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지역이슈] 광주 軍-민간 공항 53년만의 통합 이전 '승부수'

등록 2017.12.14 06:30:00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전투기와 민간 여객기가 공존하는 광주공항 모습. 2017.12.14 (사진=뉴시스DB)

전투기와 민간 여객기가 공존하는 광주공항 모습. 2017.12.14 (사진=뉴시스DB)

윤장현 광주시장, "큰 그림 필요" 통합 이전 시사
"분리발주" 10개월만에 변경, 전남과 상생 화두로
군공항 이전대상지 반발, 천문학적 재원마련 과제  

【광주=뉴시스】송창헌 기자 = "한 뿌리인 광주와 전남의 상생을 위한 '큰 그림'이 필요한 때 입니다."

 윤장현 광주시장이 광주와 전남 공통 현안인 광주 군(軍) 공항과 민간공항 이전문제에 대해 통합 이전을 시사하는 발언을 해 53년 만에 광주 군항과 민항이 동시 이전할 수 있을 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광주와 전남의 공동 이익을 위한 첫 걸음이라는 게 명분과 실리지만 군항 이전 후보지역의 반발과 천문학적 재원 마련, 관광업계 등 유관기관의 반발 등은 풀어야 할 과제다.

 ◇광주시장 "전향적 비전과 대안" 주문

 14일 광주시에 따르면 윤 시장은 전날 화요간부회의에서 무안공항 활성화 문제를 언급하며 "미래 천년을 본다면 큰 그림을 그려 광주만의 시각을 뛰어넘는 미래 비전을 위한 거대 담론이 필요한 때"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건설교통국에 "미래로 가는데 있어 광주·전남 경계를 뛰어 넘어야 할 것들이 몇가지 있는데, 대(對) 중국 관계, 산업 지형 등에 있어서 고민해줘야 할 것이 바로 광주공항 이전 문제다. 전향적인 대안을 마련하라"고 주문했다.

 발상의 전환도 요구했다. "'군공항 다 가면 그때 (민항) 주겠다'는 건 미래 비전이 없는 논리다. 군공항도 가면서 민간공항 통해 무안공항을 활성화시키는 전향적 방안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KTX가 개통되면 광주에서 무안공항은 15분 거리"라며 "세계로 향한 창이 열린다고 생각하고 갇혀진 생각에만 머무르지 말라. 그래야만 군공항 이전도 탄력을 받고 민항도 함께 갈 수 있다"고 말했다.

 여기서 '큰 그림'은 광주와 전남 상생차원에서 군항과 민항의 통합 이전과 이를 통한 무안공항 활성화, 여기에 고속철도(KTX)를 더해 궁극적으로는 두 지역의 공동번영을 꾀하자는 취지로 풀이된다.

 시가 분리 이전으로 큰 틀의 가닥을 잡은지 10개월 만이다. 시는 지난 2월 "군·민간공항을 무안공항으로 확장·통합 이전하는 방안을 고민해 왔으나, 지역 간 심각한 갈등 요인이 되고, 갯벌로 이뤄진 무안공항 주변에 활주로를 확충하기 위해선 천문학적 비용이 불가피해 통합 이전보다는 분리 이전으로 방향을 틀었다"고 밝혔다.

 시는 이를 위해 군·민항 분리 이전을 토대로 3월부터 군항 후보지로 삼은 전남 4개 시·군을 대상으로 설명회 등을 열기도 했으나 지역 내 반발과 민원에 민감할 수 밖에 없는 지방선거까지 겹치면서 이전작업은 한 발짝도 나아가지 못하고 있다. 

 이에 윤 시장은 각계 의견 수렴에 나섰고, 결국 통합 이전이 낫다는 결론에 이르자 최근 그같은 입장을 비공식 석상에서 2차례 정도 밝힌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간부회의에서 '광주만의 시각을 뛰어 넘는', '광주·전남 경계를 뛰어 넘어야', '갇힌 생각'과 '미래 비전'을 수차례 언급한 것도 같은 맥락으로 풀이된다.
전남 무안국제공항 항공기 이륙 장면. 2017.12.14 (사진=뉴시스DB)

전남 무안국제공항 항공기 이륙 장면. 2017.12.14 (사진=뉴시스DB)

◇53년 만의 통합이전 해법될까

 광주 군항은 1964년 광산구 송정리에 공군부대가 창설되면서 이전됐고 민항은 1948년 동구 학동에 광주비행장이 둥지를 튼 뒤 이듬해 첫 여객기(DC3)를 취항한 데 이어 군항이 들어선 1964년 1월 지금의 위치로 확장 이전했다.

