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증권사·정부·공공기관까지 가세…판 더 커지는 간편결제 시장

등록 2019.06.21 13:18:46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네이버·카카오·페이코 등 일본 등 해외로 서비스 영역 확대

(사진=미래에셋대우 제공)

(사진=미래에셋대우 제공)

【서울=뉴시스】이진영 기자 = 은행·카드사·전자금융업자·단말기 제조사 등에 증권사까지 가세하며 간편결제 시장의 판이 더욱 커지고 있다. 또 민간뿐 아니라 서울시, 한국은행, 우체국 등 정부 및 공공기관까지도 페이 경쟁에 뛰어들고 있다.

21일 IT 및 금융업계에 따르면 자기자본 1위 증권사 미래에셋대우는 지난 19일 전자지급결제대행업(PG업) 등록을 완료했다. 지난해 12월 증권사의 PG업 겸영을 허가한 금융투자업 규정 개정안 의결에 따른 첫 사례다.

미래에셋대우는 이번 PG업 등록을 바탕으로 중국 텐센트와 협력해 오는 7~8월을 목표로 공식 협약서 체결을 추진하고 있다. 우선적으로 국내에 방문한 중국인이 텐센트의 위챗페이를 통해 미래에셋대우와 계약을 맺은 국내 가맹점에서 간편결제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구상이다.

미래에셋대우 관계자는 "등록을 이제 막 마침에 따라 위챗페이 협약 추진 외에는 아직 구체적으로 사업 계획이 확정된 것은 없다"면서도 "국내와 글로벌 시장을 대상으로 어떻게 간편결제사업을 할지 구상 중이다"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글로벌을 무대로 뛰는 미래에셋대우가 어떤 식으로 간편결제 서비스를 선보일지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또 미래에셋대우를 시작으로 다른 증권사도 간편결제 시장에 추가로 진출할 가능성도 높은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간편결제 시장은 지난해 말 기준 은행·카드사·전자금융업자·단말기 제조사 등 국내 43개사에서 삼성페이, 네이버페이, 카카오페이, 페이코 등 간편결제 서비스 50종을 제공하고 있다. 페이 업자들 상당수가 적자로 이미 포화 상태라는 진단도 나온다.

(자료=금융감독원 제공)

(자료=금융감독원 제공)

그럼에도 정부의 규제 완화와 함께 관련 시장이 급성장하면서 페이 업체 수와 서비스 영역은 더욱 확대되고 있다. 금융감독원이 지난 4월 발표한 국내 간편결제 서비스 현황 자료에 따르면 간편결제 이용액은 지난해 80조1453억원으로 2016년의 26조8808억원와 견줘 2년새 3배로 성장했다.

최근에는 국내 간편결제 업체들이 해외로 서비스 영역을 넓혀 눈에 띈다. 카카오페이와 네이버페이, 페이코 등 간편결제 업체는 일본을 시작으로 중국과 동남아시아 등에서 해외결제 서비스를 개시하고 있다.

정부와 공공기관도 각종 세제 혜택 등으로 무장한 후 페이 전쟁에 나서고 있다. 서울시는 소상공인의 신용카드 수수료 부담을 0%로 낮춘 '제로페이' 서비스를 작년 12월에 개시했다. 우체국도 연매출 5억원 미만 자영업자에게 수수료를 받지 않는 간편결제 서비스 포스트페이를 지난해 9월부터 선보였다. 한국은행은 올 하반기 시행을 목표로  ‘은행 공동 모바일직불결제 서비스'(가칭 한은페이)를 추진하고 있다.

현금 없는 사회로 변화하는 가운데 간편결제 시장은 앞으로도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 간편결제 사업 관계자는 "전자제품 판매를 위한 부가 서비스 차원, 자사의 쇼핑몰에 묶어두려는 목적, 지역경제 활성화 등 페이마다 만들어진 목적이 다 다르다"며 "현금 없는 사회가 되는 과정에서 수십개의 페이 서비스가 출시되고 있지만 종국에는 경쟁력에 따라 주요 페이만 남아 정리가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