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서울 중형주택, 인허가 급감…공급부족 '부메랑' 우려

등록 2018.10.17 07:00:00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시장 불확실성에, 인허가 실적 초소형-초대형으로 양극화

거래선호도와 괴리…2~3년 내 수요-공급 미스매치 우려

서울 중형주택, 인허가 급감…공급부족 '부메랑' 우려

【서울=뉴시스】이인준 기자 = 서울의 주택 인허가 실적이 전년 대비 큰 폭으로 감소해 주택 공급 감소 우려가 커졌다.

  일반적으로 인허가 실적은 공급의 선행지표다. 주택 인허가를 받으면, 착공후 2~3년 뒤 입주물량으로 시중에 나오기 때문이다.

  하지만 정부의 잇딴 규제로 부동산 시장에 불확실성이 커지고, 분양 연기 등으로 인해 인허가 실적에 부침이 생겼다.

  특히 거래 선호도가 높은 중소형(40〜60㎡), 중형(60~85㎡)의 인허가 실적이 전년대비 40~50% 급감하면서 공급 부족 사태로 이어질 가능성도 제기된다.

  17일 국토교통부 주택건설실적통계에 따르면 올해 1~8월 인허가가 떨어진 주택은 3만8566호로, 전년 같은 기간 5만6497호 대비 31.7% 감소했다.

  규모별로 보면 초소형과 초대형으로 공급 쏠림이 나타나고 있다.

  중대형은 전년 1~8월 2469호에서 올해 1111호로 55.0% 줄었다. 중소형과 중형도 각각 2만2778호에서 1만2865호로 43.5%, 1만2926호에서 7891호로 39.0%씩 줄었다.
 
  반면 초소형과 초대형 인허가건은 상대적으로 감소폭이 덜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초소형은 지난해 1~8월 1만5007호에서 올해 1만3432호로 10.5% 감소했다. 초대형은 같은 기간 3317호에서 3267호로 1.5% 감소하는 데 그쳤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현상의 가장 큰 원인을 주택시장에 불확실성이 커졌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초소형과 초대형은 일반적으로 시장의 영향을 덜 받는다"는 것이다.

  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수석전문위원은 "초소형의 경우 1인 가구의 수요가 꾸준히 늘고 있기 때문에 시장 상황에 따라 일희일비 하지 않는다"면서 "초대형의 경우도 워낙 고가 주택이기 때문에 수요계층이 한정돼 있어 영향이 덜하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이 같은 양극화 상황은 일반적인 거래 선호도와는 정반대 방향이라는 점에서 우려를 낳고 있다.
 
  올해 인허가건에서 초소형이 차지하는 비중은 34.8%로, 중소형(33.4%)과 중형(20.5%)을 넘어섰다.

  초대형이 차지하는 비중도 8.5%으로, 중대형(2.9%)을 추월했다.

  반면 한국감정원 주택매매거래현황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에서 거래된 주택 18만7797호의 규모별 거래비중은 ▲중형 31.6%(5만9322호) ▲중소형 31.6%(5만9343호) ▲초소형 15.9%(2만9897호) ▲중대형 11.8%(2만2225호) ▲초대형 9.1%(1만7010호) 순이다.

  시장 선호도가 높은 중소형, 중형의 인허가 실적이 큰 폭으로 감소하면서 수년 후 서울 주택 공급에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는 우려가 커지는 이유다.

  국토교통부는 향후 5년간(2018~2022년) 서울 주택 수요는 약 5만5000호, 공급은 약 7만200호로 추정해 신규 수요를 초과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하지만 정부가 지난달 발표한 '수도권 주택공급 확대 방안'에 따르면 수도권에 추가 공급되는 30만 호는 오는 2021년부터 공급이 시작된다. 당장 2020년 이후 입주물량부터 고민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강남 재건축 사업은 각종 규제로 난항을 겪고 있다.

  여기에 주택 규모에 대한 시장 수요와 인허가간 미스매치도 공급부족으로 이어질 수 있는 변수라는 것이다.

  박 위원은 "일부 '똘똘한 한 채' 수요로 초대형 공급이 부족할 경우 가격 인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주장도 있지만, 기본적으로 중형을 찾는 시장 수요가 많을 수밖에 없다"면서 "초대형도 갈수록 가구 분화가 이뤄지는 추세기 때문에 중형 수요는 꾸준할 것"이라고 말했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