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인터뷰]김종수 경북도 농축산유통국장 "전국 유일 AI청정지역 이유 이렇습니다"

등록 2017.04.21 17:11:23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안동=뉴시스】류상현 기자 = 김종수 경북도 농축산유통국장. 2017.04.21 (사진=경북도 제공)  photo@newsis.com

【안동=뉴시스】류상현 기자 = 김종수 경북도 농축산유통국장. 2017.04.21 (사진=경북도 제공)  [email protected]

【안동=뉴시스】류상현 기자 = 지난해 11월16일 발생해 전국 946개 농가의 닭장을 초토화시킨 조류인플루엔자(AI). 전국 양계 닭 중 35%에 이르는 3787만 마리의 닭이 매몰됐다. 피해액만 1조2000억원이 훨씬 넘을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그런데 제주도를 제외한 육지에서 유독 경북 지역만은 뚫리지 않았다. 지난 4일 충남 논산에서 발생 후 21일 현재까지 17일째 발생하지 않고 있는데 이대로 종식되면 경북은 '2년 연속 AI청정 지역'이 된다. 어떤 조치가 있었기에 이런 일이 가능했을까. 김종수 경북도 농축산유통국장을 통해 들어본다.

 - 비결이 뭔가.

 "정부조치보다 한 단계 더 나아간 것이 가장 큰 이유라고 본다. 구체적으로는 두 가지 조치가 핵심이다. '반입 금지'와 '예방적 도태'다. AI 발생 후 전국적으로 번질 기미가 보이기 시작한 지난해 12월7일 경북도는 발생 시·군보다 확대해 발생 시·도 가금류와 계란 등의 반입을 금지했다. 이런 조치는 전국에서 처음이다. 관련 법에는 발생 시·군의 가금류 '반출 금지'만 규정돼 있지 반입 금지는 없다. 우리는 국내에서 지난 5번의 AI 발생과 다른 유형의 바이러스가 발생한 것에 주목했다. 그래서 더 강력한 차단에 들어간 것이다"

 - 법 규정과 달리 조치한다고, 또 직접적으로 불이익과 불편이 돌아온다고 농가들이 반발하지 않았나.

 "반발이 심했다. 농가들이 매주 찾아와 항의했다. 하지만 어쩔 수 없었다. 이번에 발생한 AI는 과거 발생한 H5N1 또는 H5N8가 아니라 H5N6였다. 이는 과거의 바이러스보다 전염력이 100배나 강하다. 과거에는 AI 신고가 들어오면 닭의 산란율이 떨어진다든가 하는 정도였지만 이번은 달랐다. 신고 땐 이미 폐사 상태였다. 사람에게도 감염돼 중국에서 16명 중 무려 10명이 죽었다. 전과 같은 방식으로는 안 된다고 확신했다. 그래서 사람, 차량, 가금류 및 가금산물 반입 금지가 바이러스의 수평 이동을 막는 최선의 조치였다"

 김 국장은 경주의 한 양계 농민이 직접 손으로 쓴 편지 하나를 보여주었다. 김관용 경북도지사에 지난 2월7일에 보낸 편지였다. 이 농민은 "작년에 AI가 발생한 지역뿐 아니라 발생하지 않은 지역의 닭과 오리까지 반입을 금지해 화가 나서 경주시와 경북도에 여러번 항의했다. 그런데 지금은 고마워하고 있다. 그렇게 했기 때문에 경북만 청정 지역으로 남게 됐고 이 조치를 이해한 농민들이 잘 따라줬다. 특히 계란값이 전에 없이 올라 지금은 오히려 더 큰 수익이 생기고 있다. 지사님께 따뜻한 밥 대접하고 싶다"는 내용이다.

 - 예방적 도태라는 건 뭐고 왜 했나.

 "가금류 방역은 대규모 농가보다 소규모 농가들이 소홀하기 쉽다. 전국적으로 AI가 걷잡을 수 없이 번졌는데 도내 곳곳에 있는 이들 소규모 농가는 시한폭탄이었다. 그래서 100마리 이하의 닭과 오리를 키우는 농가들에게 모두 잡아 드시라고 한 거다. 작년 12월16일부터 이 조치에 들어갔다. 그래서 경북에서는 난데 없이 경로당 등에서 닭고기 잔치가 벌어지기도 했다. 이렇게 해서 도내 19개 시·군 5025농가의 6만3857마리를 모두 도태시켰다. 여기에 15억원 정도의 보상비가 들었다. 반입 금지에 따른 가금 농가의 생계비 보전 등과 합해 경북의 이번 AI 발생 예방비용은 30억원 정도 될 것 같다. AI가 발생했을 경우 살처분과 매몰 비용, 사후관리, 방역에 드는 인건비, 공무원들의 피로도 등을 생각하면 이 정도 예산은 비교가 안 될 정도로 적은 것이다"

 - 만약 경북에 AI가 발생했을 경우와 비교하면 얼마 정도의 비용이 절감됐을 것으로 보는가.

