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KT, 5G 앞세운 '한국형 4차산업' 제시…일자리 등 7가지 정책 제언

등록 2017.05.30 07:00:00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

"5G 도입하면 2035년까지 12조 달러의 경제적 가치 창출 가능"
 ICT 혁신 기술로 생산성 향상 신산업 창출에 사회 문제 해결 '포용적 성장' 제시

【서울=뉴시스】오동현 기자 = KT가 5G 네트워크를 전면에 내세운 '한국형 4차 산업혁명의 미래'를 제시했다. 20년 후 한국사회를 이끌 원동력은 5G에 있으며, 각종 사회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이다.

 KT경제경영연구소는 30일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IHS의 보고서를 인용해 5G를 도입하면 2035년까지 중국의 GDP에 해당하는 12조 달러의 경제적 가치 창출이 가능하다고 전망했다.

 4차 산업혁명은 사물인터넷, 클라우드, 빅데이터 등의 ICT 기술이 인공지능 기반의 컴퓨팅 파워와 결합해 의료, 미디어, 에너지, 제조, 커머스, 교통 등 거의 모든 영역이 이전과 다른 새로운 산업으로 변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즉, 융합 산업 구현을 위해서는 기존의 네트워크를 넘어선 지능형 네트워크(Intelligent Network)인 5G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는 것이다.

 KT가 제시한 한국형 4차 산업혁명은 5G 인프라를 바탕으로 교육·의료·환경 등 한국 사회 곳곳에 산재한 양극화 문제를 해소하는 동시에 융합산업 생태계를 조성해 미래 성장을 견인하는 산업혁명을 의미한다.

 김희수 KT경제경영연구소 대외정책연구실장은 "최근 4차 산업혁명이 부각되는 이유는 양극화·실업·고령화 등 사회 곳곳에 산재한 여러 문제들을 해결하고 우리의 삶이 더 나아지기를 원하는 사람들의 기대심리가 투영됐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이러한 기대에 부응할 수 있는 해법으로는 ICT 혁신 기술로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신산업을 창출하는 동시에 사회 문제를 해결하는 '포용적 성장'을 제시했다. 이를 위해 일자리, 고령화·저출산, 사회안전망, 환경, 교육, 산업 디지털화, 5G 인프라 등 7대 정책을 제언했다.

 초고속·초저지연·초연결 특성을 가진 5G는 인터넷, 전기, 자동차에 버금가는 기반 기술로서 ICT의 역할을 확대한다. 5G를 토대로 한 ICT 혁신 기술의 등장은 지금껏 할 수 없었던 다양한 일들을 가능하게 하고 이를 통해 사회적 문제까지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일자리 부문의 경우, 2015년 맥킨지 자료를 인용해 온라인 인재 플랫폼 개발을 통한 잡 매칭으로 2025년까지 GDP는 2% 상승, 고용창출 효과는 7200만명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KT는 고령화·저출산 부문은 로봇, 원격의료, 재택근무 등 정책 지원으로 해결할 수 있다고 제시했다. 그 예로 일본 정부의 경우 대화형 로봇, 애완로봇, 이동지원 로봇 등 노인을 대상으로 한 로봇 산업이 고령화 사회에서 성장할 수 있는 기회로 인식하고 있는 점을 들었다. 원격의료 역시 KT의 고령층 만성질환 관리서비스 '요닥 엠'처럼 새로운 성장의 기회로 활용될 수 있음을 강조했다.

 사회안전망 부문은 지능형 네트워크 기반의 스마트 인프라 확충으로 안전 및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예로 KT가 해양수산부와 공동 개발한 IoT기반의 해상안전 솔루션이다.

 환경 부문에선 지난해 에너지 비용 22억원을 절감한 KT-MEG의 사례처럼 에너지 효율화는 물론 IoT 기반의 실시간 대기 질 관리 등에도 활용될 수 있음을 설명했다.

  KT는 교육 격차 문제는 AI, VR을 활용한 맞춤형 교육으로 해결이 가능하다고 봤다. 사례로 빌 게이츠가 24억 달러를 투자한 개인맞춤형 교육 지원을 제시했다. 학생들의 성과를 토대로 개별 수업계획을 만들고, 마스터 전까지 어려운 부분을 극복할 수 있도록 코칭해주는 것이다.

 산업 디지털화 부문은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으로 산업 경쟁력 강화와 국가 경쟁력을 제고해야 한다고 제시했다. 5G인프라 부문은 민관 협력 강화와 투자 활성화로 인프라를 확산하고 수요를 창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KT는 한국형 4차 산업혁명을 이끌 7대 주력 산업으로 5G 기반의 에너지·보안·핀테크·미디어·스마트 시티·스마트 카·스마트 팩토리를 꼽았다. 이로 인한 경제·사회적 효과는 2030년까지 실질 부가가치 370조원 증가, 약 196만~235만의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전망했다.

 김 실장은 "1차 산업혁명 당시 증기기관이 확산하는데 걸린 시간은 80년, 2차 산업혁명 당시 전기가 본격 보급되는데 소요된 시간은 40년"이라며 "(4차 산업혁명 본격 도래까지) 20년은 그리 먼 미래가 아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정부는 ICT에 기반을 두고 사회 문제 해결을 목표로 하는 메가 복합 프로젝트를 통해 초기 수요 수요 불확실성을 해소하는 수요 견인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