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전문가 60%, "1년내 금융위기 등 단기충격 발생할 것"

등록 2022.11.27 12:00:00수정 2022.11.27 12:23:41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금융시스템 위기 등 단기충격 발생한다" 전망 6개월 새 2배 늘어

전문가들 "최고 금융 리스크는 가계부채 상환부담"

저축은행·증권사 등 비은행업 취약성 커

"경기침체 감안한 금리인상 속도 조절 필요"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류난영 기자 = 국내외 금융·경제 전문가 10명 중 6명은 1년 이내에 국내 금융시스템에 위기를 초래할 수 있는 단기 충격이 발생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또 우리나라의 금융시스템을 가장 위협하는 요인으로 '가계의 높은 부채 수준 및 상환부담 증가'를 꼽았다.

한국은행이 27일 공개한 '2022년 하반기 시스템 리스크 서베이 결과'에 따르면, 1년 이내에 금융시스템 위기를 초래할 수 있는 단기 충격 발생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 '매우 높음' 또는 '높음'으로 응답한 비중이 58.3%로 집계됐다. 올해 6월 말(26.9%) 수준과 비교해 단기 충격 우려가 커진 것으로, 불과 6개월 만에 두 배 가량 늘었다.

반면 '낮음' 또는 '매우 낮음'으로 응답한 비중은 5.6%로 6월 말(32.1%)보다 큰 폭 하락했다.

이번 서베이는 한은이 지난 2일부터 9일까지 금융기관, 연구소, 대학, 해외 IB 등 국내외 금융·경제전문가 72명을 대상으로 의견을 조사한 결과다.

중기 충격이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음' 또는 '높음'으로 응답한 비중도 40.3%로 지난 6월 말(32.9%)보다 높아졌다. '낮음' 또는 '매우 낮음'으로 응답한 비중(15.3%)은 지난번 조사(25.3%)보다 하락했다.

국내외 금융·경제 전문가들은 또 현재 우리나라 금융시스템의 가장 큰 리스크로 '가계의 높은 부채 수준 및 상환부담 증가(69.4%)'를 꼽았다. '기업의 자금조달 여건 악화에 따른 부실위험 증가'(62.5%), '금융기관 대출 부실화 및 우발채무 현실화 우려'(48.6%), '국내 시장금리의 급격한 상승'(43.1%), '부동산 시장 침체'(36.1%) 등도 주요 리스크로 봤다. 주요 리스크는 전문가들이 꼽은 5대 위험요인 중 응답 비중이 50%를 넘는 것이다. 
 
위험 순위를 고려하지 않고 단순 응답 빈도수(5가지 복수 응답) 기준으로 봤을 때는 '기업의 자금조달 여건 악화에 따른 부실위험 증가'(27.8%), '가계의 높은 부채 수준 및 상환부담 증가'(16.7%), '금융기관 대출 부실화 및 우발채무 현실화 우려'(13.9%) 등의 순이었다.

주요 리스크 요인 중 '기업의 자금조달 여건 악화에 따른 부실위험 증가', '금융기관 대출 부실화 및 우발채무 현실화 우려', '국내 시장금리의 급격한 상승', '원자재 가격 상승 및 글로벌 공급망 차질 등에 따른 물가상승 압력' 등의 리스크는 대체로 단기(1년 이내)에, '가계의 높은 부채 수준 및 상환부담 증가', '부동산 시장 침체' 등은 중기(1~3년)에 위험이 현재화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아울러 '국내 시장금리의 급격한 상승'은 발생 가능성이 높고 영향력도 큰 것으로 평가했다. 반면 '금융기관 대출 부실화 및 우발채무 현실화 우려', '기업의 자금조달 여건 악화에 따른 부실위험 증가', '부동산 시장 침체' 등은 금융시스템에 미칠 영향력이 크지만 발생 가능성은 비교적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금융시스템의 안정성에 대한 신뢰도(향후 3년간)가 크게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시스템의 안정성에 대해 '매우 높음', 또는 '높음'으로 응답한 비중은 36.1%로 6월 말(53.2%) 보다 큰 폭 하락했다. 반면 '보통'(43.0%→51.4%), '낮음'(3.8%→12.5%)으로 응답한 비중은 상승했다.

금융취약성이 가장 부각될 것으로 판단되는 금융업권에 대해서는 대부분의 응답자들이 저축은행, 증권사, 캐피탈사 등 비은행업권을 지목했다.

저축은행의 경우 높은 취약차주 비중에 따른 자산 부실화 및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부실화 우려가 높고, 증권사 또한 부동산 PF 익스포저가 높아 우발채무 현실화 등 신용·유동성 리스크에 취약한 것으로 평가됐다.

전문가들은 우리나라 금융시스템의 안정성 제고를 위해 필요한 정책 방안에 대해 "자금시장 경색 방지를 위한 금융당국의 적극적인 유동성 공급과 시장과의 소통 강화해야 한다"며 "금융기관의 자산건전성 관리와 더불어 금융시스템 내 잠재리스크를 선제적으로 파악하기 위한 금융당국의 스트레스 테스트 강화, 가계부채 및 경기침체 등을 감안한 금리인상 속도 조절 등이 필요하다"고 의견을 제시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