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두개골 제거없이 쥐 신경망 투시 '홀로그램 현미경' 개발

등록 2022.08.30 10:20:10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가톨릭대 의대 김문석 교수 공동연구팀

"기존 기술 불가능한 깊이서 관찰 가능"

[서울=뉴시스]빛과 물질의 상호작용을 정량화해 보다 더 깊은 곳까지 관찰 가능한 고심도 3차원 시분해 홀로그램 현미경. (사진= 가톨릭중앙의료원 제공) 2022.08.30

[서울=뉴시스]빛과 물질의 상호작용을 정량화해 보다 더 깊은 곳까지 관찰 가능한 고심도 3차원 시분해 홀로그램 현미경. (사진= 가톨릭중앙의료원 제공) 2022.08.30

[서울=뉴시스] 백영미 기자 = 국내 연구진이 살아있는 쥐의 두개골을 제거하지 않고도 뇌 신경망을 3차원(3D) 고해상도로 관찰할 수 있는 홀로그램 현미경을 개발했다.

가톨릭대 의대 의생명과학교실 김문석 교수는 기초과학연구원 분자 분광학 및 동력학 연구단 최원식 부연구단장(고려대학교 물리학과 교수), 서울대 생명과학부 최명환 교수와의 공동 연구를 통해 빛과 물질의 상호작용을 정량화해 보다 더 깊은 곳까지 관찰 가능한 고심도 3차원 시분해 홀로그램 현미경을 개발했다고 30일 밝혔다.

연구팀은 다양한 각도로 빛을 넣어도 비슷한 반사파형을 가지는 단일 산란파의 특성을 이용해 단일 산란파만 골라내는 방법을 고안했다.

빛을 이용해 몸 속 깊은 곳을 관찰하려면 충분한 빛 에너지를 전달해 반사되는 신호를 정확하게 측정해야 한다. 하지만 생체 조직에서 빛은 다양한 세포들에 부딪히며 생기는 다중산란 현상과 이미지가 흐릿하게 보이는 수차로 관찰이 쉽지 않다.

빛은 생체 조직 같은 복잡한 구조에서 다중 산란을 겪는 과정에서 빛이 가진 영상 정보를 잃어버린다. 비록 아주 적은 양이더라도 보고 싶은 물체와 한번 부딪쳐 반사된 빛(단일 산란파)만 골라 수차로 인한 파면 왜곡을 보정해주면 깊은 곳까지 관찰할 수 있다. 하지만 다중 산란파가 이를 방해한다. 고심도 생체 영상을 얻기 위해서는 다중 산란파를 제거하고 단일 산란파의 비율을 증가시키는 것이 중요한 이유다.

연구팀이 고안한 단일 산란파만 골라내는 방법은 매질(파동을 전달시키는 물질)의 고유모드를 분석하는 수치연산으로 빛의 파면 사이에 보강간섭(같은 위상의 파동이 중첩될 때 일어나는 간섭)을 극대화하는 공명 상태를 찾아내는 방법이다.

연구팀은 이 방법으로 뇌 신경망에 기존보다 80배 많은 빛을 모으고, 불필요한 신호를 선택적으로 제거해 단일 산란파의 비율을 수십 배 증가시켰다. 이후 기존 기술로는 불가능했던 깊이에서도 빛의 파면 왜곡을 보정했고 쥐의 두개골을 제거하지 않고도 가시광선 대역 레이저로 형광 표지 없이 두개골 밑에 존재하는 뇌 신경망 영상을 고해상도로 얻는 데 성공했다.

김문석·최원식 교수는 “기초 원리에서부터 쥐 두개골 속 신경망을 관찰하기까지 물리·생명·뇌과학 인재들과 함께 연구하며 뇌신경영상 융합기술의 새로운 길을 열었다"며 "향후 뇌신경과학을 포함한 다양한 의·생명 융합 연구와 정밀 측정이 필요한 산업분야에 파급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지난달 28일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Science Advances)' 온라인판에 실렸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