 2007년 11월 무안국제공항이 개항하면서 광주공항 이전은 정부 정책으로 결정됐고 이듬해 5월 무안-광주 간 고속도로가 뚫려 접근성이 30분대로 단축됐지만 이용객 편의와 대도시 항공수요 등을 이유로 2008년 5월 국제선만 무안으로 옮기고, 국내선은 광주에 그대로 남았다. 국내선 잔류에는 광주시와 관광업계의 반발이 무엇보다 컸다.

 전남도가 호남고속철도 개통 등을 앞두고 줄기차게 민항 이전을 요구하고, 감사원이 '이대로 가면 두 공항 모두 공멸할 수 있다'고 지적하고, 2011년 국토부가 광주공항과 무안공항 통합을 결정했지만 민항 이전은 좀처럼 해결책을 찾지 못한 채 이전작업은 수년간 표류했다.

 설상가상으로 소음피해 소송도 끊이질 않았고, 광주시의회는 군공항 이전 특위가, 전남도의회에는 군사시설 이전 반대특위가 구성돼 대립각은 높아만 갔다.

 이런  과정에서  연간 14만회 이착륙이 가능한 무안공항은 무늬만 국제공항으로 전락했고, 6만7000㎡에 이르는 주차장과 2만9000㎡에 달하는 여객터미널도 텅텅 비어 무용지물화 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 가운데 나온 통합이전론이어서 광주, 전남 상생의 지렛대가 될 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시 관계자는 "통합 이전에 대한 화두가 던져졌다"며 "지역주의보다는 한 뿌리인 광주·전남의 공동 발전을 위한 결단 아닌가 싶다"고 말했다.  

 ◇기대 효과와 과제

 일단 광주시는 통합 이전이 현실화될 경우 무안공항 활성화는 기본이고, 저가항공사나 정기노선 유치에도 기폭제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또 5조7480억원에 달하는 군 공항 이전사업비가 풀려 10조원대의 생산유발·부가가치와 5만7000여명에 이르는 고용 창출 효과 등 지역 경제에 더 없는 활성제가 될 것이라는 장밋빛 전망도 내심 기대하고 있다.

 아울러 광산구 송정·도산동, 서구 상무동, 남구 대촌동 등 10개동 주민 30만 명의 전투기와 항공기 소음 피해도 해소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반면 가시밭길도 예고되고 있다. 대구와 수원의 경우처럼 군항 이전 후보지 선정을 위한 주민투표 과정에서 심각한 찬반 갈등도 불가피할 수 있다.

 오랜 경기 침체 속에 불확실성이 가중되는 상황에서 대형 개발사업에 선뜻 뛰어들 업체를 구하기도 쉽지 않고, 광주공항이 이전하고 남은 부지에 건설될 '솔마루시티' 개발 수익이 예상대로 도출될 지도 문제다. 신도시에 어떤 콘텐츠를 넣을지도 큰 고민거리다.

 통합이전 시 광주시 1년 예산을 뛰어 넘는 천문학적 비용이 드는 만큼 중앙정부의 지원도 절실한 상황이다.

 시 관계자는 "주민 반발 등이 아무래도 클 수 있어 이전사업이 순탄하진 않겠지만 첫 단추인 이전지역 선정에서 신도시 개발까지 톱니바퀴가 잘 물려갈 수 있도록 섬세한 행정, 특히 전남도와의 상생 행정에 주력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광주시와 광주문화관광포럼이 지난 12일 개최한 무안공항 활성화를 위한 정책토론회에서는 유통·전시·무역·금융 등을 포함한 국제업무기능 지역 조성, 과감한 비자 면제, 공항 편의시설 인프라 확충, 특색있는 관광지 개발, 활성화 전담팀 구성 등이 필수조건으로 제시됐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