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글로벌 경기침체 대응 없으면 G7 종말 전조" 美외교전문지

등록 2019.08.23 12:35:06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유효한 정책결정 거의 없어…러시아 쫓아낸 게 유일"

【라말베(캐나다 퀘벡주)=AP/뉴시스】지난 2018년 6월9일 캐나다 퀘벡에서 열린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서 참가국 정상들이 대화하는 모습. 2019.08.23.

【라말베(캐나다 퀘벡주)=AP/뉴시스】지난 2018년 6월9일 캐나다 퀘벡에서 열린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서 참가국 정상들이 대화하는 모습. 2019.08.23.

【서울=뉴시스】김난영 기자 = 오는 24일 열리는 주요7개국(G7) 정상회의를 앞두고 'G7 무용론'이 제기되고 있다. 글로벌 경기침체 우려 국면에서 유효한 정책을 내놓지 않을 경우 사실상 G7이 무의미해지리라는 전망이다.

미 외교전문지 포린폴리시는 22일(현지시간) 'G7은 죽었다. 잭슨홀이여 영원하라(The G-7 Is Dead. Long Live Jackson Hole)'라는 분석기사를 통해 이같은 비관적 전망을 내놨다.

기사를 작성한 마이클 헐시는 먼저 유럽 주요 성장엔진이었던 독일의 경기침체를 거론한 뒤 글로벌 불황을 예방하기 위한 G7 정책수립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이어 올해 G7 정상회의 장소인 프랑스 비아리츠를 거론, "글로벌 국내총생산(GDP) 및 예산 50%를 감독하는 비아리츠의 정치인들은 공동의 정책에 동의할 능력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고 비판적 시선을 내비쳤다.

이와 관련, 앞서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이번 G7 정상회의에서 미국과의 이견을 이유로 참가국 공동성명을 발표하지 않기로 했다고 밝힌 바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해 캐나다 퀘벡에서 열린 G7 정상회의에서 불공정 무역관행을 비판하는 공동성명이 채택되자 싱가포르로 향하는 비행기 안에서 성명을 '트윗 철회'했었다.

백악관은 이번 G7정상회의에서 글로벌 경제 문제를 논의하겠다고 밝혔지만, 회의가 열리기도 전에 공동성명 채택이 무산되면서 그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되는 상황이다.

헐시는 "세계 경제가 망하든 말든 (G7) 국가들은 합의할 게 거의 없다"고 내다봤다. 또 G7 제도 자체에 대해서는 "트럼프 대통령 이전부터 문제를 보유해온 쇠퇴하는 제도"라고 혹평했다.

그는 특히 "1973년 백악관 도서관에서 열린 비공식 환율논의 이후 G7은 효과적인 정책협력 사례를 거의 누리지 못했다"고 했다. 사실상 창설 이후 G7가 성공적인 정책협력을 이루지 못했다는 것이다.

그는 이어 "최근 몇 년 간 G7의 유일한 정책효과는 러시아를 쫓아낸 것"이라며 "올해의 가장 큰 뉴스는 어쩌면 트럼프 대통령의 러시아 재합류 추진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헐시는 이같은 평가 하에 글로벌 경기침체 대응책에 대한 시장의 시선이 잭슨홀 미팅에 몰리고 있다고 분석하면서도 "초저금리 시대에 중앙은행들이 쓸 수 있는 수단은 더욱 고갈됐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대로 간다면 글로벌 경기침체 방아쇠를 당길 수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결론적으로 "올해 G7 정상회의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글로벌 경제와 사실상 무관하다면 이는 G7의 종말의 전조가 될 수 있다"고 했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