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인터뷰]김초엽 "도저히 이해 못하는 무엇을 이해하려는 이야기"

등록 2019.06.19 11:23:25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소설집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

[인터뷰]김초엽 "도저히 이해 못하는 무엇을 이해하려는 이야기"

【서울=뉴시스】신효령 기자 = "변화하는 세계 속에서 개인이 어떻게 맞서는지를 다루고 싶었다. 예전부터 페미니즘, 인권 문제에 관심이 많았다."

김초엽(26)은 소설집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을 쓰게 된 이유를 이렇게 말했다. 표제작을 비롯해 '감정의 물성' '관내분실' '나의 우주 영웅에 관하여' 등 7편이 담겼다.

포스텍 화학과를 나와 동대학원에서 생화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2017년 '관내분실'과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으로 제2회 한국과학문학상 중단편 대상과 가작을 받으며 작품활동을 시작했다.

"대학원생 때 실험을 하다보니 시간을 내기가 어려웠다. 한 1년 정도만 글쓰기에 집중해보자는 생각이었는데, 어쩌다보니 전업작가를 하고 있다. 기회를 많이 얻었다"고 돌아봤다. "과학을 전공하면서 예술에 관심이 있었다. 대학생때 과학을 소재로 한 칼럼, 에세이를 썼다. 과학을 모르는 사람도 이해할 수 있도록 많이 훈련했다. 기술 자체도 중요하지만, 기술이 사람들에게 어떤 영향을 줬는지도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정상과 비정상, 성공과 실패, 주류와 비주류 등의 경계로 시선이 향했다. '나의 우주 영웅에 관하여'에는 실패한 여성 우주인이 등장한다. '순례자들은 왜 돌아오지 않는가'는 뛰어난 과학자 릴리 다우드나로 인해 '완벽한' 유전자의 선택이 가능해진 근미래가 배경이다.
[인터뷰]김초엽 "도저히 이해 못하는 무엇을 이해하려는 이야기"

"이름이 없는 행성. 그곳의 이름을 말로 표현할 수 없다는 사실은 오히려 그 신비한 세계에 몽환적인 상상을 덧대었다. 사람들은 그곳을 류드밀라의 행성이라고 불렀다. 행성의 실존과는 무관하게 그런 이름으로 합의된 어떤 세계가 있었다. 류드밀라가 기억하는, 류드밀라가 가보았던, 류드밀라가 창조한, 류드밀라가 일관적으로 그려내는 분명한 세계."

"사연을 아는 사람들은 내게 수십 년 동안 찾아와 위로의 말을 건넸다네. 그래도 당신들은 같은 우주 안에 있는 것이라고. 그 사실을 위안 삼으라고. 하지만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조차 없다면, 같은 우주라는 개념이 대체 무슨 의미가 있나?" 330쪽, 1만4000원, 동아시아

김 작가는 "탐구하고 천착하는 사람들이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무엇을 이해해보려는 이야기를 좋아한다. 언젠가 우리는 지금과 다른 모습으로 다른 세계에서 살아가게 되겠지만, 그렇게 먼 미래에도 누군가는 외롭고 고독하며 닿기를 갈망할 것이다. 어디서 어느 시대를 살아가든 서로를 이해하려는 일을 포기하고 싶지 않다. 앞으로 소설을 계속 써나가며 그 이해의 단편들을, 맞부딪히는 존재들이 함께 살아가는 이야기를 찾아보려고 한다"고 했다.

"더 많은 독자들을 만나고 싶다"며 의욕을 드러냈다.

 "단기적으로 장편소설을 준비하고 있다. 성공적으로 장편을 집필하고 싶다. 사람들에게 재밌고 쉽게 읽히면서 새로운 관점도 제공하는 이야기를 쓰고 싶다. SF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게 경외감이다. 광활한 우주에서 나라는 존재를 깨닫게 될 때 인식이 깨어난다. 찰나의 시간에 자신이 있다는 걸 느낀다. 소설의 쓸모라는 게 사회적인 공감의 영역을 확장시키는 데 있다. 모든 소설이 그런 역할을 하는 것은 아니지만, 인물의 경험과 세계에 대해 다룬다. 타자의 입장에서 공감의 영역을 확대한다고 생각한다."
[인터뷰]김초엽 "도저히 이해 못하는 무엇을 이해하려는 이야기"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