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5·18행불자 진상규명 첫 걸음 되나' 옛 광주교도소 암매장 현장조사

등록 2017.10.18 10:38:38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광주=뉴시스】류형근 기자 = 5·18기념재단과 증언자들이 18일 오전 광주 북구 옛 광주교도소에서 5·18 당시 암매장 장소를 찾기 위해 들어가고 있다. 2017.10.18.  hgryu77@newsis.com

【광주=뉴시스】류형근 기자 = 5·18기념재단과 증언자들이 18일 오전 광주 북구 옛 광주교도소에서 5·18 당시 암매장 장소를 찾기 위해 들어가고 있다.  2017.10.18.  [email protected]

【광주=뉴시스】 배동민 기자 = 옛 광주교도소 안팎의 암매장지 발굴 작업을 위한 현장 조사가 18일 시작되면서 5·18민주화운동 당시 행방불명자(행불자)들의 흔적을 찾을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37년 동안 공식적으로 인정된 5·18 행불자는 모두 82명. 이 중 6명 만이 유전자 분석을 통해 시신을 찾았다.

 5월 단체는 "마지막 기회일지도 모른다"며 5·18 행불자와 관련해 제대로 된 진상조사가 이뤄져야 한다고 촉구하고 있다.
 
 ◇8년간 멈춰선 암매장지 발굴

 시는 지난 1997년부터 5·18암매장 제보를 받기 시작했다. 그해부터 2009년까지 모두 64건의 신고가 접수됐다. 이 중 9곳에 대해 세 차례 발굴 작업이 진행됐으나 성과를 내지는 못했다. 중복된 12곳과 신고 부실한 46곳은 조사하지 않았다.

 1차는 2002년 6월부터 2003년 5월까지 광산구 소촌동 공동묘지, 광산구 삼도동, 광주통합병원 담장 밑, 황룡강 제방, 상록회관 옆 도로를 중심으로 이뤄졌다.

 당시 광산구 소촌동 공동묘지와 광산구 삼도동에서 유골 등이 발굴됐지만, 일치하는 유가족이 없어 시립공원에 안장됐다. 나머지 3곳에서는 인골로 추정되는 뼛조각 등이 발견돼 유전자 감식을 했지만 동물 뼈였다.

 2차 발굴은 2006년 2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진행됐다. 문화예술회관 관리동 뒤편 화단과 북구 장등동 야산 등 2곳에 대한 발굴이 진행됐지만 유골 등이 발굴되지 않았다.

 3차 발굴은 2008년 8월부터 2009년 4월까지 남구 주월동 아파트 건설현장, 북구 효령동산에 대해 이뤄졌다. 유골 140점 등이 발굴됐지만 유전가 감식 결과 '관련성 없음'으로 결론 났다.

 이후 광주시는 사실상 암매장지 발굴에서 손을 놓았다.

 ◇잇단 증언과 기록···다시 주목받는 옛 광주교도소
 
【광주=뉴시스】배동민 기자 = 1980년 5월 열흘간의 학살(18~27일) 이후 계엄군이 광주에서 가매장지(임시매장지)에 대한 수색 작업을 벌여 시신을 발굴했다는 군 내부 문건이 21일 공개됐다. 행불자 신고만 400건이 넘는 상황에서 5·18 암매장과 관련된 군 기록을 공개하고 이에 대한 대대적인 재조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2017.09.21.  guggy@newsis.com

【광주=뉴시스】 1980년 5월 열흘간의 학살(18~27일) 이후 계엄군이 광주에서 가매장지(임시매장지)에 대한 수색 작업을 벌여 시신을 발굴했다는 군 내부 문건이 공개됐다. 행불자 신고만 400건이 넘는 상황에서 5·18 암매장과 관련된 군 기록을 공개하고 이에 대한 대대적인 재조사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2017.10.18.(사진=뉴시스DB) [email protected]

8년 만에 이뤄질 발굴 작업은 옛 광주교도소에서 시작됐다. 옛 광주교도소는 80년 5월 당시 암매장 목격자들의 증언이 이어지고 있는 곳이다.

 기념재단은 5·18 당시 광주교도소에 수감 중이었던 재소자를 통해 교도소 내부 암매장 장소에 대한 증언을 확보했다. 또 5·18 당시 광주교도소에 주둔했던 3공수여단 부대원이 남긴 메모에서 암매장 관련 약도를 찾았다.

 당시 교도관은 언론을 통해 교도소 내 3곳을 암매장 장소로 지목하기도 했다.

 기념재단은 오는 18일까지 이들 제보자들과 현장조사를 벌이고 암매장 추정 장소를 좁힌 뒤 본격적으로 발굴 작업에 나설 예정이다.

 김양래 기념재단 상임이사는 "유골이 발견되면 수사에 나설 수 있도록 검찰에 협조를 요청했다"고 말했다.

