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北과학자 "백두산 주변 땅속 민감도 증가…면밀히 감시"

등록 2019.05.30 15:19:07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백두산 주변 지진 2002년~2005년 3000여회 발생

2006년부터 지진 횟수 급감..정확한 원인 파악 안돼

백두산 지면 최고 7cm 부풀러 올라..분화 가능성 커

【서울=뉴시스】기초과학연구원과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영국 왕립학회가 지난 29일(현지 시각) 영국 밀턴케인즈에서 '제 4회 한·영 리서치 콘퍼런스'를 개최했다. 사진은 발표 후 질의응답을 받는 제임스 해먼드 교수(옆은 리처드 캣로 영국 왕립학회 부회장). (사진/밀턴케인즈=공동취재단 제공)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기초과학연구원과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영국 왕립학회가 지난 29일(현지 시각) 영국 밀턴케인즈에서 '제 4회 한·영 리서치 콘퍼런스'를 개최했다. 사진은 발표 후 질의응답을 받는 제임스 해먼드 교수(옆은 리처드 캣로 영국 왕립학회 부회장). (사진/밀턴케인즈=공동취재단 제공)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이국현 기자 = (영국 밀턴케인즈=공동취재단) 북한 과학자가 이례적으로 국제 행사에 참석해 백두산 주변 땅 속의 민감도가 높아지고 있다는 우려를 드러냈다. 영국 지질과학자들도 백두산 지면이 부풀어오르는 등 이상 동향을 전하며 분화 가능성을 시사했다.   

김혁 북한 지진청 분과장은 기초과학연구원과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영국 왕립학회가 지난 29일(현지 시각) 영국 밀턴케인즈에서 개최한 '제 4회 한·영 리서치 콘퍼런스'를 참석해 이같이 밝혔다. 

김 분과장은 "2016년부터 2018년까지 백두산 주변에서 모두 10회의 지진이 났다"며 "땅 속의 민감도가 증가하고 있다. 땅 속의 밀도, 중력과 자기장 변화 등을 면밀히 기록하고 있다"고 밝혔다

최근 백두산이 심상찮은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는 대목이다. 김 분과장에 따르면 백두산이 대규모 분출을 한 946년에 화산재는 함경도를 휩쓴 뒤 일본 북부인 홋카이도까지 날아갔다. 홋카이도에 쌓인 화산재는 5cm 두께로 분석했다. 백두산 주변에선 직접적인 인명 손실과 농작물 고사, 가축 폐사 등 피해가 상당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영국 지질과학자들도 백두산의 이상 동향에 우려를 드러냈다. 영국 과학계 측 발표자로 나선 제임스 해먼드 버벡대 교수는 "2006년부터 지진 횟수가 갑자기 줄었지만 원인이 정확히 파악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지난 2002년부터 2005년까지 3000여 회 이상 일어난 백두산 주변 지진이 갑자기 줄어든 이유가 불분명해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지하의 압력이 다른 곳으로 빠져 나갔을 가능성 등이 거론되지만 확실한 이유를 알기 어렵다는 것이다. 현재 백두산은 지면이 최고 7cm 부풀어 올랐다는 보고가 있을 정도로 분화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백두산 정상인 천지에 대해서도 우려를 표명했다. 백두산이 분화하면 뜨거운 화산재나 마그마가 천지에 고인 물과 접촉하게 되고, 수증기가 급격한 속도로 다량 발생하며 대규모 폭발이 일어날 수 있다는 지적이다.

해먼드 교수와 같은 연구팀에 속한 에이미 도너반 영국 케임브리지대 박사는 "1995년 뉴질랜드, 2010년 아이슬란드에서 비슷한 사례가 있었다"고 강조했다.

또 영국 연구진은 천지의 물이 분화에 의한 충격으로 넘쳐 산기슭을 덮칠 경우에도 큰 홍수가 생길 것으로 예측했다. 특히 천지 주변에는 중국으로 향하는 계곡도 있어 북한뿐만 아니라 중국의 피해도 예상된다는 것이다.

한편 북한은 2015년 영국 과학계에 백두산 자료를 다수 제공해 국제 협력을 강화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과 협력 연구를 했던 영국 측 관계자는 "수십년 간 북한이 쌓아 놓은 자료를 얻었다"며 "북한 과학자들의 적극성이 엄청나다"고 말했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