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일제 강제징용 피해자 삶 기록 정부·지자체 차원 노력 필요"

등록 2019.02.20 15:57:36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울산=뉴시스】박일호 기자 = 20일 오후 울산시의회 다목적회의실에서 3·1운동 100주년 기념 울산강제징용노동자상 건립 경과보고 토론회가 열리고 있다. 2019.02.20. piho@newsis.com

【울산=뉴시스】박일호 기자 = 20일 오후 울산시의회 다목적회의실에서 3·1운동 100주년 기념 울산강제징용노동자상 건립 경과보고 토론회가 열리고 있다. 2019.02.20. [email protected]


【울산=뉴시스】박일호 기자 = 일제 강제징용 피해자들의 삶을 기록하고 사회적 관심을 높이기 위해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차원의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울산강제징용노동자상 건립추진위원회와 울산시의회는 20일 시의회 다목적실에서 울산강제징용노동자상 건립보고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 정영희 울산겨레하나 집행위원장은 울산의 징용피해 생존자 현황과 피해자 후손찾기 결과를 발표했다.

정 위원장은 이날 "지난 8개월 동안 강제징용 노동자와 후손 찾기 사업을 진행한 결과 징용노동자들의 가족이나 후손들이 자신의 아버지와 할아버지가 어디에, 언제 징용을 다녀 온지 몰랐다"며 안타까워했다.

이어 "사업을 통해 국가기록원에 등재된 사람보다 등재되지 않은 사람이 더 많고, 징용을 증명할 만한 자료가 손실됐거나 인우보증을 해 줄 사람이 없다는 것을 깨달았다"고 밝혔다.

정 위원장은 "징용 생존자를 찾는 과정에서 국가의 도움은 전혀 없었다"며 "국가는 징용 피해자 개인의 삶을 기록하거나 사회적 관심을 높이기 위해 아무런 노력을 안 한다. 지자체의 경우에도 국가사무일 뿐이라며 외면했다"고 지적했다.

그는 "특히 울산시에 6000여명의 징용피해자 명단이 있지만 징용 실태보고서는 하나도 없다"며 "지난 시간 국가와 사회가 징용피해자의 고통과 눈물을 외면해왔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울산겨레하나 조사 결과 울산지역 강제징용피해 생존자는 지난 2017년 3월에는 55명, 2018년 3월에는 45명이다.

정 위원장은 "지금이 비록 늦었다고 하더라도 우리는 징용의 역사를 하나하나 기록, 정리, 연구하고 기억해 다시는 그런 역사가 반복되지 않도록 나서야 할 때"라며 "그것이 진정 역사를 바로 세우는 출발점이고 올바른 역사청산을 위한 밑거름이다"고 주장했다.

그는 "어딘가에 있는 6000명 보다 내 눈 앞에 보이는 6000개의 이름이 우리를 깨어나게 한다"며 "6000여명의 명단을 다시금 세상으로 드러내줄 것"을 정부와 지자체, 시민들에게 촉구했다.

【울산=뉴시스】박일호 기자 = 울산강제징용노동자상 건립추진위원회는 3·1운동 100주년을 기념해 오는 3월 1일 오후 2시 울산대공원 동문 입구에 울산강제징용노동자상(사진)이 세워진다고 20일 밝혔다. 2019.02.20. (사진=울산강제징용노동자상 건립추진위원회 제공) photo@newsis.com

【울산=뉴시스】박일호 기자 = 울산강제징용노동자상 건립추진위원회는 3·1운동 100주년을 기념해 오는 3월 1일 오후 2시 울산대공원 동문 입구에 울산강제징용노동자상(사진)이 세워진다고 20일 밝혔다. 2019.02.20. (사진=울산강제징용노동자상 건립추진위원회 제공) [email protected]


이날 사업보고를 마친 정 위원장은 울산 출신·거주 일제 강제징용피해 생존자들의 구술 자료를 공개했다.

한편 울산강제징용노동자상은 3·1운동 100주년을 맞아 오는 3월 1일 울산대공원 동문입구 16㎡ 부지에 건립된다.

울산강제징용노동자상 건립추진위는 이날 오후 2시 울산대공원 동문 광장에서 강제징용노동자상 제막식을 개최한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