 광주교도소는 5·18 당시 3공수여단과 20사단 병력들이 주둔했던 곳이다. 5·18 직후 교도소 관사 뒤에서는 8구의 주검이 암매장됐다가 발견됐다. 교도소 앞 야산에서는 시신 3구가 암매장 상태로 발견됐다.

 계엄사령부가 발표한 80년 5월31일 '광주사태 진상 조사' 문건에는 이른바 '교도소 습격 사건'으로 민간인 28명이 사망했다고 기록돼 있다. 단순 계산으로도 교도소 내 사망자 중 17명의 신원과 행방이 확인되지 않고 있다.

 ◇제2·3의 암매장지 발굴도 추진

 기념재단은 전남 화순 너릿재 인근과 제2수원지 상류에 대한 암매장지 발굴 작업도 올해 내 추진할 예정이다.
 
 너릿재 인근은 "5·18 직후 대낮에 군인들이 굴착기 등 중장비를 사용해 마대 자루를 묻고 있었으며 자루 밖으로 나와 있는 시신의 머리를 봤다"는 제보가 이어지고 있다.

 암매장을 추정할 수 있는 기록도 있다.

 2007년 국방부 과거사위 보고서와 보안사 '광주사태 상황보고' 등에 따르면 7공수는 1980년 5월22일 너릿재 터널 입구에서 2.5t 트럭에 총을 쏴 1명을 사살하고 1명을 연행했다. 하지만 당시 연행자와 사망자의 신원과 행방은 여태 확인되지 않고 있다.
【광주=뉴시스】배동민 기자 = 지난 1989년 1월 광주 동구 녹동마을 인근 일명 '부엉산' 기슭에서 발견됐던 유골의 신원은 28년이 흐른 9일 현재까지 여전히 밝혀지지 않고 있다. 당시 현장 발굴에 나섰던 '5·18 광주민주화운동 진상조사 특별위원회'의 보고서에도 누락됐던 '금니'의 존재가 DNA 검사와 함께 긴 시간의 의문을 풀어낼 열쇠가 될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사진은 1989년 1월 부엉산 유골 발굴현장. 2017.10.09. (사진=박용수 전 CBS 기자 제공)  photo@newsis.com

【광주=뉴시스】 지난 1989년 1월 광주 동구 녹동마을 인근 일명 '부엉산' 기슭에서 발견됐던 유골의 신원은 28년이 흐른 18일 현재까지 여전히 밝혀지지 않고 있다. 당시 현장 발굴에 나섰던 '5·18 광주민주화운동 진상조사 특별위원회'의 보고서에도 누락됐던 '금니'의 존재가 DNA 검사와 함께 긴 시간의 의문을 풀어낼 열쇠가 될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사진은 1989년 1월 부엉산 유골 발굴현장. 2017.10.18. (사진=뉴시스DB) [email protected]


 제2수원지 상류도 7공수가 주둔했던 곳이다.

 ◇"제대로 된 행불자 진상 조사 필요"

 지난 1989년 1월 광주 동구 녹동마을 인근 일명 '부엉산' 기슭에서 발견됐던 유골은 사실상 5·18 이후 발견된 유일한 행불자다.
 
 하지만 사망 당시 흰색 운동화를 신었고 녹색 계열의 체크무늬 양복바지, 흰색 남방셔츠를 입었으며 금니를 하고 있었던 20대 후반의 남성은 현재까지 신원이 확인되지 않고 있다.

 그의 유골이 전남대 법의학교실에 보관 중이며 같은 곳에 5·18행불자 130가족, 295명의 DNA가 보관돼 있지만 유전자 대조 작업을 했는지조차 아는 사람이 없다. 국립5·18민주묘지에 안장된 무명열사 5기도 신원 확인이 이뤄지지 않고 있다.

 유전자 검사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지만 유골과 유전자를 보관 중인 박종태 전남대 법의학교실 교수는 "광주시의 예산 지원이 필요한 사안"이라고 말했다.

 계엄군이 5·18 이후 광주에서 '암매장지 발굴 작업'을 했는지에 대한 진상조사도 필요하다.

 1980년 6월2일 작성된 전교사 작전일지에는 20사단 61연대 수색대대가 '시체 1구를 발견하였으나 많이 부패되어 더 이상 파보지 못하고 가매장'이라는 내용을 보고한 것으로 기록돼 있다.

 11공수 간부들은 1995년 검찰 조사에서 5·18 이후 일부 병력이 광주에 내려가 가매장지 발굴 작업을 벌였다고 증언했다.

 정수만 전 5·18유족회장은 "사실상 암매장이 더 있었다는 것을 증언하고 있다. 군의 특성상 지시와 보고기록이 남아 있을 것"이라며 "아직까지 공개하지 않고 있는 군 기록을 모두 공개하고 이에 대한 면밀한 재조사가 필요하다. 이를 통해 행방불명자들과 관련된 진실이 규명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