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원희룡 당선, 중요과제는 '적폐청산·난개발 방지'

등록 2018.06.13 23:00:52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7기 도정 취임후 '적폐세력 규정, 청산 방법' 등 도민주시

'난개발 억제'는 자칫 개발정책 위축 시킬 수 있다는 지적도

【제주=뉴시스】우장호 기자 = 무소속 원희룡 제주지사 후보가 13일 제주시 자신의 선거사무실에서 당선이 확실시되자 부인 강윤형 여사와 함께 손을 들어 인사하고 있다. 2018.06.13. woo1223@newsis.com

【제주=뉴시스】우장호 기자 = 무소속 원희룡 제주지사 후보가 13일 제주시 자신의 선거사무실에서 당선이 확실시되자 부인 강윤형 여사와 함께 손을 들어 인사하고 있다. 2018.06.13. [email protected]

【제주=뉴시스】강정만 기자 = 6·13 지방선거에서 민선 7기 제주도지사에 재선된 원희룡 당선자의 과제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적폐청산'과 ‘난개발 방지’다.

원 당선자는 이번 선거에서 피아를 구분한 선거전략을 구사했다. 바로 ‘적폐청산론’이다. 그는 선거기간 내내 자신과 ‘2강 구도’를 형성했던 더불어민주당 문대림 후보와 그를 돕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전직지사를 포함해 전직공무원, 건설업계 등을 망라해 적폐라고 규정하는 전법을 구사했다.

원 당선자는 지난 4월24일 예비후보 등록을 하면서 이들을 '적폐세력'으로 규정했고, 12일 제주시청 앞에서 열린 마지막 유세에서는 "앞으로 도민들과 함께 적폐를 청산하고 제주의 성장열매를 도민들과 함께 나누겠다"고 외쳤다.

하지만 원 당선자가 말하는 적폐세력은 어떤 사람들인지, 이 세력의 청산은 무엇을 의미하는 지 아직은 모호한 상태다. 경쟁했던 후보와 전직 지사만을 얘기하는 것인지, 그 후보의 선거를 도왔던 전직 공무원과 건설업계 등을 망라한 사람들인지 명확히 정의되지 않았다.

또한 청산한다고는 했지만 어떻게 청산할지, 그 방법도 아직은 제시하지 않은 상태다. 이에 따라 원 당선자의 7기 도정 취임 이후 '적폐세력' 범위규정과 함께 이를 청산할 방법론의 제시는 도민들의 관심사가 될 전망이다.

다음의 과제는 원 당선자가 내건  ‘난개발 억제’ 다.  이는 해석하기에 따라서는 난개발 '억제'이지 '반대'가 아니다는 합리화는 가능하지만, 개발이냐 보존이냐의 이분법적 논리에서 보면 '보존'을 강조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 해석은 원 당선자가 선거 내내 그는 도의장을 지낸 문대림 후보와 문 후보를 지지하는 전임 도정 책임자를 싸잡아 난개발을 부추긴 장본인으로, 중국자본을 끌어들여 제주땅을 팔어먹은 ‘매판(買辦)’으로 비난한 사례에서 찾을 수 있다.

【제주=뉴시스】우장호 기자 = 무소속 원희룡 제주지사 후보가 12일 오후 제주시청 인근에서 마지막 총력 유세에 나서 지지자들과 인사를 나누고 있다. 이 자리에서 원 당선자는 "당선되면 적폐세력을 척결하겠다"고 약속했다.(뉴시스 DB)

【제주=뉴시스】우장호 기자 = 무소속 원희룡 제주지사 후보가 12일 오후 제주시청 인근에서 마지막 총력 유세에 나서 지지자들과 인사를 나누고 있다. 이 자리에서 원 당선자는 "당선되면 적폐세력을 척결하겠다"고 약속했다.(뉴시스 DB)

이에 따라 원희룡 7기 도정의 개발정책은 상당히 위축될 것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당장 중국자본으로 개발계획을 세우고 추진 중인 제주시 오라관광단지 인허가가 7기 원 도정 개발정책의 리트머스 시험지가 됐다. 이 곳 인허가는 현재 제주도 자본검증위원회가 자본검증을 하고 있고, 이 검증이 끝나면 도가 결정을 내려야 할 사안이다.

이곳 개발은 도내 건설업체들이 찬성을 하는 입장이다. 제주시 오라2동 일대 357만5753㎡에 총 5조2000억원을 투입하는 사업이어서 건설업체에서는 지역경제 활성화에 개대를 모은다.

하지만 이곳 자본이 중국계 자본인데다, 도내 시민사회단체들이 일제히 개발을 반대하고 있어 원 당선자가 이를 어떻게 풀지 관심이 쏠린다.

"난개발을 억제하겠다"는 논리가 원 당선자의 7기 도정 임기내내 개발허가를 위축시킬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자신이 한말이 '자충수'가 되는 형국이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