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2025년 초고령사회 진입…40년 후엔 부양비 OECD중 최고

등록 2019.03.28 12:00:00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통계청, 28일 '장래인구특별추계: 2017-2067년' 발표

2025년 65세 이상 인구 1051만명…전체 인구의 20.3%

노령화지수 105.1명…2056년부터 노인, 유소년의 5배↑

중위연령 증가세…2031년 50세·2065년 60세 넘길 듯

2067년 인구 1명이 1.2명 부양…OECD 최고 수준될 듯

2025년 초고령사회 진입…40년 후엔 부양비 OECD중 최고

【세종=뉴시스】장서우 기자 = 6년 만 지나면 우리나라가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전망된다. 생산가능인구는 줄고 노인 인구는 급격히 늘어나면서 생산가능인구 1명이 부양해야 할 인구도 급격히 늘어날 것이란 예측이다.

28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7~2067년 장래인구특별추계'에 따르면 오는 2025년 65세 이상 고령인구가 1051만명으로 전체 인구 중 20.3%의 비중을 차지할 것으로 예측된다. 한국은 지난 2000년 고령화사회에 들어선 후 18년 만인 지난해 고령인구 비중이 20%를 넘기며 고령사회에 진입했다. 이후 7년 만에 초고령사회가 된 셈이니 고령화 속도가 빨라지고 있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3년 전인 2016년 당시 추계에서는 초고령사회 진입 시점을 2026년으로 전망했었다.

우리나라 전체 인구를 연령 순으로 나열했을 때 가운데에 위치한 사람의 연령을 나타내는 중위연령은 2017년 42.0세였는데, 2031년에는 50세를, 2065년에는 60세를 넘을 것으로 예상된다. 중위연령이 20세를 넘은 시점은 1976년이었고 이후 1997년, 2014년에 각각 30세, 40세를 넘겼다. 통계청은 2017년 총인구의 50%가 42세 이상으로 이뤄졌었지만, 50년 후에는 62세 이상 인구가 전체의 절반을 차지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생산연령인구 100명당 부양해야 할 유소년·노령인구를 의미하는 총부양비는 2017년 36.7명 수준에서 2038년 70명을 넘은 뒤 2056년 100명까지 돌파할 전망이다. 50년 후엔 2067년에는 부양비가 120명으로 늘어난다. 저출산으로 유소년 인구가 줄면서 유소년 부양비는 2017년(17.9명)과 유사한 17.8명으로 예상되지만, 고령인구가 빠른 속도로 늘어나면서 노년 부양비는 이 기간 18.8명에서 102.4명으로 5.5배나 높아질 전망이다.
【세종=뉴시스】1960~2067년 중위 추계 상 연령계층별 인구 구조(자료 = 통계청 제공)

【세종=뉴시스】1960~2067년 중위 추계 상 연령계층별 인구 구조(자료 = 통계청 제공)

2017년 기준 총부양비는 OECD(2015년 기준) 국가 중 가장 낮은 수준이다. 그러나 2065년에는 OECD 내에서 가장 높은 수준으로 치솟을 전망이다. 이 기간 고령인구 비중도 13.8%로 낮은 편이었다가 46.1%로 가장 높은 수준이 될 전망이다. 생산연령인구 비중은 가장 높은 수준인 73.2%에서 45.9%로 최하 수준으로 떨어진다.

국제연합(UN) 인구추계에 따르면 한국과 유사하게 인구가 증가한 후 감소하는 양상을 보일 국가로는 네덜란드, 스페인, 체코, 칠레 등 11개국이 있다. 인구가 계속 늘어날 전망인 국가는 미국, 영국, 스위스, 캐나다, 프랑스, 호주 등 16개국이며 그리스, 이탈리아, 일본, 포르투갈, 폴란드, 헝가리 등 8개국에선 인구의 지속적인 감소세가 예상된다.

유소년 인구 100명당 고령 인구 수를 나타내는 노령화지수는 2017년 105.1명을 기록했었다. 고령 인구가 유소년 인구를 처음 추월한 시기다. 노령화지수는 이후에도 2026년 206명, 2056년 502.2명으로 계속 높아질 것으로 예측된다. 2056년부터는 고령 인구가 유소년 인구보다 5배 이상 많아질 것이란 전망이다.
【서울=뉴시스】2015, 2065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별 총부양비 비교. (자료 = 통계청 제공)

【서울=뉴시스】2015, 2065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별 총부양비 비교. (자료 = 통계청 제공)

이번 추계는 2017년 인구주택총조사 결과와 출생·사망·국제이동 등 2018년까지의 최근 인구 변동 요인 추이를 반영해 미래 인구 변동 요인을 가정하고 향후 50년 간의 장래 인구를 전망한 결과다. 가정을 토대로 작성된 것이어서 실제 장래 인구와는 다를 수 있으며 정부 정책이나 경제사회적 환경, 가치관·태도 변화 등으로 인구 변동 요인의 추세가 변할 수 있다.

1964년부터 작성되기 시작해 1996년부터 5년 주기로 발표돼 온 장래인구추계가 오는 2021년 공표될 예정이었지만, 최근 초저출산 상황을 반영해 올해 특별추계를 공표하게 됐다. 이는 2005년 이후 역대 두 번째다. 인구추계는 정부가 국민연금 등 재정 소요를 전망하고 경제·사회적 측면에서 중·장기 발전계획을 세우는데 주요하게 사용되고 있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