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명태·꽁치 사라지는 한반도…온난화에 어류지형 급변

등록 2018.06.25 12:00:00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통계청, 주요 어종 어획량 변화 발표

韓 표층수온 50년새 1.12℃↑…세계평균 2.2배

난류성 어종 늘고, 한류성 줄어…명태, 1만3000톤→1톤 급감

명태·꽁치 사라지는 한반도…온난화에 어류지형 급변

【세종=뉴시스】이윤희 기자 =지구 온난화 등 기후 변화로 인한 수온 상승 현상이 한반도에서 유독 뚜렷하게 나타나면서 주변 해역에서의 어종 어획량도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과거 동해바다의 단골 손님이었던 명태와 꽁치 등은 점점 모습을 감춰가는 추세다.

25일 통계청이 발표한 '기온(수온)변화에 따른 주요 어종 어획량 변화'에 따르면 수온 상승으로 인해 1990년 이후 연근해 해역의 어획량은 난류성 어종이 증가하고 한류성 어종이 감소했다.

대표적인 한류성 어종인 명태의 어획량은 1970년 1만3418톤에서 지난해 1톤으로 급감했다. 꽁치 역시 2만5036톤에서 757톤으로 줄었고, 도루묵은 1만6110톤에서 4965톤으로 감소했다.

반면 난류성 어종인 고등어류는 1970년 3만8256톤에서 2017년 11만5260톤으로 크게 늘었다. 멸치(5만4047톤→21만943톤)와 살오징어(7만2142톤→8만7024톤)의 어획량도 큰폭 증가했다.

이같은 변화는 표층수온 변화와 궤를 같이한다. 1970년 우리나라 주변 해역의 표층수역은 16℃였지만 꾸준히 상승해 지난해에는 17.2℃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1968년부터 지난해까지 50년간 우리나라 표층수온 상승량을 측정한 결과 1.12℃가 높아졌다. 이는 같은 기간 전세계 평균인 0.52℃보다 2.2배 높은 수준이다.

이로 인해 한반도 주변 해역의 어종 어획량이 빠르게 변화한 셈이다.

해역권별 주료 어획량 변화를 보면, 동해권에서는 전갱이류 등이 증가한 반면 명태, 꽁치, 도루묵, 살오징어 등이 감소했다.

서해권에서는 멸치, 살오징어, 꽃게 등이 증가하고, 갈치와 참조기 등은 감소했다. 남해권에서는 전갱이류, 살오징어, 고등어류, 멸치, 갈치 등이 늘었지만 참조기 등은 감소했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