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광주시 "현대차, 투자 스탠바이…조만간 결론짓겠다"

등록 2018.09.20 15:03:56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이용섭 시장-이병훈 부시장, 현대차 대표 면담

투자 의지 재확인…시 "노동계와 대화 계속할 것"

광주시청 전경. (사진=뉴시스DB)

광주시청 전경. (사진=뉴시스DB)

【광주=뉴시스】송창헌 기자 = '광주형 일자리'를 기반으로 한 현대자동차 광주 투자협약에 노동계가 불참을 공식 선언하면서 협약 체결에 빨간불이 켜진 가운데 광주시가 현대차와의 투자자 간 협의, 노조와의 상생 소통에 행정력을 모으기로 해 좌초 위기에 놓인 현대차 투자사업이 다시 본궤도에 오를 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21일 광주시에 따르면 도시철도 2호선 건설과 관련해 3박5일간의 유럽 방문을 마치고 전날 귀국한 이용섭 광주시장은 귀국 직후 이병훈 문화경제부시장과 함께 현대자동차 대표와의 긴급면담을 가졌다.

 이 자리에서 이 시장은 "광주형 일자리는 현 정부 국정과제로, 일자리 창출과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해 노사민정 대타협을 바탕으로 반드시 성공시켜야 할 사업"이라고 설명한 뒤, 노동계가 불참 의사를 밝힌 데 대해 유감을 표했다.

 아울러 지금까지와 마찬가지로 광주형 일자리의 4대 원칙, 즉 적정 임금, 적정 노동시간, 노사 책임 경영, 원하청 관계 개선에 힘쓰면서 지속적인 소통을 통해 방안을 강구해 나가겠다는 의지도 현대 측에 전달했다.

 이에 현대 측은 '세팅이 다 됐다. 신차개발에 2000억∼3000억원 예상되고, 공장을 짓기 위해 기술자들도 대기 상태다. 노사민정 대타협에 기반한 적정임금을 설정하면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겠다는 판단에 모두 스탠바이 시켜놨는데 노조가 불참키로 해 광주 투자가 어려운 형편'이라고 밝혔다고 이병훈 부시장이 전했다.

 현대차의 매출액 대비 인건비 비중이 15.2%로, 도요타(7.8%), 폭스바겐(9.5%) 등 경쟁사에 비해 높아 최근 20년 동안 국내에 새로운 공장을 구축하지 못한 점도 광주 투자의 주요 배경이라고 현대측은 덧붙였다.

 현대차는 또 지난 6월 시에 제출한 투자의향서에 대해서도 '해외투자를 국내투자로 전환시켜 일자리 창출과 국내 제조업 활성화에 기여하는 등 광주시와 현대차 양측이 윈윈 할 수 있다고 판단해 의향서를 제출했던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부시장은 이날 출입기자 차담회에서 "노조가 협약 불참의 근거로 예시한 저임금 구조(초임연봉 2100만원)와 밀실-비밀 협약설은 모두 사실과 거리가 멀다"며 "연봉은 노사 양측의 입장과 시장 상황 등을 충분히 고려하고, 특히 경영수지분석을 바탕으로 3500만원(주 44시간, 하루 8시간 기준) 수준에서 결정하기 위해 현대 측과 진지하게 조율 중"이라고 설명했다.

 또 "임금 못지 않게 지속가능성이 매우 중요한 만큼 현대차에 지속적으로 고용 창출이 이뤄지도록 시의 의지를 강조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여러모로 어렵긴 하지만 현대차 투자 협약이 광주형 일자리의 최초 모델인 만큼 한국노총 등 노조와도 계속 소통하고 노동계 요구사항을 적극 검토해 나갈 방침"이라고 밝혔다.

 이 부시장은 "현대차와의 투자자간 지속적 협의와 노조와의 상생 대화를 통해 빠른 시일안에 협약과 관련한 결론을 도출해 내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 시장은 출국에 앞서 지난 14일 기자회견을 자청한 뒤 "벼랑 끝 절박한 심정으로 간절히 호소한다"며 현대차 완성차공장 투자유치와 광주형 일자리 성공을 위해 지역노동계가 함께 해 줄 것을 촉구했다.

 특히 "지난 3월7일 채택한 노사민정 대타협 공동결의문을 바탕으로 현대차가 6월1일 투자의향서를 제출했으나 지금까지도 노동계는 시를 신뢰할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으며 현대차 또한 노동계의 참여 없이는 투자할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해 관련 사업이 앞으로 나아가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이어 귀국 후 자신의 페이스북에 "협상 과정에 노동계 참여를 보장했고 간절하게 호소문까지 발표했는 데도 진정성이 통하지 않아 안타깝고 유감"이라는 글을 올리기도 했다.

 이에 노동계는 "현대차와의 논의 테이블에서 노동계를 철저히 배제해온 시가 협상에 진척이 없자 이제 와서 노동계에 책임을 떠넘기려 하고 있다"며 투자협약 불참을 공식 선언했고, 지역 정가 일부에서도 "노사민정 대타협만이 광주형 일자리의 살 길"이라며 말이 아닌 행동으로 노동계 참여를 보장할 것으로 촉구했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