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비브리오패혈증 치사율 50%…상처나면 바닷가 들어가면 안돼

등록 2018.08.09 09:27:18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세종=뉴시스】비브리오패혈증 예방법. 2018.06.12.(그래픽 = 질병관리본부 제공)photo@newsis.com

【세종=뉴시스】비브리오패혈증 예방법. 2018.06.12.(그래픽 = 질병관리본부 제공)[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류난영 기자 = 비브리오패혈증을 예방하려면 어패류는 날 것으로 먹지 말고, 피부에 상처가 있을 경우 바닷가에 들어가지 않도록 해야 한다. 또 비브리오패혈증에 감염되면 48시간 이내 사망률이 50%로 치사율이 높으므로 즉시 병원에 가야 한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9일 "연일 이어지는 기록적인 폭염에 더위를 피하기 위해 바닷가를 찾은 피서객은 비브리오균 식중독에 걸리지 않도록 수산물 섭취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며 "해수욕을 즐기거나 수산물을 취급하면서 상처로 인한 비브리오 패혈증에 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장염 비브리오균은 호염성 세균으로 비브리오 식중독은 여름이나 가을에 주로 발생한다. 2시간에서 48시간의 잠복기를 가지며 증상으로는 설사, 미열이 동반되고 길게는 5일정도 지속된다.

장염 비브리오 식중독은 2015년 25명에서 지난해 354명으로 기온상승 등 온도변화로 인해 최근 3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발생 장소는 음식점이 주요 원인 식품은 어패류로 조사됐다.

장염 비브리오 식중독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신선한 상태의 어패류를 구매하고 구매한 식품은 5도 이하에서 신속히 냉장보관해야 한다. 냉동 어패류의 경우 냉장고 등에서 안전하게 해동한 후 흐르는 수돗물로 2~3회 정도 잘 씻고 속까지 충분히 익도록 85도 이상에서 1분 이상 가열·조리해 섭취해야 한다.

조리를 시작하기 전과 후에는 비누 등 세정제를 이용해 흐르는 물에 30초 이상 철저하게 손을 씻어야 한다. 칼과 도마는 전처리용과 횟감용을 구분해 사용하고 사용한 조리도구는 세척, 열탕 처리해 2차 오염을 방지해야 한다.
 
비브리오패혈증균은 그람음성 호염성세균으로 1∼3% 식염농도에서만 증식이 가능한 특징이 있으며 비브리오 패혈증은 어패류 섭취나 상처부위를 통해서 감염된다.

감염 시에는 발열, 혈압저하, 복통, 구토, 설사 등 증상이 나타나며 발진 부종, 수포 등의 피부병변이 발생하고 패혈증으로 발병하는 경우 48시간 이내 사망률이 50%에 이르는 등 치사율이 높으므로 즉시 병원 진료를 받아야 한다.

식약처 관계자는 "건강한 사람은 구토, 설사, 복통 등의 증상을 일으킬 수 있지만 만성 간질환 등의 기저질환으로 감수성이 높은 사람은 발열, 오한, 저혈압, 피부괴사 등 패혈성 쇼크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며 "대부분 환자에서는 감염 후 36시간 내에 피부에 출혈성 수포가 형성되며 혈소판 감소 및 범발성 혈관 내 응고병증이 발생한다"고 말했다.
 
비브리오 패혈증 예방하기 위해서는 만성 간질환자 등 고위험군의 경우 어패류를 날것으로 먹는 것을 피하고 상처 난 피부가 바닷물에 노출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해산물을 다룰 때에는 장갑 등을 착용해야 하며 날 생선을 요리한 도마나 칼 등에 의해서 다른 식품에 교차오염이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조리하지 않은 해산물로 인해 이미 조리된 음식이 오염되지 않도록 구분해서 보관해야 한다. 또 건강하더라도 상처가 있다면 바닷가에 들어가지 않도록 한다.

식약처는 "여름철 수산물 섭취로 인한 식중독을 예방하기 위해 식중독 신속검사차량 5대를 지역별로 바닷가 항 포구에 순환 배치해 비브리오 오염 특별 관리를 실시하고 있다"며 "손 씻기, 익혀먹기, 끓여먹기의 식중독 예방요령을 철저히 지켜달라"고 당부했다.

휴가철 바닷가를 찾는 여행객들은 식약처 홈페이지 비브리오 패혈증균 예측시스템(https://www.foodsafetykorea.go.kr/vibrio/main)에서 방문지역 비브리오 패혈증균 예측 지수를 확인할 수 있다.

비브리오 패혈증균 예측시스템은 수온, 유속, 염분 등 해양환경 인자를 이용해 패혈증균 발생가능성을 예측하는 시스템으로 지난 4월 남해안 해역을 시작으로 올해 말까지 모든 해역에 대해 비브리오 패혈증균 예측 지수를 제공할 예정이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