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창원 반송청년회, "반송공원 민간개발특례사업 추진 중단하라"

등록 2018.01.24 13:55:04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창원=뉴시스】강경국 기자 = 24일 경남 창원시청 프레스센터에서 반송공원을 지키기 위한 주민 네트워크(준) 반송청년회 회원들이 반송공원 민간개발특례사업 추진 중단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2018.01.24. kgkang@newsis.com

【창원=뉴시스】강경국 기자 = 24일 경남 창원시청 프레스센터에서 반송공원을 지키기 위한 주민 네트워크(준) 반송청년회 회원들이 반송공원 민간개발특례사업 추진 중단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2018.01.24. [email protected]

【창원=뉴시스】강경국 기자 = 반송공원을 지키기 위한 주민 네트워크 준비위원회 반송청년회 회원들이 24일 경남 창원시청 프레스센터에서 반송공원 민간개발특례사업 추진 중단을 촉구했다.

반송청년회 회원들은 "반송공원은 4만6000여 명이 거주하는 반송동의 중심에 위치한 공원으로서 반송 주민들에게 맑은 공기를 제공하는 귀중한 자연녹지이자 건강을 지키는 소중한 곳"이라며 "그런데 최근 반송공원에 아파트가 들어선다는 소문이 돌면서 주민들은 충격에 휩싸였다"고 반발했다.

반송청년회는 "창원시는 얼마 전 대상공원에 대해서 민간개발특례사업자 선정 공고를 냈다"며 "그 내용을 보면 대상공원 전체 면적(109만5357㎡) 중 이미 조성된 구역을 제외한 사업 면적에 민간사업자가 공원개발 후 70% 이상을 시에 기부채납하고 사유지 면적 30% 이내에 비 공원시설을 설치한다는 것"이라고 우려했다.

청년회는 "다시 말해 공원 내 사유지를 민간업자가 사들이고 30% 범위 내에서 아파트를 지어서 분양할 수 있게 한다는 방식"이라며 "우리는 이 같은 개발 방식에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고 기자회견 배경을 설명했다.

청년회는 "현재 민간개발 특례사업이 추진되고 있는 사화공원, 대상공원, 가음정공원과 비교하면 반송공원은 여건 자체가 다르다"며 "반송공원은 까치아파트, 대동아파트, 럭키아파트, 현대아파트, 노블파크, 트리비앙, 반지동 주택 주민들이 마을을 형성해 옹기종기 모여 살고 있는 반송동 중심에 위치한 녹지공원"이라고 주장했다.

또 "이러한 공원이 민간개발로 파헤쳐진다는 것은 결국 주민들의 삶이 파헤쳐지는 것과 같다"면서 "우리는 반송공원의 민간특례개발을 결단코 반대한다"고 강조했다.

【창원=뉴시스】강경국 기자 = 24일 경남 창원시청 프레스센터에서 반송공원을 지키기 위한 주민 네트워크(준) 반송청년회 회원들이 반송공원 민간개발특례사업 추진 중단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2018.01.24.kgkang@newsis.com

【창원=뉴시스】강경국 기자 = 24일 경남 창원시청 프레스센터에서 반송공원을 지키기 위한 주민 네트워크(준) 반송청년회 회원들이 반송공원 민간개발특례사업 추진 중단을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email protected]

이어 "창원시는 2020년 6월 말 공원 일몰제가 눈앞에 닥쳐 올 때까지 가만히 있다가 '일몰제 이후 공원 난개발을 막겠다. 토지 보상비 재정 부담을 최소화하겠다'는 이유로 민영개발을 운운하고 있지만 이는 주민을 무시하는 행정에 다름 아니다"고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이에 대해 창원시 관계자는 "창원 지역 일몰제 대상 공원은 28곳, 1581만5000㎡으로 창원시정연구원의 연구결과 특례사업은 사화, 가음정, 대상, 반송 등 4개 공원으로 난개발을 막기 위해 현 시점에서 추진해야 하는 상황"이라며 "도시공원은 지자체 사무로 일몰제 대상 공원 28곳에 대한 예상 사업비는 1조1000억원 이상으로 자체 사업비를 확보해 집행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고 해명했다.

관계자는 "일몰제 시행시 각종 개발행위가 가능해져 공원의 난개발과 시민의 이용이 제한돼, 기존 공원녹지의 훼손이 우려된다"며 "민간특례사업 외에는 다른 대안이 없는 상황으로, 민간 창의력으로 타 지역과 차별화된 특화공원을 조성하고 미래 공공시설(공원) 확보를 위해 민간특례사업 시행에 철저를 기하고자 한다"고 덧붙였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