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고려청자 가마 초벌칸 모습 드러내다, 전북 부안 유천리

등록 2019.06.17 10:30:06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부안 유천리 청자 요지 유천리 6구역 1·2호 가마

부안 유천리 청자 요지 유천리 6구역 1·2호 가마

【서울=뉴시스】 이수지 기자 = 부안 옛 가마터에서 고려시대 청자 가마가 나타났다.

부안군과 전북문화재연구원이 전북 부안군 보안면에서 발굴조사 중인 사적 제69호 '부안 유천리 요지 6구역 가마'에서 고려청자 가마 2기를 확인했다.

부안 유천리 요지는 고려 시대 최고급 상감청자 등 다양한 자기가 제작된 가마터로 알려져 있다. 이번에 조사된 유천리 6구역은 망여봉에서 뻗어내린 나지막한 구릉지대다.
부안 유천리 청자 요 1호 가마 소성실

부안 유천리 청자 요 1호 가마 소성실


지난 2월 시작된 유천리 요지 6구역 발굴조사는 2018년 시굴조사에서 존재를 확인한 가마와 유물퇴적구 축조방법, 운영시기, 성격을 정밀하게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이달 말 마무리될 예정이다.

이번 조사에서 발견된 가마 2기는 구릉의 서쪽 경사면에 등고선과 직교한 방향에 약 5m 간격으로 비교적 가깝게 있다.
부안 유천리 청자 요지 1호 가마 초벌칸, 배연부

부안 유천리 청자 요지 1호 가마 초벌칸, 배연부


가마는 진흙과 석재를 이용해 만든 진흙가마 토축요다. 가마 바닥에는 원통형 갑발(匣鉢)과 도지미가 불규칙하게 놓여 있다. 갑발은 도자기를 구울 때 담는 큰 그릇, 도지미는 도자기를 구을 때 놓는 받침이다.  
 
 가마 2기 중 1호는 전체 구조가 양호한 상태로, 전체 길이 25m에 달한다. 불을 때는 연소실은 길이 1.6m, 토기를 굽는 소성실은 19m다.

부안 유천리 청자 요지 1호 가마 사용도구와 무문청자

부안 유천리 청자 요지 1호 가마 사용도구와 무문청자


가마 맨 끝에서는 돌로 만든 배연시설이 확인됐다. 배연시설과 맞닿아 있는 소성실 끝 칸의 마지막 바닥에는 유물 퇴적구가 확인됐다. 폐기장으로 사용된 것으로 보이는 이곳에 초벌 청자 여러 점의 조각들이 집중적으로 쌓여 있었다. 이를 통해 가마온도가 가장 낮은 이곳이 초벌 전용칸으로 활용됐음을 알 수 있다.

현재까지 국내에서 조사된 고려 청자가마에서 초벌 칸을 운용한 사례는 강진 사당리 43호다. 초벌 칸과 연결된 유물퇴적구에서 초벌 청자가 다량으로 조사된 점은 가마구조의 발전단계를 확인할 수 있는 괄목할 만한 성과다. 이러한 구조와 비교할 수 있는 예는 조선시대인 15세기 분청사기 가마 구조다.

이번 조사에서 확인한 고려청자 가마 구조상 배연시설과 초벌칸, 초벌칸과 연결된 초벌청자 유물퇴적구는 학술 가치가 있어 사적지 복원·정비 사업에 중요한 기초 자료가 될 수 있다.
    
17일 오후 1시 현장 설명회가 개최된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