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朴대통령 對日 '경고' 메시지 없었다…'독도·위안부' 언급 안해

등록 2013.08.15 14:01:18수정 2016.12.28 07:54:55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서울=뉴시스】조종원 기자 = 박근혜 대통령이 15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제68주년 광복절 경축식에 참석해 기념사를 하고 있다. 2013.08.15.  choswat@newsis.com

【서울=뉴시스】조종원 기자 = 박근혜 대통령이 15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제68주년 광복절 경축식에 참석해 기념사를 하고 있다. 2013.08.15.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김형섭 기자 = 박근혜 대통령이 15일 광복절 경축사를 통해 던진 대일(對日) 메시지는 일본 정부와 정치 지도자들에 대한 올바른 역사인식 요구로 요약된다.

 또 역내 국가들이 협력 가능한 분야부터 시작해 신뢰관계를 구축한다는 '동북아 평화협력 구상'에 동참해 달라는 메시지도 직접적으로 전달했다.

 일본 측이 과거사 문제를 정확히 인식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양국 간 어떤 논의나 협력도 제대로 진전될 수 없다는 박 대통령의 한·일관계 원칙이 그대로 유지됐다는 평가다.

 그러나 일본의 우경화 움직임에 대한 단호한 '경고' 메시지가 나올 것이라던 당초 예상보다 수위가 상당히 낮아졌다. 독도나 위안부 등 양국 간 민감한 현안의 직접적인 언급도 없었다.

 박 대통령은 이날 경축사에서 한·일관계와 관련해 "일본은 동북아 평화와 번영을 함께 열어갈 중요한 이웃"이라고 전제했다.

 그러면서 "하지만 과거사 문제를 둘러싼 최근 상황이 한일 양국의 미래를 어둡게 하고 있다"며 "과거를 직시하려는 용기와 상대방의 아픔을 배려하는 자세가 없으면 미래로 가는 신뢰를 쌓기가 어렵다"고 지적했다.

 공동번영의 미래지향적 한·일관계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일본의 올바른 역사 이해를 바탕으로 한 양국 간 신뢰 구축이 우선이라는 점을 강조한 것이다.

 박 대통령은 "일본은 이런 문제를 직시할 필요가 있다"며 "과거 역사에서 비롯된 고통과 상처를 지금도 안고 살아가고 계신 분에 대해 아픔을 치유할 수 있도록 책임있고 성의있는 조치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양국 간 신뢰구축을 위한 또 하나의 방법론으로 박 대통령은 "동북아의 평화와 공동번영을 함께 만들어 나가기 바란다"며 일본에 동북아 평화협력 구상 참여를 촉구했다.

 미국을 포함한 중국, 일본, 러시아 등 역내 국가들이 비정치적인 이슈에서부터 다자협력을 통한 신뢰를 쌓고 나아가 더 큰 문제와 갈등을 호혜적 입장에서 풀자는 게 동북아 평화협력 구상의 골자다.

 이처럼 '책임과 신뢰'로 요약되는 기존 한·일관계의 원칙을 견지하면서 일본의 진정성 있는 역사인식을 촉구하긴 했지만 일본 정치 지도자들의 망언과 역사왜곡, 노골적인 우경화 움직임 등에 대한 경고성 언급이 빠진 점을 아쉬워하는 지적도 제기된다.

【서울=뉴시스】조종원 기자 = 박근혜 대통령이 15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제68주년 광복절 경축식에서 참석자들을 향해 손인사를 하고 있다. 2013.08.15.  choswat@newsis.com

【서울=뉴시스】조종원 기자 = 박근혜 대통령이 15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세종문화회관에서 열린 제68주년 광복절 경축식에서 참석자들을 향해 손인사를 하고 있다. 2013.08.15.  [email protected]

 무엇보다 박 대통령이 광복절을 이틀 앞둔 지난 13일 해군 잠수함 '김좌진함' 진수식에서 "우리의 국익과 해양주권을 훼손하려는 어떠한 시도도 결코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며 일본의 '독도 도발'에 우회적으로 경고성 메시지를 보낸 바 있어 이같은 기조가 8·15 경축사에도 그대로 담길 것이란 전망이 많았다.

 하지만 박 대통령은 이날 경축사에서 독도나 위안부 문제 등은 직접적으로 언급하지 않으면서 일본을 자극할만한 표현을 자제했다. 전반적으로 경고보다는 촉구에 가까웠다는 평가다.

 역시 독도 및 위안부 언급은 없었지만 "가해자와 피해자라는 역사적 입장은 천년의 역사가 흘러도 변할 수 없는 것"이라던 지난 3·1절 기념사보다 대일 메시지의 수위가 낮아졌다는 해석도 나온다.

 박 대통령이 이처럼 경고성 메시지보다는 올바른 역사인식을 촉구하는 선에서 경축사를 정리한 것은 대일 강경기조가 지금의 경색된 양국 관계를 더욱 풀기 어렵게 만들 수 있는 우려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박 대통령은 대일 메시지의 수위를 놓고 막판까지 고심을 거듭한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 정치 지도자들과 일반 국민을 구분해 접근한 것도 이같은 고민이 담긴 것으로 볼 수 있다.

 박 대통령은 "저는 대다수 일본 국민들은 한일 양국이 동북아의 평화와 번영을 함께 만들어가기를 염원하고 있다고 믿는다"며 "일본의 정치인들이 과거의 상처를 치유해 나가는 용기있는 리더십을 보여줘야 한다"고 충고했다.

 한류 등 양국 간 문화교류와 민간 차원의 경제협력 관계 등을 고려해 역사왜곡과 노골적인 우경화 움직임의 책임은 일본 국민이 아닌 정치 지도자들에게 있다는 점을 전제한 것이란 분석이다.

 다만 박 대통령이 고려 후기의 문신인 이암 선생의 '나라는 인간에 있어 몸과 같고 역사는 혼과 같다'는 말을 인용하면서 "만약 영혼(역사)에 상처를 주고 신체(나라)의 일부를 떼어가려고 한다면 어떤 나라, 어떤 국민도 그것을 받아들일 수 없을 것"이라고 한 부분은 독도와 위안부 문제를 간접적으로 언급한 것이란 해석도 있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