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韓인구, 100년 뒤면 2100만명…54%가 노인·유소년

등록 2019.03.28 12:00:00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통계청 '장래인구특별추계: 2017~2067년'

'중위 추계' 기준 2117년 총인구 2100만명

고위 추계 3181만명, 저위 추계 1169만명

노인·유소년 '비생산연령인구' 비중은 54%

생산연령인구의 노년부양비 100%에 육박

이 사진은 기사와 직접적인 관련 없음. (사진=뉴시스 DB)

이 사진은 기사와 직접적인 관련 없음. (사진=뉴시스 DB)


【세종=뉴시스】김진욱 장서우 기자 = 100여년 뒤인 2117년 한국 인구는 현재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2100만명 규모로 쪼그라든다. 이중 54%가 비생산연령인구인 노인·유소년이다.


韓인구, 100년 뒤면 2100만명…54%가 노인·유소년


28일 통계청이 내놓은 '장래인구특별추계: 2017~2067년' 자료를 보면 한국의 2117년 인구는 2082만명이 될 전망이다. 남성은 1015만명, 여성은 1067만명이다.

이는 출생·사망·국제이동 등 인구변동요인이 중간 수준으로 발생한다고 가정한 '중위(Medium) 추계' 기준이다.

2067년 3929만명을 시작으로 매년 50만명가량씩 감소한다. 2076년에는 3495만명으로 3500만명을 밑돌게 된다. 2081년에는 3263만명이 돼 3300만명의 벽도 깨진다. 2090년에는 2861만명, 2100년 2497만명, 2110년 2232만명으로 줄어든다.

중위 추계 기준 2117년 한국 고령인구(65세 이상)는 946만명이다. 전체 인구 중 45.4%를 차지한다. 유소년인구(0~14세)는 8.8%인 184만명이다. 54% 이상이 비생산연령인구인 셈이다.

이에 따라 생산연령인구(15~64세)가 고령인구(65세 이상)를 부양하는 비율인 '노년부양비'는 99.4%까지 상승한다. 노년부양비에 유소년인구 부양 부담을 나타내는 '유소년부양비'를 합한 '총부양비'는 118.7%까지 올라간다.

기대수명은 남성의 경우 92.8세, 여성은 94.8세다.

인구가 많게 증가한다는 긍정적인 가정의 '고위(High) 추계' 기준 2117년 한국 인구는 3181만명이다. 이때 고령인구 비중은 41.0%, 유소년인구는 10.3%다. 노년부양비는 84.1%, 총부양비는 105.2%다.

적게 증가한다는 부정적인 '저위(Low) 추계' 기준은 1169만명이다. 고령인구 비중은 53.5%, 유소년인구는 6.4%다. 노년부양비는 133.3%, 총부양비는 149.3%다.

이 통계는 2017년 인구주택총조사 결과와 2018년까지의 인구변동요인 추이를 반영해 미래 인구를 가정하고 향후 50년(2017~2067년)간 장래인구를 전망한 자료다.

통계청은 인구총조사, 인구동태통계(출생·사망), 국제인구이동통계 등을 활용해 이 통계를 작성했다. 장래인구추계 집계 주기는 5년이다. 이전 자료를 2016년에 발표했으므로 이번 자료는 2021년 공표해야 하나 최근 초저출산 상황을 반영해 특별추계를 내놨다.

장래인구추계는 7월1일 시점 인구이며 한국에 3개월 이상 거주하는 내·외국인을 포함한다. 한국 거주 여부와 관계없이 등록된 내국인·재외국민을 포함하는 주민등록인구와는 차이가 있다.

향후 50~100년(2067~2117년)간 인구추계는 장기 재정 및 연금정책에 활용하기 위한 자료다. 먼 미래인 데다가 개인 가치관이나 태도 변화에 따라 인구변동요인의 추세가 바뀔 수 있으므로 불확실성이 존재한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