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정부 "'데이터·AI 가장 안전히 잘 다루는 국가' 도약"(종합)

등록 2019.01.16 13:33:32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1차 혁신성장회의·3차 경장회의 결과

4차 혁명 성공 위해 데이터·AI 활성화

데이터 가치사슬 활성화, AI 융합 추진

"23년 AI 유니콘 10개, 인재 10만명 육성"

【서울=뉴시스】 김병문 수습기자 = 홍남기 경제부총리가 16일 오전 서울 서초구 양재 R&CD 혁신허브에서 열린 '제1차 혁신성장 전략회의'에 참석해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2019.01.16. dadazon@newsis.com

【서울=뉴시스】 김병문 수습기자 = 홍남기 경제부총리가 16일 오전 서울 서초구 양재 R&CD 혁신허브에서 열린 '제1차 혁신성장 전략회의'에 참석해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2019.01.16.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김진욱 기자 = 정부가 4차 산업혁명의 성공을 위해 데이터·인공지능(AI) 활성화를 추진한다. 빅데이터플랫폼 10개 구축 등을 통해 한국을 '데이터·AI를 세계에서 가장 안전하게, 잘 다루는 국가'로 도약시키겠다는 목표다.

정부는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16일 오전 서울 서초구 양재R&CD혁신허브에서 제1차 혁신성장전략회의 겸 제3차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이같은 내용을 담은 '데이터·AI 경제 활성화 계획'을 논의했다.

4차 산업혁명의 성공이 데이터·AI 간 유기적인 융합에 달려있다는 판단에 따른 결정이다. 양질의 데이터 시장을 형성하고 고도의 AI 기술도 확보해야 한다.

특히 한국은 데이터 관련 시장 형성이 미진하다는 분석이다. 2017년 기준 국내 데이터 시장 규모는 5000억원으로 미국의 400분의 1 수준이다. 미국과 기술 격차도 크다. 미국을 100으로 봤을 때 데이터 분야 기술력은 79, AI는 78로 평가된다.

이번 계획의 핵심은 '데이터 생산부터 유통까지의 가치사슬 전(全)주기 활성화'다. 우선 금융·통신 등 다양한 데이터를 수집·제공할 수 있는 빅데이터센터 100개와 이를 결합해 새로운 서비스를 만드는 빅데이터 플랫폼 10개를 구축한다. AI 허브를 구축해 데이터·알고리즘·컴퓨팅파워 등 관련 인프라도 한꺼번에 제공하기로 했다. 기업의 AI 서비스 개발을 지원하기 위해서다.

데이터와 AI의 융합을 촉진하기 위해 1조원 규모의 클러스터 조성도 추진한다. 기업·대학·연구소가 모여 AI 관련 연구와 창업 등을 종합 지원하는 시설이다. 2029년 조성 완료를 목표로 예비타당성 조사를 실시할 예정이다. 데이터·AI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해 연 2000명을 선발해 교육할 수 있는 '이노베이션 아카데미'도 만든다.

이와 관련해 홍 부총리는 혁신성장전략회의 시작 전 모두발언을 통해 "2023년까지 데이터 시장규모 30조원 달성, 인공지능(AI) 유니콘기업 10개 및 데이터·AI 융합인재 1만명 육성을 목표로 집중적으로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올해부터 2023년까지 5년동안 이런 계획을 내실있게 실행해 데이터·AI 경제 선도국가로 도약하겠다는 계획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중심으로 데이터·AI 경제 민관 합동 태스크포스(TF)팀을 운영해 진행사항을 주기적으로 점검하기로 했다.

한편 이날 회의에서는 수소경제 활성화 계획도 함께 논의됐다. 미래 친환경 산업 핵심인 수소경제 분야에서 수소차·연료전지를 양대 축으로 세계 시장점유율 1위를 달성하기 위해서다.

2018년 2000여대에 불과한 수소차 보급량을 2022년 8만여대까지 확대한다. 수소의 생산부터 저장·운송·활용에 이르기까지 전 분야를 아우르는 추진전략도 마련했다. 여기에는 대·중소기업 상생, 전문인력 양성, 글로벌 표준 선점 등 수소경제 생태계 조성방안 등이 포함됐다.

이날 논의 결과를 바탕으로 마련한 최종결과는 17일 울산에서 열리는 수소경제 행사에서 발표하기로 했다. 이날 행사에는 문재인 대통령이 참석한다.

데이터·AI 경제 및 수소경제 활성화와 함께 안건으로 올라간 '산업혁신(Big-Innovation) 추진계획'과 관련해서는 주력산업의 경우 2030년까지 중장기 로드맵을 수립하기로 했다. 올해 활력 제고가 시급한 자동차·조선·디스플레이·석유화학 등 4대 업종은 경쟁력 제고 대책을 마련한다.

관광·보건·게임 및 콘텐츠·물류 등 4대 서비스업종과 스마트공장 및 산단·미래차·핀테크·바이오헬스 등 4대 신산업에 대해서는 제도개선과 재정 지원 및 세제 혜택을 추진할 예정이다.

한편 정부는 경제관계장관회의를 '경제활력대책회의'와 '혁신성장전력회의' 투트랙으로 운영하기로 했다. 혁신성장전략회의는 경제활력대책회의와 달리 다양한 민간 전문가와 함께 최대한 현장을 찾아 개최한다.

이날 회의에는 홍 부총리를 포함해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박주봉 중소기업 옴부즈만, 홍종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노형욱 국무조정실장, 권덕철 보건복지부 차관, 김현수 농림축산식품부 차관, 김용삼 문화체육관광부 제1차관, 박선호 국토교통부 제1차관, 문미옥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1차관, 김양수 해양수산부 차관, 강신욱 통계청장, 임서정 고용노동부 차관, 안국영 수소학회 명예회장, 유성준 세종대학교 교수, 문용식 정보화진흥원장 등이 참석했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