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국내 연구진, '조기발병위암' 원인 유전자 찾았다

등록 2019.01.15 05:00:00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고려대 유전단백체연구센터 이상원 교수 연구진

'유전단백체연구', 캔서셀 1월자 온라인판에 게재

변이 유전자, 발병 관련 신호전달경로 관여 입증

4가지 종류 위암 유형, 다른 세포 신호전달경로

국내 연구진, '조기발병위암' 원인 유전자 찾았다


【서울=뉴시스】이국현 기자 = 국내 연구진이 40대 전후 발생하는 조기발병위암의 원인 유전자를 찾았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포스트게놈다부처유전체사업의 지원을 받은 고려대 유전단백체연구센터 이상원 교수 연구진이 '유전단백체연구'를 통해 이같은 성과를 거뒀다고 15일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암 연구 분야의 최상위 학술지인 캔서 셀(Cancer Cell) 1월자 온라인 판에 게재됐다.

전세계에서 폐암, 간암에 이어 세 번째로 발병률이 높은 위암은 연간 70만명 이상이 사망하는 치명적인 질병이다. 보통 30세 전에는 거의 발병하지 않다가 연령대가 올라 갈수록 발병률이 높아져 주로 40~70대에 발병한다. 발병시기가 40대 전후로 발병하는 위암을 조기발병위암이라고 한다.

조기발병위암 환자는 국내 위암 환자의 15%로 추정된다. 환경적 요인보다 유전적인 요인이 높고, 가족력이 있는 경우 발병 위험이 높다. 남성보다 젊은 여성에게서 주로 발병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조기발병위암은 진단이 늦고 진행이 빠르며 전이가 잘되는 것이 특징이다. 젊은 사람에게 생기는 위암의 원인은 그간 규명되지 않았다.

연구진은 국내 기초연구자들과 위암 임상연구자들과 협력연구를 통해 5년간 80명의 조기발병위암 환자로부터 암조직과 주변 정상조직을 얻어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법(NGS)으로 유전체 분석을 실시했다.

그 결과 7000여개의 체세포 변이 유전자 가운데 조기발병위암의 발병과 상관관계가 있는 변이 유전자 CDH1, ARID1A, RHOA를 찾았다. 이 유전자는 조기발병위암 발병과 관련된 중요한 신호전달경로에 관여하고 있다는 사실을 입증했다.

【서울=뉴시스】체세표 변이의 유전자 단백체 분석. 그림 A는 조기발병위암 환자에서 찾아진 유의미한 변이 유전자인 CDH1, TP53, BANP, MUC5B, RHOA, ARID1A를 확인한 그림.그림 B는 CDH1, ARID1A, RHOA은 단백질 인산화 정도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주는 표.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체세표 변이의 유전자 단백체 분석. 그림 A는 조기발병위암 환자에서 찾아진 유의미한 변이 유전자인 CDH1, TP53, BANP, MUC5B, RHOA, ARID1A를 확인한 그림.그림 B는 CDH1, ARID1A, RHOA은 단백질 인산화 정도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주는 표.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email protected]


특히 연구진은 80명의 위암환자 조직 유전자 분석결과, 같은 위암 환자라도 다른 치료반응을 나타내는 4가지 위암 유형으로 분류된다는 사실을 규명했다. 4가지 종류의 위암 유형이 각각 다른 세포 신호전달경로를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해 정밀하게 위암의 원인을 찾을 수 있게 됐다.

연구진은 "향후 위암 환자의 정밀한 진단 및 개선된 치료 방법 개발이 활발히 진행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연구 결과를 암 연구 분야 최상위 학술지인 캔서 셀에 게재하는 성과를 거둬 암유전단백체 연구의 세계적 우수성을 인정받게 됐다"며 "전 세계적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암유전단백체 국제협력연구 및 정밀의료연구를 주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