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수소경제 로드맵]94만가구에 가정·건물용 연료전지 2.1GW 보급

등록 2019.01.17 12:00:00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산업부, 17일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 발표

발전용 연료전지 22년까지 1.5GW→40년 15GW 확대

【세종=뉴시스】산업통상자원부가 17일 발표한 '수소 경제 활성화 로드맵'에는 2040년까지 발전용 연료전지의 보급 규모를 15GW로 늘리고 그 중 가정·건물용 연료전지를 2.1GW 규모로 확대하는 방안이 담겼다. (자료 = 산업통상자원부 제공)

【세종=뉴시스】산업통상자원부가 17일 발표한 '수소 경제 활성화 로드맵'에는 2040년까지 발전용 연료전지의 보급 규모를 15GW로 늘리고 그 중 가정·건물용 연료전지를 2.1GW 규모로 확대하는 방안이 담겼다. (자료 = 산업통상자원부 제공)

【세종=뉴시스】장서우 기자 = 정부가 2040년까지 친환경 발전용 연료전지 보급 규모를 15GW 수준까지 확대한다. 그간 선진국에 비해 기술 수준이 뒤처졌던 가정·건물용 연료전지 역시 보급 규모를 2.1GW로 늘릴 계획이며 공공기관이나 신축 건물에 연료전지를 의무화하는 방안도 검토에 나선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7일 이같은 내용이 담긴 '수소 경제 활성화 로드맵'을 발표했다. 올해 초부터 관계 부처 협의를 거쳐 논의돼 온 이 로드맵은 지난 16일 열린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최종 확정됐다.

수소 경제는 정부가 데이터, 인공지능(AI)과 함께 지난해 8월 선정한 3대 전략 투자 분야 중 하나다. 산업부는 지난해 9월 차관을 위원장으로 한 '수소 경제 추진위원회'를 구성한 이후 약 3개월간 관계 부처 및 100여명의 민간 전문가로부터 의견을 수렴하고 연구·분석을 병행했다.

이번 로드맵은 수소차·연료전지를 양대 축으로 세계 최고 수준의 수소 경제 선도 국가로 도약하기 위해 설계됐다. 정부는 수송과 전기·열 에너지 부문에서 수소 활용도를 높여 세계 시장 점유율 1위를 달성할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산업부에 따르면 발전용 연료전지는 이산화탄소(CO2) 배출이 없고 도심지에 소규모로 설치할 수 있어 친환경적인 분산 전원이다.

지난해 307.6㎿ 수준에 그쳤던 발전용 연료전지의 보급 규모를 2022년까지 1.5GW, 2040년까지는 그 10배인 15GW 수준으로 확대한다. 이 중 내수용이 8GW, 수출용이 7GW다.

2022년까지 국내에 1GW를 보급해 규모의 경제를 달성한 후 2025년까지 중소형 액화천연가스(LNG) 발전과 대등한 수준으로 발전단가를 낮추겠다는 계획이다. 중·장기적으로는 설치비와 발전단가를 각각 기존의 65%, 50% 수준으로 낮출 방침이다.

올해 상반기 중 연료전지 전용 LNG 요금제를 신설하고 당분간 신재생에너지공급인증서(REC) 가중치도 유지해 투자 불확실성을 제거한다.
[수소경제 로드맵]94만가구에 가정·건물용 연료전지 2.1GW 보급

2040년엔 가정·건물용 연료전지도 94만 가구를 대상으로 2.1GW 규모로 보급한다. 이 규모는 지난해 5㎿ 수준이었다. 설치 장소와 사용 유형별 특징을 고려한 다양한 모델을 출시하고 공공기관이나 민간 신축 건물에 연료전지 의무화도 검토할 계획이다.

정승일 산업부 차관은 지난 15일 열린 사전 브리핑에서 "자동차용, 즉 발전용 대용량 연료전지에선 우리나라가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을 가지고 있지만 가정·상업용 소형 연료전지 분야에선 아직 기술력이 선도국에 비해 뒤처지는 것이 사실"이라며 "자동차와 같은 과감한 보급 계획을 잡지 못한 것은 이 분야에 대한 기술 개발과 투자가 더 필요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정 차관은 "일본의 경우 '에너팜'이라는 이름으로 가정용 소형 연료전지를 보급하고 있는데 2030년까지 대당 가격을 500만원 수준으로 낮추고 보급 대수도 500만 가구로 목표 삼고 있다"며 "이 분야에서 일본이 앞서 있기에 과감한 보급 목표를 세울 수 있었던 것이다. 우리도 이른 시일 내 기술을 따라잡아 기술력을 향상하면 보급 속도와 양을 빨리 늘려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밖에 대규모 발전이 용이한 수소가스터빈 기술의 개발·실증 작업을 통해 2030년 이후 상용화할 방침이다.

한편 이날 오전 울산시청에서 열린 수소 경제 관련 행사엔 문재인 대통령을 비롯해 산업통상자원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환경부·중소기업벤처부·국토교통부 등 관계 부처 장관들이 참석했다. 이밖에 송철호 울산시장을 비롯해 200여명의 산·학·연 관계자들이 자리했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