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제약업계 "탄력근로제 6개월로 확대 환영"

등록 2019.02.19 19:26:59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주52시간 근무제만으론 의약품 안정적 공급 어렵고

글로벌 경쟁력 저하·국민건강 악영향 미칠 우려있어



【서울=뉴시스】박미소 수습기자 = 19일 서울 종로구 경제사회노동위원회 브리핑실에서 탄력근무 관련 합의문이 발표된 후 대표장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이재갑 고용노동부장관, 김주영 한국노총 위원장, 손경식 한국경총회장, 이철수 경사노위 노동시간제도개선위원장, 문성현 경사노위 위원장.2019.02.19.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박미소 수습기자 = 19일 서울 종로구 경제사회노동위원회 브리핑실에서 탄력근무 관련 합의문이 발표된 후 대표장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이재갑 고용노동부장관, 김주영 한국노총 위원장, 손경식 한국경총회장, 이철수 경사노위 노동시간제도개선위원장, 문성현 경사노위 위원장.2019.02.19.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백영미 기자 = 노·사·정이 사회적 대화를 통해 탄력적 근로시간제 단위기간을 현행 최장 3개월에서 6개월로 늘리기로 합의하자 제약업계는 "현장의 특수성을 고려했다"며 환영의 뜻을 나타냈다.

업계 관계자는 19일 "계절적 요인에 따른 수요 급증 등 현장의 특수성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며 "노사정이 기존 최장 3개월인 탄력적 근로시간제의 단위 기간을 6개월로 연장한 것을 환영한다"고 말했다.

업계에 따르면 주52시간 근무제는 의약품의 안정적 공급을 어렵게 해 그 피해가 고스란히 국민에게 돌아갈 수 밖에 없다. 계절적 요인이나 전염병 대유행 등으로 수요가 급격히 몰릴 경우 공장을 24시간 풀가동해도 필요한 물량을 맞추기 어렵다는 것이다.

실제로 지난 2009년 국내 신종플루 감염자 수가 급증해 예방백신 확보에 비상이 걸리자 녹십자 화순공장이 수 개월간 24시간 풀가동돼 국가적 위기에서 벗어난 사례도 있다.

또 의약품 원료공장의 경우 원료 합성과 화학반응 시간, 대기 시간, 냉각 및 가열 등 일련의 단일 과정을 거치는데, 하루 12시간 이상이 소요되기 때문에 주 52시간 근무제로는 생산 차질이 불가피하다.

탄력적 근로시간제 운영 없인 신규 인력 채용도 어려움이 뒤따를 수 밖에 없다. 의약품은 일반 공산품과 달리 엄격한 품질관리 기준(GMP)에 따라 모든 생산이 이뤄지고 품질 관리 차원에서 숙련된 인력이 생산라인에 배치된다. 하지만 국내 인력시장의 여건상 숙련된 인력을 원활히 모집하는 데 한계가 있다.

앞서 제약업계는 지난해 7월 주52시간 근무제 시행을 앞두고 삶과 일의 균형, 삶의 질 개선에 방점이 찍힌 정부의 고용시간 단축 방안에는 동의하지만, 업계의 충격을 줄이려면 현실을 고려해 탄력적으로 운영할 필요가 있다는 입장을 고용노동부에 전달했다.

 산업의 특성이 반영되지 않은 주52시간 근무제의 일괄 적용은 제약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저하시키고 국민건강에 악영향을 초래할 수 있다는 이유다.

업계 관계자는 당시 "신약개발은 10년 이상의 오랜 시간과 막대한 자본이 투입되는 가운데 임상 1, 2, 3상 등 개발 스케쥴에 따라 시기별로 프로젝트를 진행해야 하는 데다 집중력 발휘가 무엇보다 요구돼 초과근로와 같은 집중근무가 반드시 요구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신약개발은 환자 모집 등의 변수도 작용해 경쟁 중인 외국 기업체와의 속도전에서 뒤처지면 그간의 노력이 한순간에 물거품이 될 수 있다"면서 "미국, 유럽 등 선진시장으로의 글로벌 진출이 활발해지고 있는 현 시점에서 주52시간 근무제로는 효율적인 의약품 개발과 성공적인 해외 시장 개척을 담보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