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신규 양수발전소 영동·홍천·포천에 짓는다…봉화는 탈락(종합)

등록 2019.06.14 18:48:20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봉화, '주민 수용성' 점수 극복 못 해"

'지역주민 갈등'은 삼자 협의체서 해소

산업부 승인 후 2029~31년 준공 예정

1기당 각 1.4조~1.7조 파급 효과 예상

【서울=뉴시스】산청 양수발전소 하부댐. (사진=한국수력원자력)

【서울=뉴시스】산청 양수발전소 하부댐. (사진=한국수력원자력)


【서울=뉴시스】김진욱 기자 = 한국수력원자력이 14일 신규 양수발전소 건설 후보 부지로 충북 영동군, 강원 홍천군, 경기 포천 등 세 곳을 선정했다. 영동에는 500㎿, 홍천에는 600㎿, 포천에는 750㎿ 규모의 양수발전소가 지어질 예정이다. 봉화는 이 세 지역과 비교적 큰 점수 차이로 탈락했다.

한수원은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라 영동, 홍천, 포천, 경기 가평, 경기 양평, 경북 봉화, 전남 곡성 등 7개 지역을 대상으로 올해 3월1일부터 5월31일까지 자율 유치를 공모했다. 이중 영동, 홍천, 포천, 봉화 4개 지방자치단체가 의회 동의를 받아 유치를 신청했다.

한수원은 지난해 인문사회, 환경, 기술 등 분야별 전문가를 모아 부지선정위원회를 꾸렸다. 강태호 동국대학교 교수가 위원장을 맡아 7개월여간 평가 기준을 마련, 신청 지역의 부지 적정성, 환경성, 건설 적합성, 주민 수용성 등을 평가했다.
【서울=뉴시스】전국 양수발전소 위치도. (사진=한수원)

【서울=뉴시스】전국 양수발전소 위치도. (사진=한수원)


이와 관련해 오순록 한수원 그린에너지본부장은 이날 오전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간담회에서 "봉화는 상당한 점수 차로 (탈락)됐다. 주민 수용성 격차를 극복하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강 위원장은 "주민 수용성이란 해당 지역주민이 가진 유치 열망이다. 네 곳 모두 적합성을 사전 검토해 부지 적정성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다. 국책 사업인 만큼 지역주민이 얼마나 호응하고 동의하느냐가 중요했다"고 부연했다.

'지역주민과의 갈등은 없느냐'는 출입 기자단의 질문에 오 본부장은 "지자체, 지역주민과 삼자 협의체를 구성해 해소하며 추진하겠다"고 답했다.

한수원은 3개 후보 부지에 전략환경영향평가 등 절차를 거쳐 산업통상자원부 등 정부에 전원개발사업 예정 구역 지정을 신청할 예정이다. 지정고시 후 부지별로 실시계획 승인 및 발전사업 허가를 받아 각각 2029년, 2030년, 2031년 준공 목표로 건설을 추진한다.

한수원은 양수발전소 건설에 따라 영동 1조3505억원, 홍천 1조2573억원, 포천 1조6894억원의 경제적 파급 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일자리는 각각 6777개, 7474개, 7982개 생길 전망이다.

다만 양수발전소 운영에 따른 적자 우려는 여전히 존재한다. 오 본부장은 "1기당 100억원(의 적자가 발생할 것 같다고) 말씀을 드렸는데 정부와 수익성 보장해야 하는 부분이 없잖아 있다. 건설 단계에 들어가면서 가격 조정이 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전했다. 수익성 개선 방법과 관련해서 오 본부장은 "양수 원가 개념이라든가 적정 전원이 될 수 있도록 (정부, 한전 등과) 협의하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정재훈 한수원 사장은 "후보 부지로 선정된 지역주민 여러분께 축하와 감사를 드린다"면서 "양수발전소 건설 과정에서 지역주민의 작은 목소리에도 귀를 기울여 지역과 함께하는 발전소 건설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한수원은 이날 서울 중구 더플라자호텔에서 영동, 홍천, 포천과 '양수발전소 건설 및 유치지역 발전을 위한 상생협력 협약'을 체결했다. 한수원과 지자체들은 양수발전소 건설 사업을 비롯해 이주민 지원 사업, 주변 지역 상생발전 사업 등을 추진하며 적극적으로 협력할 계획이다.

양수발전소는 남는 전력을 이용해 상부 댐으로 물을 올린 뒤 이를 이용해 전기를 생산한다. 3분 내로 발전이 가능해 여름철 등 전력 피크 때 수요 대응이 용이하다. 전력계통 안정화 등 역할도 수행한다. 현재 강원 양양군(4기), 전북 무주군(2기) 등 16기가 운영되고 있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