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사상 최대 배당금]10대 그룹, 배당성향 '급증'…작년 현금배당 33%↑

등록 2019.02.24 09:00:00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64개 계열사, 순이익 2% 증가에도 껑충

스튜어드십코드·행동주의 펀드 영향

(자료: 에프앤가이드 제공)

(자료: 에프앤가이드 제공)

【서울=뉴시스】이진영 기자 = 10대 대기업 그룹의 지난해 현금배당액이 전년 동기에 비해 33% 가까이 증가했다. 특히 순이익이 2%도 못 되게 늘었음에도 배당액이 큰 폭으로 늘어남에 따라 배당성향이 20%대로 올라섰다. 

24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12월 결산 코스피·코스닥 상장사 가운데 지난 21일 현재까지 결산 배당 공시를 낸 10대 대기업 그룹 소속 계열사 64곳의 현금배당 총액은 19조8860억원으로 전년의 14조9608억원에 비해 32.9% 커졌다. 

같은 기간 현금배당 성향(순이익에 대한 현금배당액의 비율)은 15.8%에서 20.7%로 4.9%포인트 확대됐다. 이들의 연결 재무제표 기준 순이익이 1.6% 늘어나는 데 그쳤지만 배당액이 크게 증가한 데 따른 것이다. 

그룹별로 보면 삼성그룹의 배당액이 가장 많고, 가장 큰폭으로 늘었다. 삼성그룹의 지난해 배당액은 11조6858억원으로 일년 전에 비해 52.7% 확대됐다. 유일하게 십조원대의 배당을 했다. 동일 기간 배당성향은 16.2%에서 22.5%로 커졌다.

또한 삼성그룹의 배당액은 이들 상장사 배당액의 58.8%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대표 계열사 삼성전자의 배당액이 65.1% 뛴 9조6192억원으로 집계돼 눈에 띈다. 그룹에서는 82.3%, 상장사 전체에서는 48.4%로 대부분을 차지했다.

삼성전자에 이어 삼성화재(4889억원), 삼성생명(4759억원), 삼성물산(3299억원), 삼성카드(1708억원), 삼성에스디에스(1547억원), 삼성증권(1250억원), 에스원(845억원), 제일기획(780억원), 삼성전기(757억원), 삼성SDI(669억원), 호텔신라(133억원), 멀티캠퍼스(29억원) 등 순으로 삼성그룹 내에서 배당을 많이 했다.

다음으로 SK그룹(2조8944억원)이 배당을 많이 했다. 전년과 견줘서는 14.6% 늘었다. 또 현대자동차(1조7641억원), LG(1조3013억원), 포스코(9083억원), 롯데(6167억원), KT&G(5051억원), CJ(1331억원), 현대중공업(443억원), 한화(329억원) 등이 차례로 배당을 많이 했다.

조 단위 대의 배당을 한 삼성·SK·현대차·LG 등 상위 4대 그룹의 배당액(17조6456억원)이 전체에서 88.7%를 차지했다.

삼성전자 다음으로 가장 많이 배당을 한 기업은 현대차(1조662억원)다. 하지만 전년(1조795억원)에 비해서는 1.2%(133억원) 줄었다. 이는 순이익이 지난해 1조6450억원으로 63.8% 급감한 것이 반영됐다. 즉 경영 성과에 비해서는 배당을 적극적으로 한 것이다. 배당성향이 지난해 23.7%에서 64.8%로 뛴 것은 이런 배경이다. 미국계 행동주의 헤지펀드 엘리엇이 배당 확대 등을 요구한 데 따른 영향으로 풀이된다.

3위는 SK하이닉스(1조260억원)로 배당액이 1조원을 넘어섰다. 1조원 이상을 배당을 한 곳은 이렇게 삼성전자, 현대차, SK하이닉스 등 3곳이다. 다음으로 POSCO(8000억원), SK텔레콤(7174억원), SK이노베이션(7083억원), KT&G(5051억원), 삼성화재(4889억원), 삼성생명(4759억원), LG화학(4601억원) 등 차례다.

또 이들 계열사 가운데 배당액이 가장 많이 늘어난 기업은 롯데정밀화학(433억원)으로 112.5% 증가, 2배 넘게 뛰었다. 역시나 지난해 순이익이 2149억원으로 그 전년(892억원)에 비해 140.8% 상승한 것이 뒷받침 됐다. 강점을 갖고 있는 특수화학제품의 수익성 개선과 중국의 환경규제 강화로 경쟁사 공장 신증설이 지연되면서 롯데정밀화학이 반사 이익을 누렸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국내 주요 그룹사들이 지난해 배당을 크게 늘린 것은 국민연금 등 기관 투자가들의 스튜어드십코드(기관투자자의 의결권 행사 지침) 도입 본격화로 기업들이 주주환원 정책을 강화한 결과로 풀이된다. 또 행동주의 펀드들이 목소리를 높이고 있는 것도 기업들의 배당 확대에 영향을 미쳤다. 국내 증시의 저평가 요인으로 꼽히는 낮은 배당이 주요 그룹들을 중심으로 향후에도 개선될지 주목되고 있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