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디지털경제 경쟁력 한국 5위…일본은 11위

등록 2019.06.27 10:50:21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미국, 영국, 중국이 상위 1·2·3위

【서울=뉴시스】디지털경제 경쟁력에서 한국이 미국, 영국, 중국, 스위스에 이어 5위를 차지했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이 보도했다. 일본은 11위였다.(사진출처:니혼게이자이신문 홈페이지 캡쳐)2019.06.27.

【서울=뉴시스】디지털경제 경쟁력에서 한국이 미국, 영국, 중국, 스위스에 이어 5위를 차지했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이 보도했다. 일본은 11위였다.(사진출처:니혼게이자이신문 홈페이지 캡쳐)2019.06.27.


【서울=뉴시스】김혜경 기자 = 각국의 데이터 국력을 평가하는 데이터총생산(GDP·Gross Data Product)에서 한국이 미국, 영국, 중국, 스위스에 이어 5위를 차지했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이 27일 보도했다. 일본은 11위에 그쳤다.

데이터총생산이란 글로벌 경영론의 권위자인 바스커 차크라볼티 미국 터프츠대학 교수가 공표한 것으로, 국내총생산(GDP)에 빗대 '신 GDP'불린다.

이는 데이터 접속 및 생산량 등을 토대로 디지털경제 경쟁력을 평가하는 새로운 국력 평가기준으로, 향후 어느 국가가 성장하는지를 보여주는 선행 지표가 될 전망이다.
 
신GDP는 각국의 데이터 경제 규모를 ▲데이터의 생산량 ▲인터넷 이용자 수 ▲데이터에 접하기 쉬운 정도 ▲1인당 데이터 소비량이라는 4가지 관점에서 평가한다.

1위는 미국이 차지했다. 데이터 생산량이 단연 맣은 것으로 평가됐으며 다른 3개 항목에 있어서도 평가가 높았다. 영국은 데이터에 접근하기 쉬운 점에서 높은 평가를 받아 2위를, 중국은 인터넷 이용자 수가 압도적으로 많아 3위를 차지했다. 한국은 스위스에 이어 5위를 기록했다.

일본은 11위로, 프랑스(6윌), 캐나다(7위), 호주(9위), 체코(10위)에도 뒤쳐졌다. 행정데이터 공개의 대처 등이 부진하며, '데이터에 접하기 쉬운 정도' 항목에서 평가가 낮았다고 한다.

차크라볼티 교수는 일본의 순위가 낮은 이유에 대해 "인터넷 서비스 보급률은 높지만, 고령화로 보급이 포화상태"라고 분석했다. 또 "대기업이 중심으로 서비스 개발이 진행되는 점도 정체 요인"이라고 지적했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