 기준 전국 328개 측정소 중 이 같은 원칙에서 벗어난 곳은 20개소다.

 홍동곤 대기정책과장은 "초과 측정소는 단계적으로 이전해 체감오염도와의 차이를 최대한 줄이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