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최정우 포스코호 출범 D-5]포스코 잔혹사 끊고 독립성 보장받을까

등록 2018.07.22 06:23:00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포스코, 2000년 민영화 전환 이후 정권이 바뀔때마다 수장 교체 흑역사…교체 CEO만 8명

선출 과정서 정권 개입 의혹 적고 실적이 뒷받침할 경우 최정우 체제는 다를 수 있어 전망

[최정우 포스코호 출범 D-5]포스코 잔혹사 끊고 독립성 보장받을까


【서울=뉴시스】김동현 기자 = 과거 정권이 바뀔때마다 정치적 이유 등으로 회장이 교체돼온 포스코가 최정우 체제에서는 독립성을 보장받을 수 있을 지 주목된다.

 포스코는 2000년 민영화로 전환된 기업이지만 정권이 바뀔때마다 수장이 교체되는 '잔혹사'를 겪어왔다. 역대 포스코 회장 8명 모두 임기를 채우지 못하고 자리에서 물러난 것이다.

 대부분의 CEO는 단명했고 누구든 들어올 때나 나갈 때나 항상 뒷말이 이어졌다. 권오준 회장도 악순환의 고리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중도 사임을 했다.

 22일 철강업계에 따르면 포스코 잔혹사의 시작은 고(故) 박태준 초대회장이 김영삼 전 대통령과의 정치적 다툼을 벌인 끝에 자리에서 물러나면서 시작됐다.

 이후 황경로 회장, 정명식 회장도 김영삼 정권에서 임기를 제대로 채우지 못하고 회장 직을 물려줘야만 했다. 정 회장의 뒤를 이은 김만제 회장은 김영삼 정권에서는 임기를 채웠지만 김대중 정부 때 중도사퇴하고 말았다.

 유상부 회장은 1996년 노무현 정부 출범 이후 중도 사퇴를 했으며 이구택 회장은 2003년 이명박 정부 출범 직후 중도 사퇴했다.

 박근혜 정부 들어서는 정준양 회장이 2009년 중도 사퇴했다. 권오준 회장 체제는 2014년부터 시작됐으며 올해 3월 연임에 성공, 권오준 2기 체제를 가동했지만 올해 4월 사의를 표명했다.

 표면적으로는 "포스코의 변화를 위해 다른 이에게 회사 경영을 넘기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것이 권 회장의 입장이다.

 하지만 대체적인 견해는 권 회장의 회장 선출 과정에서 최순실의 입김이 작용했다 의혹 등에 대해 현 정권에서 못 마땅하게 여겨 쫓겨나듯 자리에서 물러나게됐다는 시각도 있다.

 최정우 회장 체제는 어떨까. 현재 상황만 놓고 볼 때 역대 정권과는 다를 수 있다는 관측이 우세하다.

 과거에 선임된 회장들은 낙하산 논란 등 회장 선임 과정에서 정권의 개입 의혹이 불거졌지만 이번에는 그런 논란이 비교적 적었다. 포스코 승계 카운슬이 주축이 돼 불필요한 논란이 발생할 수 있는 후보자를 배제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각에서 차기 회장 선출 과정 및 최 내정자에 대한 음해성 주장을 펼치자 포스코는 강경 대응을 천명하기도 했다. 현재로서는 '아니면 말고' 식의 폭로는 거의 사라진 상태다.

 문재인 정권에서 포스코 수장 및 자회사 대표이사 선임 등에 대한 직간접적인 간섭을 안하겠다고 공언했다는 점도 최정우 회장 체제가 오래갈 수 있다는 데 힘을 실어준다.

 정권에서의 간섭이 전혀 없을 수는 없겠지만 최소화되는 환경속에서 권오준 회장이 그랬듯 최 내정자도 회장 직에 올라 자신의 인물을 근거리에 배치해 안정적으로 회사를 이끌며 장기집권의 토대를 마련할 수 있다는 것이다.

 문제는 최정우 회장 체제에서 권오준 회장 체제보다 더 좋은 실적을 거둘 수 있는 지 여부다.

 미국의 철강제품 수입 규제 강화 정책이 글로벌 보호무역주의 확산으로 이어지고 있고 안으로는 산업용 심야시간(경부하) 사용 전기료 인상 등이 추진되는 등 대내외 상황이 좋지 않기 때문이다.

 중국 철강업계의 구조조정에 따른 철강가격 상승 등에 힘입어 당장의 실적은 좋을 지 몰라도 중국 철강업계가 본격적으로 제품 생산에 돌입할 경우 포스코의 실적도 내리막길을 걸을 수 있다. 

 실적이 뒷받침되지 못할 경우 최 회장 체제에 대한 직원들의 불만이 높아질 수 있고 외부에서의 개입 등을 통해 또 다른 논란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철강업계 관계자는 "이전 회장 선출때 정권 개입, 낙하산 인사 논란 등이 발생한 것과 달리 최 내정자 선출에 있어 CEO승계카운슬 등이 불필요한 논란을 최소화하는데 노력한 흔적이 보인다"며 "실적이 뒷받침될 경우 포스코 잔혹사를 끊고 임기를 채우는 첫 사례가 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