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부천시, '2020 스마트시티 챌린지 사업' 선정

등록 2020.02.17 11:19:07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민·관협동모델 통해 도시문제 해결·마을기업 수익 창출 모델 구축

장덕천 시장 "기술력 있는 강소기업과 진화·움직이는 도시 조성 총력"

[부천=뉴시스] 정일형 기자=시티챌린지 공유주차 및 모빌리티 공유경제플랫폼. (사진은 부천시 제공)

[부천=뉴시스] 정일형 기자=시티챌린지 공유주차 및 모빌리티 공유경제플랫폼. (사진은 부천시 제공)

[부천=뉴시스] 정일형 기자 = 국토교통부가 주관한 '2020 스마트시티 챌린지 사업'에 경기 부천시가 선정됐다.

장덕천 부천시장은 17일 오전 시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지난해 5월 전국 지자체 대상으로 한 공모에서 3차 심사를 거쳐 부천시를 포함한 총 6곳이 실증 지역으로 선정돼 국비 15억원을 지원받았다"면서 "이후 7개월간 실증을 거쳐 지난 2월 12일 진행된 최종 평가에서 부천시가 기초 지자체 중 유일하게 본 사업에 선정됐다"고 밝혔다.

스마트시티 챌린지 사업은 시민과 기업, 지자체가 함께 스마트기술·솔루션을 활용해 도시 문제 해법을 찾는 사업이다.

시는 지난해 6월부터 12월까지 삼정동 지역을 대상으로 원도심 주차문제 해결을 위해 데이터 얼라이언스, LH, 유디아이 등 12개 민간기업과 컨소시엄을 구성하고 마을공동체인 상살미사람들과 함께 블록체인기반의 공유경제플랫폼을 활용해 주차공유, 공유차량, 공유킥보드, 대리주차 등의 통합 서비스를 실증했다.

이를 통해 공유 주차공간 280면 확보, 주차면 공유를 통한 주차면 추가공급(19.46면/일), 주차장 수급율 72% 증가(37→109%), 불법주차 41% 감소(266→156대/일), 마을기업(상살미사람들) 설립·운영을 통한 21명의 고용 창출 효과를 거뒀다.
 
특히 시는 중소기업·스타트업은 물론 시민참여형 실증을 이끌어내 민·관협동모델을 통해 도시문제 해결과 지속적인 마을기업 수익 창출이 가능한 비즈니스 성공 모델을 마련해 사업의 조기 확산 및 확장성을 확보하게 됐다.

시는 향후 본 사업에서 국내 독자적인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강소기업(크로센트, 아토리서치, N3N, 크레스프리 등)과 협력 거버넌스체계를 확대 구축해 실증 결과를 더욱 고도화하고 부천시 전역으로 넓혀 혁신기술(AI 영상, AI 클라우드, 데이터 진화 등) 기반의 공공서비스를 활용해 교통(주차 및 모빌리티 대중교통연계), 안전, 환경(쓰레기 정보 수집) 문제를 해결해 나갈 계획이다.

장덕천 부천시장은 "기술력 있는 강소기업들과 함께 시민이 직접 만들고 직접 누릴 수 있는 사람 중심의 지속가능한 스마트 도시가 구축될 수 있도록 강소기업에 대한 성장지원과 시민의 역량 강화에도 집중할 계획"이라며 "스마트시티 챌린지를 통해 계속 진화하는 움직이는 도시 부천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고 밝혔다.

한편 국토부가 지난 16일 스마트 시티 2020년 스마트 챌린지 본사업 평가 결과 2019년 예비사업 지원대상으로 선정된 10개 지역 중 시티챌린지는 대전광역시, 경기 부천시, 인천광역시 등 3개 지역, 타운챌린지는 경남 통영시, 서울 성동구, 부산 수영구, 충남 공주·부여 등 4개 지역을 본사업 지원 대상으로 최종 선정했다. 

스마트 챌린지는 도시문제 해결을 위해 기업과 시민, 지자체가 함께 만들어가는 스마트솔루션 구축 사업으로, 사업규모에 따라 시티 챌린지(대), 타운 챌린지(중), 솔루션 챌린지(소)의 세 가지 유형으로 추진된다.

시티 챌린지는 민간기업의 아이디어로 도시 전역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종합 솔루션을 실증·구축하는 사업으로, 첫 해에는 선정된 기업·지자체 컨소시엄에 계획 수립 및 대표솔루션 실증 비용을 지원하고, 후속평가를 거쳐 성과가 우수한 곳에 3년간 200억~250억원 규모의 본사업을 지원한다.
[부천=뉴시스] 정일형 기자=시티챌린지 움직이는 도시 부천.(사진은 부천시 제공)

[부천=뉴시스] 정일형 기자=시티챌린지 움직이는 도시 부천.(사진은 부천시 제공)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