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생산적금융]수출입銀, 정책자금 집중 지원으로 '수출·혁신·중소' 살린다

등록 2018.09.21 15:36:46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서울=뉴시스】서울 여의도에 위치한 한국수출입은행 전경.

【서울=뉴시스】서울 여의도에 위치한 한국수출입은행 전경.

【서울=뉴시스】김형섭 기자 = 혁신 산업에 정책자금을 집중 투입하는 '생산적 금융' 정책이 닻을 올린지 1년여가 지났다. 금융기관들이 가계대출처럼 손쉽게 돈을 벌 수 있는 분야에 치우쳐 온 관행에서 벗어나 보다 생산적 분야로 자금이 흐르도록 하다는 개념이다.

지난해 7월 취임한 최종구 금융위원장이 성장 잠재력과 일자리 확대에 기여하는 '생산적 금융'을 표방하면서 현 정부 정책금융의 핵심목표로 부상했고 국책은행들에게는 저마다의 임무가 주어졌다.

수출입은행은 기업 수출지원 선도기관으로서 수출과 실물경제를 견인하는 역할을 맡았다. 그리고 지난 1년여간 수은이 해온 노력은 '수출·혁신·중소' 등 3개 키워드에 대한 정책자금 집중 지원으로 요약된다.

우선 수은은 지난 2015년 이후 부진을 겪고 있는 우리 기업의 해외수주 회복을 위해 중장기 여신 지원을 확대하고 고부가가치 사업 지원을 강화해 왔다.

구체적으로는 건설·플랜트 등 대규모 해외 인프라 사업의 수주 활성화를 위해 중장기 여신 승인규모를 지난해 42억달러에서 올해 60억달러로 확대했다. 최근 세계적으로 증가 추세인 투자개발형 고부가 사업의 수주 지원도 강화하고 사업 초기단계부터 사업자문와 지분투자 등 금융패키지도 제공하고 있다.

대표적인 사례가 '쿠웨이트 액화천연가스(LNG) 수입터미널 건설사업'이다. 현대엔지니어링, 현대건설, 한국가스공사 등 국내 기업 3곳이 공동 수주한 사업으로 국내 중소·중견기업 130개사도 공동으로 참여했다.

중소·중견기업의 동반진출 효과가 매우 높은 사업이라고 판단한 수은은 대출 6억3000만달러, 보증 5억2000만달러 등 총 11억5000만달러를 지원했다.

수은은 유망 신흥국을 중심으로 선제적인 사업발굴을 추진하고 각 나라별로 차별화된 지원전략을 수립함으로써 우리 기업의 신시장 개척을 돕는다는 전략도 세웠다. 이에 따라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독립국가연합(CIS) 등 협력 잠재력이 높은 전략국가들의 유망사업 발굴을 통해 정부의 신북방·신남방 정책을 지원하고 있다.

혁신 산업으로 돈이 흘러들어가게 한다는 생산적 금융의 취지에 따라 혁신성장산업에 대한 여신지원규모도 꾸준히 확대 중이다. 지난 2016년 혁신성장산업에 6조2000억원을 지원한 수은은 이를 지난해 8조2000억원으로 늘렸으며 올해에는 7월말까지 5조원을 지원했다.

에너지신산업, 자율주행차 등 정부 선정 8대 선도산업 중심으로 금융지원도 확대할 계획이다. 수은은 이들 산업 지원 규모를 올해 9조원에서 매년 1조원씩 늘려 2022년에는 13조원까지 확대한다.

분야별로는 사업 초기 원천기술 개발 및 확보가 중요한 혁신성장산업의 특성을 고려하여 M&A, R&D 분야 자금을 적극 지원하고 해외 인프라 등 주요 수주산업에 수반하는 IT 기반 고부가가치 융복합 사업에 대한 지원도 강화하고 있다.

수은은 생산적 금융의 기치 아래 중소·중견기업에 대한 지원도 강화하고 있다. 전체 여신에서 중소·중견기업 지원이 차이하는 비중을 지난 2016년 34조3000억원에서 올해 43조원으로 늘렸다.

특히 중소기업에 대한 지원은 제도 정비와 신설 등을 통해 지원목표를 10조원으로 확대했다.

수혜 대상을 넓히려는 노력도 하고 있다. 수은은 국내 금융기관과의 협업을 통해 저신용 중소·중견기업 앞으로 정책자금이 돌아갈 수 있도록 공급채널을 확충했고 그 결과 2016년 1조원이던 지원 실적도 올해 2조4000억원으로 늘어난다.

상생금융에 대한 지원도 올해 1조5000억원에서 2022년 2조원으로 늘릴 계획이다. 대기업과 해외에 동반 진출하거나 대기업의 수주사업에 물품을 납품하는 중소·중견기업 앞으로 자금이 돌게 함으로써 중소·중견기업의 자립적 경쟁력을 확보하고 동반성장도 촉진한다는 게 수은의 계획이다.

수은은 일자리 창출 기여도가 높은 기업에 대한 우대지원을 확대하고 사회적 가치(가족·환경 등) 관련 기업에 대한 우대지원 제도도 신설했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