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노동硏 "5G 상용화로 10년간 최대 33만 일자리 창출"

등록 2019.04.24 16:56:03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한국노동연구원, '고용영향평가 브리프' 통해 전망

유통업 12만명, 제조업 8.2만명, 미디어 3.7만명 등

【서울=뉴시스】이효성 방송통신위원장이 17일 오후 서울 강남역 부근에 위치한 5G 체험관을 방문해 서비스 체험 현장을 둘러보고 있다. 2019.04.17. (사진=방송통신위원회 제공)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이효성 방송통신위원장이 17일 오후 서울 강남역 부근에 위치한 5G 체험관을 방문해 서비스 체험 현장을 둘러보고 있다. 2019.04.17. (사진=방송통신위원회 제공)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강세훈 기자 = 5세대(5G) 이동통신 기술 상용화로 향후 10년간 관련 산업에서 최대 33만명의 일자리가 창출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한국노동연구원은 24일 '고용영향평가 브리프' 보고서를 통해 "5G 기술 상용화가 향후 10년간 관련 산업에 초래할 고용 효과는 최소 21만8000명에서 최대 33만명에 달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노동연구원은 5G 이동통신기술 개발·확산이 가져올 고용효과 발생 경로를 2단계로 나눠 구분했다.

 우선 1차적으로 통신업의 고용효과를 제고시키는 산업내 효과와 2차적으로 기술 확산에 따른 연관 산업분야의 활용 증대로 전체 산업에 확산되는 기술융합효과로 구분해 예측했다.

그러면서 5G 상용화의 고용효과로 1차 효과(산업 내 효과) 4만3000명~7만8000명, 2차 효과(기술융합효과)로 21만8000명~33만명으로 예측했다.
 
업종별로는 유통업이 12만명으로 가장 많았고 제조업 8만2000명, 미디어 3만7000명, 헬스케어 3만1000명, 운송업 2만6000명, 금융 1만7000명, 자동차 1만5000명, 에너지 1400명, 농업 660명 등으로 나타났다.

노동연구원은 5G 상용화가 5G 이동통신기술의 디지털 전환을 촉진하면서 고용의 순증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이를 위한 정책적 지원방안의 수립이 필요다고 제언했다.
 
수요 측면에서 5G 관련 산업 생태계의 원활한 성장과 공급 측면에서 관련 인력의 진출이 선순환 구조로 이뤄져야 하는 만큼 5G 환경에 따른 서비스 제공폭을 확대해 중소·벤처·스타트업이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여건 마련이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또 기술융합을 통한 고용확대를 위해 5G를 중심으로 하는 기술융합과 5G 상용화의 활용 및 응용 능력 확대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중소기업의 어려움을 해소하고, 전문인력을 양성하는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