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北에만 '올인' 할 수 없는 文…민생·경제활력 행보 집중

등록 2019.03.18 15:15:38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경제부총리 정례보고, 금융정책 발표회, 전국경제투어…경제행사 빼곡

북미 대화 재개 등 중재노력 시급…경제·외교 '두마리 토끼' 잡기 시도

지난해 10월 후 외교안보 효과 한계 확인…대외 경제 행보 보폭 확대

【서울=뉴시스】전신 기자 = 문재인 대통령이 14일 청와대 영빈관에서 열린 자영업·소상공인과의 대화에서 참석자들의 의견을 청취하고 있다. 2019.02.14.  photo1006@newsis.com

【서울=뉴시스】전신 기자 = 지난달 14일 자영업·소상공인 대화를 주재하고 있는 문재인 대통령의 모습.(사진=뉴시스DB). 2019.02.14.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김태규 기자 = 문재인 대통령이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아세안) 3개국 순방에서 돌아온 직후 경제 관련 행보들로 일정을 채우기로 한 결정 속에는 올해 안으로 가시적 경제 성과를 반드시 내야한다는 절박함이 묻어있다.

'하노이 노딜' 이후 교착상태에 빠진 북미 비핵화 대화의 중재가 시급한 상황 속에서도 민생·경제 문제를 놓치지 않는 '투 트랙 전략'을 계속 이어간다는 게 청와대의 구상이다. 이른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놓칠 수 없다는 것이다.

지난달 14일 자영업자·소상공인과의 대화를 끝으로 사실상 경제 관련 공개행보가 끊긴 만큼 대외적으로 꾸준한 메시지를 낼 필요가 있다고 청와대는 보고 있다.

18일 청와대에 따르면 문 대통령은 오는 20일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으로부터 경제 상황과 주요 경제 현안들에 대해 보고를 받고 향후 경제운용 방향을 점검키로 했다. 이어서 이튿날인 21일 혁신금융비전 선포식에 참석한다. 22일에는 7번째 전국 경제투어에 나선다.

홍 부총리로부터 경제 현안을 보고받기로 한 것은 격주 단위로 이뤄지던 정례보고를 활성화 하는 차원으로 볼 수 있다. 당초 보름에 한 번씩 경제 현안을 논의하기로 했지만 지난달 중순 이후 해외 주요 정상 맞이에 이은 아세안 3개국 순방으로 인해 중단 됐었다. 경제부총리로서의 존재감이 부족하다는 일각의 지적을 불식시키기 위한 의도도 담겨 있다.

문 대통령은 정례보고 자리에서 우선 현재 경제 상황에 대한 정확한 진단을 내린 뒤, 2/4분기 경제운용 방향을 명확히 설정한다는 방침을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이후 혁신성장을 위한 금융정책을 발표하는 혁신금융비전 선포식에 참석하는 순으로 일정을 짠 데에는 거시적인 경제방향을 먼저 정한 뒤, 세부 정책을 챙기겠다는 의미가 담겨있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혁신금융비전 선포식과 관련해 "자금 부족을 호소하는 기업들을 충분히 지원하는 금융 관련 정부의 혁신정책과 비전을 발표하는 자리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주 마지막 경제 관련 행사는 그동안 멈췄던 전국 경제투어 재개를 통해 지역경제 활력을 높이고 지역 주민과의 스킨십을 넓히는 일정이 예정돼 있다. 이번이 7번째로 지난달 13일 부산을 마지막으로 찾은 이후 한달 여만이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문 대통령은 아세안 3개국 순방을 마치고 돌아온 직후에도 경제와 민생문제에 집중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다른 청와대 관계자는 "대통령의 이번주 경제 행보는 지난해 연말부터 계속 돼 온 기조를 변함 없이 이어나가겠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처럼 문 대통령이 대외 경제행보의 보폭을 본격적으로 넓히기 시작한 것은 지난해 10월30일 전북 군산을 전국 경제투어 첫 행선지로 방문하면서부터다. 60%대를 상회하던 문 대통령의 지지율이 50%대를 향해 내리막길을 걷던 시점과 일치한다.
【서울=뉴시스】전신 기자 = 문재인 대통령이 10일 청와대 본관에서 홍남기 신임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에게 임명장을 수여한 후 환담장으로 이동하고 있다. 2018.12.10.  photo1006@newsis.com

【서울=뉴시스】전신 기자 = 문재인 대통령과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의 모습. (사진=뉴시스DB). 2018.12.10. [email protected]


역사상 최초의 북미 정상회담(6월)과 평양 남북 정상회담(9월) 이후 외교안보 이슈는 빠르게 식은 반면, 소득주도성장으로 대표되는 문 대통령의 경제 정책을 향한 공세가 거세지던 때와 맞물린다. 문 대통령의 대외 경제행보 시작이 지지율과 전혀 무관치 않다는 분석이 나오는 이유다.

집권 초반 평창동계올림픽을 시작으로 조성된 남북 대화 국면에 힘입어 80%대의 지지율 고공행진이 이어졌지만 그 효과는 3~4개월을 넘기지 못했다.

집권 후 1년 이상을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을 위해 심혈을 기울인 끝에 3차례의 남북 정상회담과 역사상 최초의 북미 정상회담을 이끌어 냈지만 대북정책만으로 지지율 지속을 꾸준히 담보할 수 없다는 것을 경험적 사례를 통해 확인이 됐다.

대북정책이 성공을 거두었을 땐 나름의 임팩트는 있지만 오래갈 수 없다는 인식이 근본적으로 경제 성과 창출의 필요성을 강조하게 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떨어진 국정 장악력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국민 삶과 밀접한 민생경제를 챙길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공교롭게도 문 대통령의 최근 지지율도 가파른 하향곡선을 그리고 있다. 리얼미터와 갤럽 여론조사 모두에서 집권 이후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가 YTN의뢰로 지난 11~15일 나흘 동안 전국 19세 이상 유권자 2517명을 상대로 조사해 이날 공개한 3월2주차 주간집계(95% 신뢰 수준·표본오차 ±2%p·응답률 7.8%)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의 44.9%만이 문 대통령의 국정수행 능력을 긍정 평가했다.

리얼미터는 "2차 북미 정상회담 합의 결렬 이후 북한의 미사일 발사장 복구 정황, 북한의 비핵화 협상 중단 가능성 발표 등 한반도 평화에 대한 부정적 소식이 이어진 것이 지지율 하락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한국갤럽이 지난 12~14일 사흘 간 전국 성인 1004명을 대상으로 한 3월2주 여론조사에서도 문 대통령이 직무수행을 잘 하고 있다고 응답한 긍정평가 비율은 전체의 44%(95% 신뢰 수준·표본오차 ±3.1%p·응답률 15%)에 그쳤다.

청와대 관계자는 "지난해 말부터 외교안보와 경제 문제를 분리해 추진하겠다는 '투 트랙 전략'에 따라 꾸준히 경제를 챙기고 있다"면서 "경제는 경제고, 외교안보는 외교안보 사안일 뿐, 한쪽에 집중하느라 다른 한쪽을 소홀히 하지 않는다는 게 현재의 국정 기조"라고 설명했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