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지역이슈]탈석탄 직격탄에 생존권 위협받는 태백

등록 2019.04.22 06:30:00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한숨 돌린 광산근로자들 지역은 미래 불투명

대체산업 등 지역 생존 활로 모색해야

【태백=뉴시스】김태식 기자 = 19일 강원 태백시 장성광업소에서 200여명의 광산근로자들이 정부에 안전인력 충원과 비축탄 매입 등을 촉구하는 집회를 하고 있다.2019.04.19. newsenv@newsis.com

【태백=뉴시스】김태식 기자 = 19일 강원 태백시 장성광업소에서 200여명의 광산근로자들이 정부에 안전인력 충원과 비축탄 매입 등을 촉구하는 집회를 하고 있다.2019.04.19. newsenv@newsis.com

【태백=뉴시스】김태식 기자 = 강원 태백시 장성광업소 갱내 사망사고로 촉발된 광산근로자들의 대정부투쟁이 지난 19일 노·사·정 협상이 극적으로 타결됨에 따라 일단락 됐다.

그러나 태백시와 지역주민들은 석탄산업이 전부인 만큼 장성광업소의 장기가행과 대체산업을 요구하고 있지만 정부의 탈석탄 정책에 앞날이 순탄치 않다.

◇“동네 개도 만원짜리 물고 다녔다”

이 말은 장성광업소 호황기 시절을 기억하는 나이 지긋한 사람들의 말이다.

강원도를 비롯한 대한민국 대표 탄광으로 알려졌던 장성광업소는 개광 82년 만에 사실상 폐광 수순을 밟고 있다.

22일 대한석탄공사에 따르면 장성광업소는 지난 1936년 삼척개발이라는 이름으로 출발해 이듬해부터 본격적으로 무연탄을 생산하기 시작했다.

이어 1966년 무연탄 생산 200만t을 돌파한 장성광업소는 1979년 사상 최대인 228만t을 생산해 국내 최대 규모의 광업소임을 자랑하기도 했다.

광산근로자도 석탄증산정책이 본격 시행된 1970년에는 근로자가 5617명이나 됐다.

석탄산업 부흥과 함께 태백시 인구도 증가해 1981년 11만4095명으로 시단위로 승격했으며, 1987년 12만208명까지 늘었다.

◇무너지기 시작한 석탄산업

국내 최대 규모라는 호칭으로 통했던 장성광업소도 석탄산업 사양화의 칼날을 피할 수 없었다.

1989년 채산성 악화에 따른 폐광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정부가 석탄산업합리화 정책을 추진하면서 장성광업소도 동반 쇠락하기 시작했다.

특히 가정용 연탄의 수요 감소와 임금 상승에 따른 석탄 산업의 여건 악화로 폐광이 증가했으며, 100% 탄광지역인 태백은 이에 직격탄을 맞았다.

올해 장성광업소의 석탄채탄량 목표는 24만5000t으로 매년 감소하고 있으며, 이는 사상 최대 실적을 냈던 1979년 228만t의 10% 수준이다.

또 정부의 대한석탄공사 산하 광업소의 연차적 감산에 따라 근로자도 직영과 협력업체 포함 총 915명이 전부다.

한때 12만명이 넘는 인구를 자랑했던 태백시 인구도 현재는 4만4525명으로 석탄산업 쇠락과 함께 많은 사람들이 고향을 떠났다.

【태백=뉴시스】김태식 기자 = 19일 강원 태백시 장성광업소에서 200여명의 광산근로자들이 정부에 안전인력 충원과 석탄산업에 대한 정책제시 등을 촉구하는 집회를 하고 있는 가운데 산업통상자원부와 노조대표들이 협상을 하고 있다.2019.04.19. newsenv@newsis.com

【태백=뉴시스】김태식 기자 = 19일 강원 태백시 장성광업소에서 200여명의 광산근로자들이 정부에 안전인력 충원과 석탄산업에 대한 정책제시 등을 촉구하는 집회를 하고 있는 가운데 산업통상자원부와 노조대표들이 협상을 하고 있다.2019.04.19. newsenv@newsis.com

◇생존권 위협에 대정부투쟁 나선 광산근로자들

장성광업소의 쇠락과 함께 기능조정이라는 이름으로 진행되고 있는 감원은 광산근로자들의 생존권까지 위협하기에 이르렀다.

장성광업소의 갱도는 총 270∼280㎞로 유지·관리 인원만 최소 250명이 필요하다.

결국 시설은 그대로인데 이를 관리해야 할 인원이 부족하다 보니 안전사고가 발생한다는 것이 광산근로자들의 주장이다.

장성광업소는 지난달 27일 갱내 가스 연소 사고로 1명이 숨지고 5명이 다쳤다.

갱내 사망 사고로 촉발된 광산근로자들의 대정부투쟁은 지난 19일 노·사·정이 안전인력 확보와, 비축탄 정부 책임, 작업환경 실태조사, 폐광대책비, 기능조정 협의 등에 합의했다.

◇한숨 돌린 광산근로자들, 그러나 지역 앞날은 ‘깜깜’

극적인 협상 타결로 파국을 면한 광산근로자들의 대정부투쟁이 대체산업과 장성광업소의 장기가행 등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이 없어 아쉽다는 지적이 있다.

광산근로자들이 대정부 투쟁을 시작하자 태백시는 석탄산업 현안대응 대책본부까지 꾸려 가능한 모든 행정적 지원을 하겠다며 광산근로자들을 지원 사격했다.

특히 태백시는 석탄산업 장기가행 대책마련과 장기가행 동안 그 이상 되는 대체산업 발굴을 요구하며 정부와 협상하겠다고 했다.

그러나 광산노조의 협상 타결로 태백시만 이상한 모양새가 됐다.

타결된 협상안과 태백시가 추진하던 것과는 사뭇 다르다. 광산노조는 주로 근로자들의 생존권에 집중한 반면 태백시는 대체산업 등 지역발전에 방점을 찍었었다.

정득진 태백시민연대위원장은 “광산노조가 대체산업까지 요구할 필요는 없다. 이번 협상이 끝이 아니기 때문에 태백시는 대책본부를 유지해야 한다”며 “태백시가 기왕에 대책본부를 만들었으니 없애지 말고 지역의 생존권 문제로 접근해서 해결책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탄광으로 태어나 탄광으로 부흥과 쇠락을 경험한 태백지역이 정부의 탈석탄 정책과 이에 따른 장성광업소의 폐광위기에 어떻게 대처할지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