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경북도, 청년 유입 정책 위해 일본과 정보 공유

등록 2018.11.15 16:39:00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안동=뉴시스】류상현 기자 = 15일 안동대 국제협력관에서 '지방소멸 대응, 한·일 청년정책 포럼'이 진행되고 있다. 2018.11.15 (사진=경북도 제공) photo@newsis.com

【안동=뉴시스】류상현 기자 = 15일 안동대 국제협력관에서 '지방소멸 대응, 한·일 청년정책 포럼'이 진행되고 있다. 2018.11.15 (사진=경북도 제공)  [email protected] 

【안동=뉴시스】류상현 기자 = 청년인구 유출 심화, 청년 인구 과소지역 증가에 대응하고자 경북도가 일본과의 정책 공유에 나섰다.

경북도는 15일 안동대 국제협력관에서 '지방소멸 대응, 한·일 청년정책 포럼'을 가졌다.

이날 포럼에는 윤종진 행정부지사와 이주석 대구경북연구원장, 권태환 안동대 총장, 일본 청년정책 관계자와 도·시군 담당자, 대학교수, 청년 연구가, 지역청년, 대학생 등 100여명이 참석했다.

포럼은 ▲지방소멸 대응을 위한 한·일 청년정책 방향과 과제 ▲청년과 마을이 살아가는 길 등 두 가지 섹션으로 진행됐다.

첫 번째 섹션에서는 대구한의대 권기찬 교수가 경북의 지역적 특성과 실정에 맞는 청년정책 방향과 과제에 대한 제언을 했다.

이어 일본 카가와현청 지역활력추진 담당자인 요시다 메구미씨가 나와 카가와현 이주정책인 '지역부흥협력대' 도입 목적과 협력대원들의 성공요건을 소개했다.

그는 "기존 행정중심의 맹목적인 인구정착 정책에서 벗어나 협력대원들과 지자체의 의사소통, 지역과 유입청년 간 교류확대 등 새로운 시각에서의 접근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지역부흥협력대'란 2008년에 시작한 제도로 도쿄, 오사카 등 도시 거주자가 인구 과소 지역으로 이주해 활동할 경우 3년간 최대 400만엔(보수, 활동비)을 지원하는 제도다. 이 제도로 2017년 4976명의 청년들이 997개 자치단체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이 중 73%가 40대 미만이다.
  
메구미씨는 또 "카가와현은 대도시인 오사카와 가까워 인구유출이 심했으나, 전입자를 위한 친환경적 거주환경 정비와 자녀육아 지원정책으로 지난 3년간 전입자가 전출자를 초과하는 결과를 보였다"고 설명했다.
 
이어진 전문가 토론회에서는 유입청년의 성공적 정착을 위해 시군 관계자들의 공감대 형성과 지역주민과 청년간 교류 플랫폼 지원 등의 필요성이 제기됐다.

두 번째 섹션에서는 지역부흥협력대원의 특성을 연구한 일본 고베대 나카츠카 교수가 '지방 이주 청년이 그리는 생활상'이라는 내용을 발표했다.

나카츠카 교수는 일본의 청년 이주자가 그리는 생활상을 ▲도시와 농촌 둘 다 거점을 두고 좋아하는 일을 하는 도농 거점왕래 ▲농촌을 거점으로 창업해 도시에도 빈번히 출타하는 농촌 창업 ▲도시생활을 하면서 취미·레저를 위해 농촌을 방문하는 도시생활·농촌교류 ▲농촌에 정주해 농업을 하며 농촌적인 삶을 꿈꾸는 농촌 농업 등 4가지로 분류했다.

이를 바탕으로 청년 이주자가 단순히 지역과 관계를 맺는 단계에서부터 정주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을 효고현의 사례로 설명했다.

일본의 청년 정주지원 조직인 '산촌엔터프라이즈'의 후지이 대표는 자신의 재능과 능력을 살린 3년간의 지역부흥협력대 경험담으로 지방에서의 이상적인 생활과 보람을 소개했다.

경북도 관계자는 "이번 포럼은 지방소멸시대에 대응하는 한·일 양국 간 청년정책의 정보 공유를 통해 앞으로 경북이 전개해야 할 청년정책의 방향과 대안을 찾는데 많은 도움이 됐다"고 말했다.

윤종진 경북도 행정부지사는 "일본이 지난 10년간 노력으로 이루어 낸 성과를 단순히 벤치마킹해 단기적이고 가시적인 성과를 만들기 위한 조급함은 버려야 한다"며"살기좋은 환경과 생활권에 사람이 모이는 건 당연한 이치인 만큼 청년들이 선호하는 정주여건 조성에 최선을 다하고 행정과 지역주민, 관련 기관이 청년들과 소통하고 협력 한다면 청년이 꿈을 실현할 수 있는 경북이 될 것이라 확신한다"고 강조했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