【안동=뉴시스】류상현 기자 = 지난 2월 경산시의 방역차챵이 금호강변에서 방역활동을 벌이고 있다. 당시 금호강 철새의 사체에서 AI가 검출됐었다. 2017.04.21 (사진=경북도 제공)  photo@newsis.com

【안동=뉴시스】류상현 기자 = 지난 2월 경산시의 방역차챵이 금호강변에서 방역활동을 벌이고 있다. 당시 금호강 철새의 사체에서 AI가 검출됐었다. 2017.04.21 (사진=경북도 제공)  [email protected]

 "한국개발연구원(KDI)의 연구에 따르면 3000만 마리의 피해가 있을 경우 1조원 정도의 피해가 난다고 한다. 경북에는 3300만 마리의 닭이 있으므로 다른 시도처럼 35% 정도 매몰했다고 보면 단순 계산으로 1100만 마리를 매몰해 3700억원 정도의 피해를 계산할 수 있다. 30억원으로 이 정도의 피해를 막았다고 보면 매우 경제적인 조치라고 할 수 있다. 정부도 경북도의 조치에 주목해 지난해 12월25일부터 이 조치를 다른 시·도로 확산해왔다"

 - 이런 조치를 하자면 담당 공무원들의 피로가 대단했을 텐데.

 "죽기살기로 했다. 도내 모든 축산공무원들이 정말 잘 따라줬다. AI 발생 후 하루도 쉬지 않고 주말과 휴일, 설명절도 없이 매일 영상 회의를 하고 점검을 했다. 지금도 그렇다. 우리 도의 방역조치 철학은 '매우 빠르게, 매우 지나치게'다. 이 외에는 다른 방법이 없다고 생각한다. 이런 자세로 하지 않으면 뚫린다고 믿었다. 예방적 도태의 경우 가금류가 아니라 철새에서 바이러스가 검출됐을 때도 주변 농가에 대해 이 조치를 적용했다. 정부는 발생 위험이 높은 10만 마리 이상의 산란계 농가에 대해 초소 설치, 전담공무원 배치, 출입차량 및 사람 통제 등의 조치를 취하도록 했으나 우리는 5만 마리 이상 농가(93호)에 이를 적용했다. 설에는 1만 마리 이상 농가에 모두 전담공무원을 배치했다. 만약 경북이 AI 청정 지역이 된다면 우리 담당공무원들의 이 같은 희생적 근무에 농가들이 잘 따라줬기 때문이다"

 김 국장은 SNS의 적절한 활용도 이번 AI를 막는데 큰 역할을 했다고 강조한다. 그는 "방역을 담당하는 모든 분들이 밴드에 가입해서 매일 아침부터 저녁 늦게까지 시·군에서 일어나는 우수 방역수범 사례들을 올려 차단방역에 큰 도움을 줬다"고 말했다.

 - 이번 AI 발생 대응에 우리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또 대처 방식이 바뀐 게 있나.

 "경기도에서는 AI가 급속히 번졌을 때 용역회사 직원들이 살처분 인력으로 투입돼 매몰하는 데 며칠씩 걸리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던 것으로 알고 있다. 그래서 일본에서는 가축 전염병이 발생하면 자위대가 투입된다. 그래서 우리도 경보체계도 발생 즉시 바로 심각 단계로 하고 특전사 군인을 투입하는 등으로 개선된 것으로 알고 있다. 또 동절기 사육 제한 및 위험 지역 재편 등으로 위험 요인을 사전에 없애고 축산농가와 계열화 사업자에 대해 페널티를 강화하는 등 책임방역 체제를 이뤄야 한다고 본다"

 경북도는 AI에 이어 구제역 방역에 있어서도 청정 지역으로 남을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인근 지역인 충북 보은에서 지난 2월 구제역이 발생했다. 하지만 이때도 도는 보은군과 상주시 경계 지역에 소독시설을 3중으로 설치하는 등 초동 방역부터 AI 때와 같이 강력히 대처해 아직까지 발생 신고가 없는 상태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