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가계소득 0.6%↑ vs 부채 11.7% ↑…빚 갚느라 '허우적'

등록 2017.02.26 11:36:26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서울=뉴시스】안지혜 기자 = 24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6년 4분기 및 연간 가계동향'에 따르면 2016년 연간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439만9000원으로 전년대비 0.6% 증가했다. hokma@newsis.com

【서울=뉴시스】안호균 기자 = 가계의 소득 증가율이 부채 증가율을 4년째 밑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계 소득 증가세는 정체되고 있는 반면 부채는 급격히 늘어나면서 소비 여력을 위축시키고 있다는 지적이다.

 26일 통계청의 '2016년 가계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439만9000원으로 전년 대비 0.6% 증가하는데 그쳤다. 물가상승률을 고려한 실질소득은 오히려 0.4% 감소했다.

 또 세금과 이자비용 등을 빼고 실제로 쓸 수 있는 '처분가능소득(가처분소득)'은 358만8000원으로 0.7% 늘어나는데 그쳐 가계의 소비여력이 거의 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가계 빚은 소득 증가세와 무관하게 급증하고 있다. 지난해 말 가계신용 잔액은 1344조2793억원으로 전년 대비 11.7%나 늘었다.

 최근 저금리와 부동산 시장 과열로 가계 빚이 소득보다 훨씬 빠르게 늘어나는 현상은 수년째 지속되고 있다.

 가계신용 증가율은 2013년 5.7%, 2014년 6.5%, 2015년 10.9%, 2016년 11.7%로 점차 높아지고 있다. 4년간 40% 가까이(39.48%) 가계빚이 늘어난 셈이다.

 반면 가처분소득 증가율은 2013년 1.9%, 2014년 3.5%, 2015년 1.9%, 2016년 0.7%로 4년째 가계빚 증가율을 밑돌았다. 가처분소득은 4년간 8.14% 늘어나는데 그쳤다.

 소득이 정체되고 있는 반면 빚만 크게 늘면서 가계 지출도 점차 위축되고 있다.

 지난해 가계 소비지출은 254만9731원으로 전년 대비 0.5% 감소했다. 소비지출이 마이너스를 기록한 것은 관련 통계 집계가 시작된 2003년 이후 처음이다. 2013년부터 4년간 가계 소비지출은 3.76% 늘어나는데 그쳤다.

【서울=뉴시스】전진우 기자 = 21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6년 4분기중 가계신용'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말 가계신용은 1344조3000억원으로 전 분기 대비 47조7000억원(3.7%) 증가했다. 2015년 말(1203조1000억원)와 비교하면 1년 만에 141조2000억원(11.7%) 늘어 1300조원을 돌파했다.  618tue@newsis.com

 우리나라의 가처분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주요국들과 비교해서도 높은 수준이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2008년 120.7% 수준이던 가계부채 비율은 2015년 말 143.7%까지 높아졌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으로 환산하면 169.9%에 달한다.

 우리나라의 가계부채 비율은 OECD 26개국 평균(132.4%)보다 훨씬 높다. 우리나라보다 높은 나라는 덴마크(292.0%), 네덜란드(277.1%), 노르웨이(221.8%), 호주(211.8%), 스위스(211.2%), 스웨덴(179.1%), 캐나다(175.1%) 등 7개국 정도다.

 지난해 가계신용과 가처분소득 증가율을 감안하면 우리나라의 가계부채 비율은 180%에 근접할 가능성이 높아 2017년까지 155%로 낮추겠다는 정부의 관리목표는 사실상 달성 불가능해졌다.

 지난해 3월 기준 가계의 월 원리금 상환액은 1071만원으로 가처분소득의 26.6%에 달한다. 가계가 소득의 4분의 1 이상을 빚 갚는데 쓰고 있다는 뜻이다.

 특히 원리금 분할 상환이 전 금융권으로 본격화되는 올해부터는 가계부채가 소비를 위축시킬 우려가 더욱 커졌다.

 오정근 건국대 금융·IT학과 특임교수는 "현재 월수입이 150만원을 넘지 않는 임시작종, 실업자, 영세 자영업자가 1160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되는데 지금까지 이자만 내고 있다가 원리금을 같이 내게 되면 소비를 할 수 없게 된다"고 말했다.

 오 교수는 "1금융권을 조이다가 2금융권까지 옥죄면 생계자금과 조달을 위해 대부업이나 불법 사채쪽으로 넘어가게 되면서 가계부채의 질마저 더욱 악화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