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세계의 한가운데에서 벌어진 교류와 흥망의 역사

등록 2017.05.26 11:27:28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실크로드 세계사, 책

【서울=뉴시스】손정빈 기자 = 기원전 119년, 한(漢) 왕조가 중국 내륙과 타클라마칸 사막의 오아시스 도시 둔황을 연결하는 900㎞ 길이의 통로 하서주랑을 차지하면서 중국은 대륙 횡단 네트워크로 통하는 문을 열었다. 실크로드가 탄생한 것이다.

 중국은 이때부터 바깥 세계에 관심을 두기 시작했고, 이런 관심은 교역의 증가로 이어졌다. 중국과 국경 너머 사이에 생겨난 통로에서 가장 중요하게 거래된 품목은 비단이었고, 시대에 따라 주요 품목은 조금씩 달라졌다. 이 길을 따라 순례자와 전사, 유목민과 장사꾼이 여행하고, 먼 곳에서 온 물건이 거래됐다. 동방과 서방을 잇는 이 지역은 사람들과 장소들을 서로 잇는 세계의 중추신경계 역할을 했다.

 세계사 속에서 차지하는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이 지역은 주목받지 못해왔다. 오리엔탈리즘이라 불리는 편견 때문일 수도 있고, 유럽과 서구 중심 역사에서 주변 요소로만 인식됐기 때문일 수도 있다.

 어쩌면 '그리스-로마의 상속자'라 칭하며 중세의 암흑기를 떨쳐내려는 서유럽의 '신분 세탁'이 성공했다고도 말할 수 있다. 크리스토퍼 콜럼버스가 새로운 대륙을 발견하여 전 세계의 부를 유럽으로 끌어오고, 이후 유럽이 세계 패권을 주도하는 데 성공함으로써 말이다. 그러나 콜럼버스가 대탐험을 이루기 전까지 세계의 중심은 실크로드 지역이었다.

 미국과 중국의 G2 시대, 실크로드는 특정 지역에 국한된 옛이야기가 아니라 새로운 세계의 핵심 연결망이다. 이 연결망을 알면 세계가 어떻게 움직이는지, 그리고 어떻게 움직일 것인지 알 수 있다. 피터 프랭코만의 '실크로드 세계사'는 이 거대한 전환기를 기회로 삼기 위해 알아야 할 장대한 역사와 변화의 과정을 담은 책이다. 이 책은 특히 근현대사를 비중 있게 다뤄 그 현재적 의미를 강조한다. 원제가 고유명사가 아닌 복수형 'Silk Roads'인 건 그 때문이다.

 이 책은 '서유럽의 승리'라는 기존의 관념에서 탈피해 실크로드라는 새로운 지정학적 패러다임으로 동방에 초점을 맞춘 세계사다.

  고대 상업제국 페르시아와 로마 제국 이야기부터 초기 불교·기독교·이슬람교 등 고대 종교의 생성과 확산 및 상호 경쟁과 화합, 부유한 도시국가와 중앙아시아 왕조의 탄생, 십자군 전쟁, 칭기즈칸의 세계 정복과 페스트의 확산, 콜럼버스 이후의 서유럽 시대, 식민지를 둘러싼 유럽 국가 및 러시아의 충돌, 중동의 석유 독점을 위한 이합집산과 1·2차 세계대전, 냉전 시기 미국과 소련의 대중동 전략, 20세기 말 이후 중동과 미국 간 전쟁 및 이슬람근본주의, G2 시대 중국의 신(新)실크로드 전략까지 2000년 세계사를 조망한다. 요컨대 이 책은 '세계의 한가운데에서 벌어진 교류와 흥망의 역사'라고 할 수 있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