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단독 ]한전, 7000억 투자 호주 '바이롱 광산'…수천억 손실 보고 되판다

등록 2017.01.11 11:01:07수정 2017.01.11 19:30:05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나주=뉴시스】이창우 기자 = 국내최대 공기업인 한국전력이 10일 빛가람 나주시대 개막 100일을 맞이했다. 한전은 지난 28년간 이어온 서울 삼성동 시대를 마감하고 본사 인력 1531명이 2014년 11월30일 나주 신사옥으로 이전을 완료하고 12월1일부터 현지에서 첫 공식업무를 시작한 바 있다. 2015.03.11 (사진=나주시 제공)  lcw@newsis.com 

【나주=뉴시스】이창우 기자 = 국내최대 공기업인 한국전력이 10일 빛가람 나주시대 개막 100일을 맞이했다. 한전은 지난 28년간 이어온 서울 삼성동 시대를 마감하고 본사 인력 1531명이 2014년 11월30일 나주 신사옥으로 이전을 완료하고 12월1일부터 현지에서 첫 공식업무를 시작한 바 있다. 2015.03.11 (사진=나주시 제공)

 [email protected]
 

한전, 발전 5사에 10% 지분 306억원에 매각, 나머지 90%로 순차 매각키로 2010년부터 7000억원이 들어간 사업, 최대 4000억원의 손실 내고 파는 셈  이명박 정부 당시 대표적 자원외교 사업…7년 동안 사업 '스톱' 상태 

【세종=뉴시스】박상영 기자 = 한국전력이 호주 바이롱 유연탄 광산 지분 100%를 발전 5회사에 3년간 순차적으로 매각한다. 무려 7000억원을 투자한 해외 자산을 최대 4000억대의 손실을 보고 되파는 것이다.

 이명박 정부 당시 의욕적으로 추진했던 해외 자원개발 사업이 결국 7년여 만에 한전에 막대한 부채만 안기고 끝난 셈이다. 

 11일 전력업계에 따르면 한전은 지난해 말 발전 5사와 바이롱 법인 주식 매매 계약을 체결했다. 한전은 발전 5사에 바이롱 법인의 주식을 지분 10%(306억원)를 매각했다.

 나머지 90% 지분 가운데 39%는 2단계로 호주 정부의 개발 승인 이후 3개월 이내 발전 5사에 추가 매각하고, 생산안정화에 돌입한 이후, 남은 51% 지분도 3단계로 팔기로 했다.

 2단계 지분 매도가격은 직전 결산 순자산 장부가액으로, 3단계 매각가격은 당시 순자산 장부가액으로 정했다.

 한전이 지난해 말까지 약 7000억을 바이롱 광산에 투자해온 것을 고려하면 장부가액이 오르더라도 수 천억의 손실이 불가피해진 셈이다.

 특히 1차 지분 매각가격과 동일하게 나머지 90% 지분도 팔 경우 회수금액은 3060억원에 불과하다. 이는 2010년 당시 매입 금액 4190억과 추가 투자액 2821억원 등 약 7000억원이 들어간 점을 감안하면 최대 4000억원의 손실을 보게 되는 셈이다.

 전력업계 관계자는 "바이롱 광산이 생산 안정화 단계에 안착하면 1단계 매각 가격보다 장부가액은 오를 것으로 보인다"면서도 "한전의 막대한 투자 금액을 감안하면 수천억원의 손실은 피할 수 없게 됐다"고 했다.

 앞서 한전은 2010년에 세계 3위 유연탄 수출기업인 호주 앵글로 아메리칸(Anglo American)사로부터 4190억 원(3억4000만 달러)에 바이롱 광산을 인수했다.

 한전은 당시 바이롱 광산 인수를 통해 해외 자원개발 사상 최초로 대규모 유연탄 광산 경영권을 확보, 향후 추가 탐사와 개발 및 생산, 판매 등을 주도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호주 정부가 개발 작업에 대한 인허가 절차를 중단하면서 개발 사업은 현재까지도 난항을 겪고 있는 상태다.

 한전은 "2012년도에 호주 정부가 새로운 광업법을 도입하는 등 환경규제 강화에 따른 추가 인허가 절차가 발생해 사업이 늦어졌다"며 이른 시일 내에 인허가 취득을 완료하는 것을 목표로 사업을 추진 중이라는 입장이다. 

 바이롱 광산에 대한 부실 투자 문제는 국회 국정감사에서도 도마에 올랐다.

 2015년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국정감사에서 더불어민주당 추미애 의원은 "2010년 구입 당시 8000억원 상당의 가치를 인정받았던 호주 바이롱 광산이 6000억으로 평가됐다"며 "이명박 정부에서 무리하게 추진한 자원개발사업에 한전도 예외 없이 포함된 한심한 상황"이라고 했다.

 한전은 이 기간 사업지연에 따른 이자비용으로 64억원도 떠안았다.

 한전 관계자는 "정부의 공공기관 기능조정안에 따라 지분 매각이 이뤄졌다"며 "인수금액에 대한 별다른 이견 없이 지분 매각을 완료했다"고 했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